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비둘기(통화 완화 선호) 목소리를 낸 데 대해 뉴욕증시가 반색한 가운데, 월스트리트에선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브라이언 벨스키 BMO 수석투자전략가(CIS)는 1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에서 “완만한 경기 침체와 통화 긴축 정책의 종료가 맞물리면서 내년 말 S&P500지수는 4300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고용과 소비가 견조하기 때문에 침체가 실제 발생하더라도 시장이 곧 적응할 것”이라며 “Fed는 늦어도 내년 5월까지 금리 인상 주기를 끝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벨스키 전략가는 “과거 4번의 금리 인상 주가에서 주가가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매번 막바지에 꽤 상승했다”며 “지금 증시가 반영하고 있는 경기 침체 및 기업 실적 악화 위험은 과장됐다”고 단언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 S&P500지수는 등락을 반복해왔다. 올 들어 15%가량 밀린 상태다.반면 두브라브코 라코스-부하스 JP모간 전략가는 “내년 소비 압박과 함께 기업 실적이 본격적으로 악화할 것”이라며 “소비자들의 초과 저축은 이미 소진됐고 주식 주택 암호화폐 등 자산 가격도 많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침체로 접어들면서 S&P500지수가 내년 상반기에 새로운 저점을 시험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Fed가 피봇(금리 정책 변경) 신호를 보낸 뒤 연말엔 다시 4200까지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간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일제히 하락했다.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60.99포인트(0.77%) 떨어진 33,717.09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2.79포인트(1.3%) 밀린 4017.77로, 나스닥지수는 227.9포인트(1.96%) 내린 11,393.81로 장을 마감했다.투자자들은 오는 31일~1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시장은 Fed가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제롬 파월 Fed 의장이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기조를 보일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가파르게 상승한 기술주들에 조정 압력이 커지고 있다.다우 지수는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2.5% 올랐다 S&P500지수는 같은 기간 6% 상승했으며 나스닥지수는 11% 올랐다. 이러한 반등에는 올해 물가 상승률이 빠르게 둔화하면서 Fed가 피봇(통화정책 전환)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이번에 Fed가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Fed의 새로운 기준금리 목표치는 4.5%~4.75%가 된다.미국 반도체 관련주들은 앞선 인텔의 실적 악화 소식에다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반도체 기업들과 중국 화웨이와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하방 압력을 받았다. 퀄컴(-1.33%), 인텔(-0.75%)의 주가도 하락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5.91% 급락했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2.67% 밀렸다.테슬라는 6.32% 하락했다. JP모건은 테슬라의 최근 랠리가 너무 가파르다며 투자의견을 '비중 축소', 목표가를 120달러로 유지한다고 밝혔다.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