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헤지펀드 시타델의 계열사인 시타델증권이 중국 본토 사업 확장에 나섰다. 반면 세계 2위 자산운용사 뱅가드는 중국시장 철수를 결정했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과 미·중 갈등 고조 등 호재와 악재가 엇갈리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사들의 중국 시장 접근법도 차별화하고 있다. 23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시타델증권은 중국 사업을 키우기 위해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 금융 인력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펑자오 시타델증권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은 적어도 2년 동안 세계 경제 성장을 이끌 것"이라며 "중국 본토 사업과 관련해 금융당국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타델증권은 글로벌 헤지펀드 시타델의 계열사다. 작년 말 운용자산(AUM)은 623억달러로 세계 헤지펀드 중 5위다. 펑 CEO는 중국계 미국인으로 2006년 시타델에 합류했으며 2017년 시타델증권 CEO에 선임됐다. 시타델증권은 현재 홍콩(100여명), 시드니(60여명), 싱가포르(50여명)에 아시아 지사를 두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아시아 인력을 세 배로 늘렸다. 중국에는 2019년 상하이에 10여명 규모 사무소를 열었으며 올해부터 본격 영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시타델과 반대로 뱅가드는 최근 중국 정부에 상하이법인을 폐업한다고 통보했다. 또 앤트그룹과 함께 설립했던 투자자문회사 방니터우에서도 발을 빼기로 했다. 뱅가드의 합자사 지분율은 49%다. 뱅가드는 중국 금융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익성이 떨어지자 철수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뱅가드는 상장지수펀드(ETF)에 특화한 자산운용사다. AUM은 8조1000억달러에 달한다. 세계 1위 블랙록, 3위 피델리티 등이 중국 사업을 확
By Ismael De La Cruz (이즈마엘)Ismael De La Cruz는 주식, 지수, 환율, 원자재, 채권 등을 다루는 금 융시장 애널리스트입니다. (2023년 3월 22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3월 은행권 혼란으로 인해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도 큰 손실을 입었다. 워런 버핏의 최대 규모 손실 15건 중 6건이 금융 섹터에서 발생했다. 금 및 금 관련 주식은 지금과 같은 경제적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시기에 매력적인 투자 옵션이다. 금 외에도 프랑코-네바다 코퍼레이션과 로열 골드는 잠재적 투자 종목으로 고려할 만한 금 관련주다.지금의 은행업계 위기는 금융계 거물들에게도 큰 타격을 주었다.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는 125억 달러 손실을 입었다. 올해 워런 버핏의 최대 손실 15건 중 6건이 금융 섹터에서 발생했다. 3월 6일부터 15일까지 10일 동안 은행 섹터 시가총액은 11.5% 감소했다. 지금과 같은 어려운 상황에서는 침착함을 유지하면서도 흥미로운 시장을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과 유럽 은행 위기 속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매력을 고려할 때 금과 금 관련 주식은 분명히 투자 옵션이 될 수 있다. 올해 금이 계속 강세를 보일 수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경제가 불확실한 시기에는 투자자들이 주식 매수에서 안전자산인 금 매수로 전환하는 경향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평균보다 높은 경우 투자자들은 자본을 보호하고 생활비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금을 매수할 수 있다. 금과 달러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금은 달러가 하락할 때 상승한다. 반대로 달러가 강해지면 금 가격은 하락하게 된다. 중국은 세계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