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 꺾기'로 수천억 지원
CB 자금으로 국채 사게 해 담보
한계기업 '무늬만 자금조달' 도와
머니게임 세력은 CB 콜옵션 확보
KH·에디슨에도 실탄 제공
"과거 사채업자·저축銀이 했던
주가조작 돈줄 역할하는 셈"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방위산업 부품업체 휴센텍은 지난해 9월 7일 전환사채(CB)를 발행해 500억원을 조달했다. 그중 300억원을 다른 법인 출자에 쓰겠다고 공시했다. CB 인수자는 자기자본 기준 국내 6위 증권사 메리츠증권이었다. 휴센텍은 그로부터 두 달 전인 7월 리튬플러스 창업자 전웅 대표를 등기이사로 선임했다. 9월 3일에는 리튬플러스가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BW) 2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시장은 휴센텍이 수산화리튬 제조사 리튬플러스를 인수하는 수순으로 해석했다. 주가는 리튬 테마를 타고 급등했다. 하지만 휴센텍은 CB를 발행해 조달한 500억원 중 단 한 푼도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감사인 의견거절로 주식거래는 정지됐고, 경영진은 횡령·배임 혐의로 고소당했다.
수수께끼 같은 자금조달의 진실이 드러난 건 지난 4월 정정공시를 통해서다. ‘무늬만 자금조달’이었다. 메리츠는 500억원을 휴센텍에 납입하자마자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통화안정채권을 사도록 한 다음 담보로 잡았다. 3월 상장폐지 이슈가 불거지자 담보권을 행사해 원금을 회수했다. 이 과정에서 메리츠는 최소 32억원의 수수료를 챙겼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은행의 ‘꺾기’(기업에 돈을 빌려준 뒤 다시 예치하도록 강제하는 행위)나 사채업자의 ‘찍기’(유상증자로 돈을 잠시 회사에 넣어줬다가 빼가는 행위)를 연상시키는 거래”라고 말했다.
‘CB 공장’에 수천억원 ‘무늬만 투자’
대형 증권사마저 ‘CB 공장’을 활용한 무자본 인수합병(M&A) 세력을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하고 있다. 해당 세력과 이해를 일치시키면 무위험으로 수수료 및 투자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휴센텍 대주주가 쓰지도 못할 돈을 조달하기 위해 CB를 발행한 건 CB 콜옵션(매수선택권)을 손에 넣기 위해서다. 무자본 M&A를 통한 테마로 주가 부양에 성공하면 CB를 되사와 주식으로 전환해 큰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메리츠는 휴센텍 CB의 70%를 되살 수 있는 콜옵션을 대주주에 넘겼다. 일반 CB 콜옵션 비중보다 두 배 높은 수준이다. 계획대로 주가가 급등했다면 메리츠도 남은 CB 30%를 주식으로 전환해 추가 수익을 올렸을 수 있다. 회사의 미래나 소액주주 보호는 고려사항이 아니었다.
메리츠가 지난해 9월 이후 집행한 ‘무늬만 CB 투자’는 휴센텍을 포함해 3500억원이 넘는다. 얍엑스(500억원) 노블엠앤비(300억원) 금호전기(300억원) 에이치앤비디자인(270억원) 세종메디칼(200억원) 등이다. 특히 작년 말 금융당국이 CB 콜옵션 및 리픽싱(전환가격 조정) 규제 강화를 하기 직전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KH그룹·에디슨 조력자 역할
메리츠증권은 KH그룹과 에디슨모터스에도 적지 않은 자금을 댔다.
KH그룹에는 올초 강원 알펜시아리조트 인수 자금을 지원했다. KH필룩스·IHQ(각각 350억원), KH건설·KH전자(각각 150억원) 등이 발행한 CB 1000억원을 인수해주는 방식이었다. 그러면서 알펜시아리조트의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잡았다. 역시 무자본 M&A에 자금을 제공하면서 손실 리스크는 최소화한 무위험 투자였다.
메리츠는 또 6월 IHQ(200억원), KH건설(100억원) 등의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인수했다. 해당 주식에는 KH그룹 계열사가 상호 보증 형태로 부동산 자산 등을 담보로 제공했다.
