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형 공모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가 지난달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란 기대로 채권 가격이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채권 수익률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채권형 펀드 299개의 수익률은 10월 0.14%, 11월 1.14%로 2개월 연속 플러스였다. 지난 9월에는 -1.18%였다.
그동안 하락폭이 컸던 장기 국공채 투자 상품들의 수익률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국공채 관련 펀드 78개의 9월 수익률은 -2.19%였지만 지난달에는 2.31%였다. ‘삼성액티브종합채권플러스’(4.91%), ‘브이아이스마일연금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4%), ‘우리WOORI대한민국국고채액티브’(3.75%) 등은 왠만한 주식형펀드 이상의 수익률을 거뒀다.
대부분 마이너스 수익률이었던 채권 ETF도 지난달 플러스로 돌아섰다. 코스콤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상장된 43개 중장기 채권 ETF·중장기 레버리지 채권 ETF는 모두 11월 한 달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전체 중장기 채권 ETF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건 올해 들어 처음이다.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6.96%, ‘SOL국고채10년’ 4.44%, ‘KBSTAR 국채선물10년’ 4.36% 등이다.
블룸버그와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1~10월 미국·신흥국 등 글로벌 채권 관련 상품 평균 수익률은 -19.3%였다. 글로벌 안전자산으로 꼽히던 미국 초장기 채권조차 -32.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11월 들어 글로벌 채권 상품의 수익률은 5.1%로 반전했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1월 이후로 채권과 관련한 대부분의 자산이 플러스 수익률을 회복하는 등 이전과 다른 흐름이 관측되고 있다”며 “채권가격 상승 사이클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알티스 USA는 전략적 검토 후 지역 인터넷 및 케이블 사업을 유지할 것이다.1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프랑스 이스라엘 통신 재벌 패트릭 드라히가 지배하는 이 회사는 골드만 삭스를 고용해 투자과정을 운영했다고 소식통이 로이터에 밝혔다.이 사업은 부채를 포함해 200억 달러의 평가를 받을 것이다.알티스는 2015년 미국 중남부 지역 고객들에게 주로 서비스하는 서든링크를 91억달러에 인수한 뒤 지난 8월 '옵티멈'으로 브랜드를 변경했다.엄수영기자 boram@wowtv.co.kr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주로 참고하는 물가 지표도 오름세가 다소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1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10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보다 6.0%, 전월보다 0.3% 각각 올랐다.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9월(6.2%)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2%)의 3배에 이른다.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5.0%, 전월보다 0.2% 각각 상승했다.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가장 정확한 물가 지표'라고 언급한 근원 PCE 가격지수의 상승폭도 지난 9월(5.2%)보다 소폭 내려갔다. 엄수영기자 bora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