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시장 지표 / 1월 31일 오전 6시 현재][미국증시 마감시황]뉴욕증시는 30일(현지시간)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0.99포인트(0.77%) 하락한 3만3717.09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52.79포인트(1.30%) 떨어진 4017.7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27.90포인트(1.96%) 내린 1만1393.81에 거래를 마쳤다.이날 시장은 연준의 FOMC 정례회의와 대형 기술주의 실적 발표 예정에 주목했다.시장은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정례회의 결과를 대기하고 있다. 시장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매파적 기조를 보일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 연준이 금리를 이번 주에 0.25%포인트 인상하면 연준의 새로운 기준금리 목표치는 4.50%~4.75%가 된다.특히 기술주들이 올해 들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FOMC를 앞두고 조정 압력이 커졌다. 다우 지수는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2.5% 올랐고, S&P500지수는 같은 기간 6% 상승했다. 나스닥지수는 11% 올랐다. 이러한 반등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빠르게 둔화하면서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금리 인하에까지 나설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기 때문이다.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사비타 서브라마니안은 이날 CNBC에 출연해 S&P500지수가 아직 약세장의 바닥을 치지 않았다며 지수가 최저 3,000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시장이 올해 인플레이션을 3%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며 우리는 그 근처에도 가지 않았다며,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지 못할 경우 결국 시장의 예상보다 더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또한
비트코인(BTC)의 가격 방향이 오는 31일 예정된 미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결정에 따라 시장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30일(현지시간) 가상자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는 "기나 긴 약세장 이후 비트코인은 새해가 시작되고 한달 간 약 40% 상승해 2013년 이후 10년만에 최고의 1월을 보내고 있지만, 오는 31일(현지시간) 예정된 FOMC와 ECB의 금리 결정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 시장이 진행될지 결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CME 페드와치는 약 99%의 확률로 연준이 금리를 0.25bp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가장 적은 폭의 금리 조정이다.온체인 데이터가 매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크립토퀀트의 손익(PnL) 지수가 2019년 초 이후 처음으로 비트코인(BTC) 매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크립토퀀트는 "여전히 지수가 하락한 가능성은 있지만, 크립토퀀트 PnL 지표가 365일 이동 평균선 위로 교차하는 비트코인 매수 신호가 발생했다. 역사적으로 지수가 교차하는 것은 강세장의 시작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비트코인 보유자들이 이익 실현을 시작하지 않았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글래스노드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공급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난주말 기준 5년 이상 지갑에 머물고 있는 코인 양의 비율은 전체 공급량의 27.85%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현재 비트코인은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 기준 전일 대비 1.94% 상승한 2만366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영민 블루밍비트 기자 20min@bloomingbit.io
페이코인 운영사 다날핀테크의 안영세 이사가 금융당국 측에 페이코인의 실명계좌를 반드시 발급해 오겠다며 결제 서비스 중지 기간을 연장해 달라고 요구했다.안 이사는 30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국민의힘 정책위원회와 디지털자산특별위원회(디지털자산특위)가 개최한 신산업·규제혁신TF의 연구결과 보고회의 질의응답 시간에 참여해 이같이 말했다.그는 해당 자리에 참석한 이동욱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 가상자산검사과장 등을 향해 "실명계좌는 반드시, 분명히 받아 오겠다"라며 "막바지 단계"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희가 혹시라도 늦을 것을 대비해서 결제서비스를 내려야 하는데 해당 기간을 더 주실 용의가 있느냐"라고 질의했으나 회의의 성격과 맞지 않다는 진행자의 제지로 인해 관련 답변을 받지 못 했다.앞서 페이코인은 지난 6일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가상자산 매매업을 위한 변경신고'에 대한 '불수리' 결정을 통보 받았다. 이에 페이코인은 내달 5일까지 결제 서비스를 중지해야 한다. 양한나 블루밍비트 기자 sheep@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