메리츠는 에디슨모터스에 자금을 지원한 ‘큰손’ 투자조합에 자금을 융통해주기도 했다. 에디슨EV(현 스마트솔루션즈)가 인수한 유앤아이(현 이노시스)는 7월 한투오, 여의도글로벌투자 등을 대상으로 600억원 규모의 CB를 발행했는데, 메리츠증권이 발행 당일 CB 전량을 장외에서 인수해줬다. 동시에 CB 80%에 대한 콜옵션을 와이에스에이치홀딩스에 넘겼다. 이 거래의 핵심 인물인 한모씨 등은 에디슨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에 연루돼 구속됐다.
과거에도 ‘무늬만 BW’ 인수로 징계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과거 사채업자나 저축은행이 했던 ‘머니게임’의 돈줄 역할을 증권사들이 대신하고 있다”며 “금융감독원이 ‘CB 공장’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메리츠증권은 2014년에도 ‘무늬만 BW 투자’를 주도하다 기관주의 징계를 받은 전력이 있다. 빌려준 돈을 예금으로 예치하게 한 후 질권을 설정했다. 다만 이번에는 ‘회사가 동의하면 자금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계약서에 포함시켰다. 한 변호사는 “자본시장법 위반을 회피하기 위한 조항이지만 본질은 다르지 않다”며 “대주주는 배임, 증권사는 배임 동조 소지가 다분하다”고 말했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위험 자본을 공급하되 리스크를 면밀히 검토해 투자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증권사가 하는 일”이라며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기업들이 CB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투자자 역할을 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반도체 테스트 전문업체 에이티세미콘은 2019년 이후 총 11건의 전환사채(CB)를 발행했다. 이를 통해 조달한 돈(860억원)이 시가총액 1012억원(28일 종가 기준)과 맞먹는다. 매년 적자폭은 심각하다. 작년(-341억원)과 올해 3분기 누적(-649억원) 순손실이 1000억원에 육박한다. 전형적인 부실 ‘CB 공장’이다.에이티세미콘은 작년 5월 CB 200억원어치를 발행해 코스닥 신기술투자회사인 리더스기술투자 경영권을 인수했다. 이 무자본 인수합병(M&A)의 자금을 유진투자증권이 댄 셈이다.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 전자단기사채를 팔아 자금을 모은 후 에이티세미콘 CB를 사들였다. CB에 부실이 생기면 유진투자증권이 갚아주는 확약 조항도 넣었다. 그러면서 CB에 대한 콜옵션 100%를 대주주 측에 넘겼다. 에이티세미콘 CB 금리는 연 6%. 리더스기술투자 지분과 일부 예금을 담보로 잡았다. 한 증권사 기업금융 담당자는 “유진투자증권이 거둔 수익은 5% 안팎으로 추정되는데 한계기업의 부도 가능성을 고려하면 적은 수익을 위해 큰 리스크를 진 것”이라며 의아해했다. 유진투자증권 관계자는 “당시 에이티세미콘 증자 주관 업무를 맡아 그 연장선에서 리더스기술투자 인수금융을 대준 것”이라고 말했다. 자회사 세운 후 CB 인수토록 해에이티세미콘은 온갖 방법을 동원해 CB를 발행하고 유통했다. 2020년엔 자본금 30억원의 에이티에이엠씨를 100% 자회사로 설립한 뒤 에이티세미콘 CB를 인수하도록 했다. 한 회계사는 “100% 자회사가 모회사 CB를 인수한다는 건 이해하기 어려운 행위”라며 “회사가 스스로 CB 머니게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자인한 꼴”이라고 말했다. 에이티세미콘은 또 정윤호 부사장이 설립해 지분 100%를 보유한 삼성코퍼레이션을 대상으로 CB를 발행하기도 했다.CB는 장외로 돌고 돌다가 주가가 반짝하면 주식으로 전환돼 장내에서 팔렸다. CB 매물 폭탄은 연중 내내 쏟아지고 있다. 2020년 이후 주식으로 전환된 에이티세미콘의 CB 규모는 516억원에 이른다. 작년 4월 무상감자를 시행한 직후 1426만 주였던 발행주식 수는 현재 7228만 주로 다섯 배 이상 늘었다. 주가는 2020년 9월 8000원에서 1400원(28일 종가 기준)까지 추락했다. 에디슨모터스 세력의 ‘CB 차익거래’이 와중에 ‘선수’들은 짭짤한 수익을 내고 있다. 에이티세미콘은 유진투자증권이 보유했던 CB 200억원어치를 포함해 전체 300억원 규모의 CB를 지난 3월 아임(현 아임존)에 넘겼다. 아임은 한수지 대표가 최대주주, 한광종 씨가 감사로 있는 투자회사다. 두 사람은 에디슨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에 연루된 인물이다. 이들은 강영권 에디슨모터스 회장 측이 인수한 에디슨EV(스마트솔루션즈) 유앤아이(이노시스) 등에서 CB 투자로 큰돈을 번 것으로 알려졌다.아임은 한 대표 등에게 에이티세미콘 CB 중 일부를 장외로 넘겼다. 이들은 주가가 오를 때마다 CB를 주식으로 전환해 차익을 거뒀다. 한 대표가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올린 이익은 43억원 안팎으로 추산된다.아임은 에이티세미콘에 CB 인수대금 300억원을 완납하지 않았다. 현재까지 납입한 대금은 130억원에 불과하다. 아임은 단계적으로 에이티세미콘 CB를 처분해 인수대금을 마련하고 있다. 주가가 부진하면 납입 일정을 연기하고 있다. 한 기업금융 전문가는 “이미 발행된 CB로 땅 짚고 헤엄치기식의 차익거래를 하고 있는 셈”이라며 “결국 개인투자자 피해로 돌아오고 있다”고 지적했다.