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미국주식 순매수 전환…순매수액 8개월만에 최대 작년 말 급락했던 테슬라가 새해 첫 달 60% 급등하면서 '서학개미'들도 테슬라 매수액을 크게 늘렸다. 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31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 7억632만달러(한화 약 8천681억원)를 순매수했다. 작년 12월 미국 기술주들이 급락하면서 미국 주식을 2억2천94만달러(2천715억원) 순매도했던 국내 투자자들은 한 달 만에 다시 매수세로 전환했다. 특히 1월 순매수 액수는 작년 5월(18억6천22만달러·2조2천862억원)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서학개미들의 테슬라 사랑은 이어졌다. 투자자들은 작년 12월에 테슬라를 1억1천109만달러(1천365억원) 순매수한 데 이어 1월에는 순매수액을 2억8천161만달러(3천461억원)로 늘렸다. 순매수액 2위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베어 3X ETF(1억5천194만달러·1천867억원), 3위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숏 QQQ ETF(9천598만달러·1천180억원)와 큰 격차가 난다. 테슬라 주가가 새해 첫 달 들어 큰 상승률을 보이면서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통화 긴축 정책에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가 더해져 작년 12월 한 달간 주가가 30% 이상 급락했다. 지난달 25일 월가 예상치를 상회한 매출(243억2천만달러)과 주당 순이익(1.19달러)을 발표하고, 테슬라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는 관측을 일축한 이후 크게 올랐다. 올해 첫 거래일인 지난 3일 종가(108.10달러) 대비 31일 종가(173.22달러)는 60.2% 상승했다. 통화 긴축 기조 변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증권가에서는 미국 주식에 대해 성장주 위주로 접근하는 방안을 추천하고 있다. 작년 목표 멀티플(수익성 대비 기업가치) 조정이 컸던 성장주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종목 집중탐구식당에 들어서자 직원 대신 자동 주문기기가 손님을 맞이합니다. 주문한 음식이 완성되자 자리로 음식을 가져다주는 것은 요상하게 생긴 로봇입니다. 식사를 마치고 퇴식구에 빈그릇을 놓고 나올 때까지 유일하게 마주친 것은 주방안에 요리를 하는 조리사들이었죠.지금은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됐지만 얼마 전까지만해도 공상과학 소설이나 창의력 경진대회 같은 곳에 나왔던 아이디어들이었습니다. 달나라 여행, 드론 전쟁, 인공지능과의 채팅 등 꿈꿔왔던 것들이 현실이 돼고 있는 요즘입니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투자자에게 필요한 중요 덕목 중 하나는 '상상력'"이라고 했습니다. 미래에 대한 상상력에서 투자아이디어를 얻어야한다는 것이죠. 단타가 아닌 장기투자를 위해선 기업 분석 능력 뿐 아니라 미래 산업과 시장에 대한 통찰력이 있어야한다는 얘깁니다. 최근 핫한 '로봇' 관련주들만 봐도 그렇죠. 테마주를 찾아내기 전에 상상력을 발휘했다면 좀더 이른 시점에 로봇 테마를 선점할 수 있었을껍니다.시대가 시대이니 만큼 자율주행 시대에 대한 기대감도 상당합니다. 물론 테슬라 논란으로 '진짜 자율주행차가 거리를 활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이 들긴했지만 상상력에 베팅을 해본다면 주목해야할 종목이 있습니다. 최근 여의도 증권가에서 목표주가를 줄상향하고 있는 현대오토에버입니다. '현대'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아 현대차그룹 계열사 같긴한데 여전히 생소한 종목으로 여기는 분들도 있을껍니다. 마켓PRO가 현대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마켓 트렌드中증시로 몰려간 국내 투자자…1월 결제금액·종목 살펴보니순매수 1위 '귀주모태주'…반부패 정책 변수도CATL 등 고부가가치 종목도 상위권에 이름 올려증시 조정기 움츠러들었던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번에는 서쪽이 아닌 동쪽, 중국을 바라보고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소식과 함께 중국 증시가 살아날 것이란 판단에서다. 올 들어 월스트리트 금융가들은 중국에서 코로나19로 그동안 억눌린 수요와 축적된 저축액의 영향으로 소비 수요가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 증시도 가파른 반등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투자자들이 어떤 중국 주식을 샀는지 한경 마켓PRO가 살펴봤다.증권가에선 중국 내 경제활동이 빠르면 오는 2분기부터 본격 정상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중국 가계의 초과 저축분만 900조원에 달하며, 위드 코로나(일상 회복)와 함께 초과 저축분이 보복 소비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까지 나온다.국내 투자자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달(1월2일~30일) 중국과 홍콩 증시에서 결제금액 기준 각각 2900만4700달러(약 357억원), 5000만7600달러(615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중국 증시의 경우 작년 동기 순매도(123억원)에서 순매수로 전환, 홍콩 증시는 작년 1월(295억원)보다 2배 넘게 결제금액이 늘었다. 같은 기간 미국 증시의 결제 금액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작년 1월에 비해 3분의 1토막이 났다.외국계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올해 중국 상장사들의 이익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3%에서 17%로 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