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미국주식 순매수 전환…순매수액 8개월만에 최대 작년 말 급락했던 테슬라가 새해 첫 달 60% 급등하면서 '서학개미'들도 테슬라 매수액을 크게 늘렸다. 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31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 7억632만달러(한화 약 8천681억원)를 순매수했다. 작년 12월 미국 기술주들이 급락하면서 미국 주식을 2억2천94만달러(2천715억원) 순매도했던 국내 투자자들은 한 달 만에 다시 매수세로 전환했다. 특히 1월 순매수 액수는 작년 5월(18억6천22만달러·2조2천862억원)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서학개미들의 테슬라 사랑은 이어졌다. 투자자들은 작년 12월에 테슬라를 1억1천109만달러(1천365억원) 순매수한 데 이어 1월에는 순매수액을 2억8천161만달러(3천461억원)로 늘렸다. 순매수액 2위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베어 3X ETF(1억5천194만달러·1천867억원), 3위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숏 QQQ ETF(9천598만달러·1천180억원)와 큰 격차가 난다. 테슬라 주가가 새해 첫 달 들어 큰 상승률을 보이면서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통화 긴축 정책에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가 더해져 작년 12월 한 달간 주가가 30% 이상 급락했다. 지난달 25일 월가 예상치를 상회한 매출(243억2천만달러)과 주당 순이익(1.19달러)을 발표하고, 테슬라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는 관측을 일축한 이후 크게 올랐다. 올해 첫 거래일인 지난 3일 종가(108.10달러) 대비 31일 종가(173.22달러)는 60.2% 상승했다. 통화 긴축 기조 변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증권가에서는 미국 주식에 대해 성장주 위주로 접근하는 방안을 추천하고 있다. 작년 목표 멀티플(수익성 대비 기업가치) 조정이 컸던 성장주
사모펀드 시장에서 경쟁하던 가치투자 운용사들이 공모펀드 시장에서 맞붙는다. VIP자산운용 더제이자산운용 등 주요 사모운용사가 1호 공모펀드를 잇달아 출시하면서다. 고액 자산가만 가입할 수 있던 인기 펀드가 일반 투자자에게도 개방되면서 공모펀드 시장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공모펀드 최초 손익차등형 구조 도입1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VIP자산운용은 ‘VIP The First’를 오는 13일부터 300억원 한정으로 주요 증권사를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더제이자산운용은 지난달 25일 ‘더제이 더행복코리아’를 설정하고 이달부터 본격 판매에 나섰다.이들 펀드는 공모 시장에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액 자산가들이 투자하던 인기 상품이 공모 시장에서 출시된 것은 2019년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이 상품을 내놓은 후 처음이다.VIP자산운용은 일반투자자 모집금액 300억원에 회사 고유자금 34억원을 추가로 투입해 공모펀드 최초로 손익차등형 구조를 도입했다. 손실 발생 시 10% 한도까지 운용사 자기자본이 손실을 먼저 인식하고, 수익이 15% 날 때까지 운용사가 수익을 가져가지 않는 구조다.예컨대 펀드에서 10% 손실이 나면 고객은 손실이 없고, 20% 손실이 나면 고객은 10%만 손실을 본다. 수익이 15%를 초과하면 초과 수익분은 고객이 더 많이 가져간다. 수익 초과분의 65%는 고객이, 35%는 운용사가 가져가도록 했다.고객에게 유리한 대신 만기인 2024년 12월까지 중도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으로 출시된다. 펀드 형태는 7개 사모펀드를 균등 비중으로 투자하는 사모재간접 공모펀드다. 온라인으로 가입하는 Ae 클래스 기준으로 선취 수수료 0.5%, 보수 연 1.16%(판매보수 0.1% 포함)다. ‘1등기
▶마켓인사이트 2월 1일 오후 4시59분“최규옥 회장이 오스템임플란트 경영권 매각을 결정하는 데 KCGI(강성부 펀드)의 주주행동 캠페인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공개매수 단가가 주당 19만원까지 올라간 것도 KCGI의 영향이 컸죠. KCGI가 회사와 주주들을 위해 큰 역할을 했습니다.”주식 공개매수를 통한 오스템임플란트 경영권 인수를 추진 중인 유니슨캐피탈코리아(UCK)의 김수민 대표(사진)는 “공개매수에 성공한다면 행동주의 펀드와 경영참여형 펀드 간 역할 분담의 모범사례로 기록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1일 한국경제신문과 한 단독 인터뷰에서다.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인 UCK는 지난달 25일 MBK파트너스와 함께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한 공개매수를 발표했다. 최대주주인 최규옥 회장 지분 일부(9.3%)와 소액주주 보유 지분을 같은 가격인 주당 19만원에 인수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소액주주 지분 15.4% 이상을 확보하면 성공이다. 더 많은 주주가 응하면 모두 인수하기로 했다.시장에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스템임플란트 지분을 꾸준히 사들이며 주주행동 캠페인을 벌여온 KCGI가 공개매수에 응할지에 관심이 집중됐다. KCGI는 오스템임플란트 주식 6.92%를 확보했다. 주식을 UCK 측에 팔면 짧은 시간에 상당한 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행동주의 투자자로서 특별한 역할이 없었다는 비판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소수 주주로 남았다가 오스템임플란트가 상장폐지될 경우 투자회수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딜레마도 있다.국내에선 상법상 대주주가 95%의 지분을 확보하면 남은 주주의 동의 없이 상장을 폐지할 수 있다. 자진 상장폐지를 하지 않더라도 거래량이 부족하면 거래소가 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