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통화 정책을 직접 결정하는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12월부터는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는 게 타당하다”고 말했다. 30일(현지시간) 브루킹스 연구소가 주최한 행사에서다. 파월 의장의 연설 주제는 ‘경제 전망, 물가 상승률, 노동 시장’이었다.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상 폭이 인플레이션을 둔화시키는 데 충분한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다만 “물가상승률이 한 번 둔화했다고 해서 영구적인 하락으로 보면 안 된다”며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처음 인플레이션이 뛸 때만 해도 임금의 영향이 별로 없었는데 지금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며 “대다수 근로자들 입장에서 임금 상승률은 높은 인플레이션에 의해 상쇄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 고용 시장은 Fed 기대와 달리 여전히 탄탄한 모습을 보여왔다. 10월 기준 비농업 일자리 수는 시장 전망(20만 개 증가)보다 많은 26만1000개 늘어났다. 실업률은 3.7%로, 전달(3.5%) 대비 0.2%포인트 높아지는 데 그쳤다. Fed는 그동안 “7% 넘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선 고용 시장 둔화가 필요하다”고 수 차례 강조해왔다.
파월 의장의 발언이 주목을 받은 건 올해의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불과 2주일 앞두고 있어서다. 월가에선 오는 13~14일의 FOMC에서 현재 연 3.75~4.0%인 기준금리가 50bp(1bp=0.01%포인트)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파월 의장은 “지난 9월 예상했던 것보다 최종금리가 더 높아야 할 것”이라며 “총수요를 낮추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올해 3월 제로 금리였던 미 기준금리는 줄곧 인상됐고, 최근엔 4차례 연속 75bp씩 뛰었다.
미국의 11월 기준 비농업 일자리 수는 전달 대비 26만1000개 증가했다. 미 고용 시장은 여전히 빡빡한 상태다. 미 노동부 및 트레이딩이코노믹스 제공
이날 오전 발표된 경기 지표는 엇갈렸다. ADP 민간고용 보고서를 보면, 11월 고용이 전달 대비 12만7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월가의 예상치 평균(20만 명 증가)을 크게 밑돌면서 Fed의 긴축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걸 보여줬다.
반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연율 기준으로 2.9%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 공개됐던 예비치(2.6%)를 웃돌았다. 수출과 소비에 힘입어 성장률이 제 궤도를 찾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앞서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은행 총재는 지난 28일 “인플레이션이 예상대로 하락하면 2024년엔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소한 내년 말까지는 지금의 높은 기준금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다. 대표적인 매파(통화 긴축 선호)로 꼽히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5%로 올린 금리를 내년은 물론 2024년까지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y Jesse Cohen (제시코헨)제시 코헨은 Investing.com의 시니어 파이낸셜 애널리스트이며 미국 주식시장과 금, 원유 및 천연가스등의 상품에 대한 분석과 통찰력있는 견해를 제공합니다.(2023년 1월 29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이번 주 연준의 금리인상 결정, 메가캡 기술기업 실적 발표, 미국 고용보고서에 주목 캐터필러, 강력한 매출과 수익 성장 속 매수할 만한 종목 펠로톤, 부진한 실적과 약세 전망 속 시장수익률 하회 예상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다는 신호에 환호하면서 연준의 금리인상폭 축소에 대한 희망을 드높였다.지난주 다우존스 지수는 1.8% 상승했고 S&P 500 및 기술주 중심 나스닥 종합 지수는 각각2.5%, 4.3% 상승하면서 4주 연속 상승을 달성했다.2023년 들어 나스닥 지수는 11% 상승했으며, S&P 500 및 다우존스 지수도 각각 6%, 2.5% 상승했다. 이번 주는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로 가득한 바쁜 일주일이 될 것이다. 연준의 금리인상 결정은 물론, 주요 경제지표와 거대 기술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연준은 수요일에 올해 첫 FOMC 회의를 개최한다. 월가에서는 12월 인상폭 0.50%p보다 적은 0.25%p 금리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그러면 기준금리는 4.50%~4.75%가 될 것이다.향후 금리인상 속도에 대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도 주목된다. 투자자들은 연준이 곧 금리인상을 종료하고 올해 말에는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또한 이번 주에는 4분기 실적 시즌이 고조되면서 애플(NASDAQ:AAPL), 알파벳(NASDAQ:GOOGL), 아마존(NASDAQ:AMZN), 메타 플랫폼스(NASDAQ:META) 등 메가캡 기술기업들이 실적을 발
By Lance Roberts (랜스 로버츠)프라이빗 뱅킹 및 투자 관리에서 프라이빗 및 벤처 캐피털에 이르기까지 25년 이상 투자 세계에 몸담아 온 전문가입니다.(2023년 1월 29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월가에서는 낙관론이 커지고 있고 투자자들은 경제 연착륙을 희망하고 있다.1980년대 이래 가장 공격적인 연준의 금리인상, 양적긴축을 통한 대차대조표 축소, 1970년대 이래 가장 빠른 속도의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성장할 수 있다는 희망이다.경제 연착륙 가능성이 있을까, 아니면 또 다른 연준의 신화(Myth)에 불과할까? 이 질문에 답하려면 우선 연착륙 시나리오의 경제학적 정의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경제학에서 연착륙(soft landing)은 경제성장이 경기순환적으로 둔화되는 것이며 경기침체를 피해서 나타난다. 연착륙은 심각한 경기하락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과열된 경제를 중단시키기에 충분한 금리인상 정책을 펴고자 하는 중앙은행의 목표다.” (출처: Investopedia) ‘연착륙’은 앨런 그린스펀 의장 시절에 월가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가 되었다. 그린스펀 의장은 1994년~1995년의 연착륙을 설계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연준은 1984년과 2018년의 연착륙도 설계했다. 아래 차트를 보면 연준은 연착륙 시기(주황색 영역)에 금리를 인상했다. 연착륙 가능성에 대해서는 또 다른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 경기침체(경착륙)는 인플레이션이 5% 이상에서 정점을 찍었을 때 나타났다는 점이다. 해당되는 연도는 1948, 1951, 1970, 1974, 1980, 1990 및 2008년이다. 그리고 2022년 내내 인플레이션은 5% 보다 훨씬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연착륙의 기
연초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의 영향으로 중국 펀드·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중국 펀드를 사들이는 국내 투자자들 역시 늘고 있다.수익률 높아진 中펀드·ETF3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국내 중국펀드 181종의 평균 수익률은 9.61%로 집계됐다. 에프앤가이드가 분류한 지역별 펀드 가운데 평균 수익률 1위였다. 2위는 베트남 펀드(8.35%), 3위는 중남미 펀드(7.86%)였다.중국의 코로나19 방역단계 완화로 이달 중국 본토와 홍콩 증시가 모두 오름세를 기록하면서 관련한 펀드·ETF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특히 레버리지 펀드·ETF가 높은 수익률이 기록하면서 전체적인 수익률을 끌어올렸다. 국내 중국 펀드 가운데 가장 수익률이 높은 종목은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2.0’으로 22.9%를 기록했다. 이어 ‘KODEX차이나H레버리지’(19.3%),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1.5’(17.4%), ‘KOSEF차이나A50커넥트레버리지MSCI’(16.9%) 순서였다.레버리지 종목이 아닌 ‘우리템플턴차이나드래곤’, ‘KBSTAR중국MSCI China’, ‘KODEX차이나심천ChiNext’ 등의 상품들도 1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수익률이 개선되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돈도 중국 펀드로 향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들어 27일까지 중국 펀드로 유입된 자금은 828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북미 지역펀드 유입금액(262억원)의 3배가 넘는 규모다. 글로벌 펀드 전체로 놓고 보면 이달 104억원이 순유출됐다.전문가들은 리오프닝과 중국 춘절을 앞두고 개선된 소비 심리, 방역완화가 연초 중국 증시 강세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