최석철/조진형 기자 dolsoi@hankyung.com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에 1% 넘게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2% 이상 떨어졌다. 28일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9.59포인트(1.21%) 내린 2408.27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2410선을 웃돌던 지수는 낙폭을 키워 2400선으로 밀렸다. 중국발(發) 리스크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외국인과 기관의 매물 출회가 확대됐기 때문이다.중국 코로나19 불확실성 여파에 위안화가 약세를 띄면서 원화 약세 압력이 커진 점도 외국인의 이탈을 부추겼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6.5원 오른 1340.2에 마감했다. 유가증권 시장에선 개인 홀로 3551억원어치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18억원, 2670억원 순매도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전국 수준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제로 코로나' 규제에 대한 항의 시위가 확산하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후퇴했다"며 "지난주 말 미국 블랙프라이데이가 연말 소비심리를 크게 자극할 정도의 영향력이 부재했다는 점도 국내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대체로 하락세였다. 특히 삼성전자(-1.48%)와 SK하이닉스(-2.35%)는 미 증시에서의 반도체 업종 약세 영향으로 1~2%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이후 15거래일 만에 장중 6만원선이 붕괴됐다. SK하이닉스는 이날 하락으로 시가총액 순위 3위에서 4위로 한계단 내려갔다.현대차(0.9%)와 삼성SDI(0.28%)만 올랐다. 현대차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 SK온과 미국 내 배터리 합작공장을 설립한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였다. 기아도 상승하다 장막판 힘이 빠져 보합으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15.66포인트(2.13%) 하락한 717.90에 장을 끝냈다. 개인은 2074억원 사들였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53억원, 1264억원 팔아치웠다. 시총 상위 10개주는 에코프로비엠(-3.44%), 셀트리온헬스케어(-1.85%), HLB(-6.21%) 등 9개 종목이 내렸다. 에코프로만 보합세를 띄었다.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2.97포인트(0.45%) 오른 34,347.03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4포인트(0.03%) 떨어진 4,026.12로, 나스닥지수는 58.96포인트(0.52%) 밀린 11,226.36으로 각각 거래를 마쳤다.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세에 1% 넘게 하락하고 있다.28일 오전 9시 10분 현재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26.58포인트(1.09%) 내린 2411.28에 거래되고 있다. 개인 홀로 1329억원어치 사들이고 있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92억원, 463억원어치 팔아치우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LG에너지솔루션(0.35%) 외 모두 내리고 있다. 삼성전자(-1.64%)와 SK하이닉스(-2.23%) 등 반도체 대장주는 1~2% 약세다. 지난 주말 뉴욕 증시에서 주요 반도체 업체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26% 하락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시간 코스닥 지수도 하락세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6.80포인트(0.93%) 하락한 726.76에 거래 중이다. 개인 혼자 478억원 순매수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47억원, 111억원 각각 순매도 중이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주도 대부분 파란불이 켜졌다. 에코프로비엠(-1.06%), 셀트리온헬스케어(-0.46%), HLB(-4.1%) 등 대체로 약세다. 엘앤에프는 보합세를 띄고 있고, 천보(0.12%)만 소폭 오르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2.3원 오른 1336원에 개장했다. 이날 국내 증시는 하락세가 예상되지만 내림폭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됐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에서 중국 코로나19 확신 여파로 제품 출하량 감소 소식이 전해지며 애플 관련주가 부진했던 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26% 하락한 점 등은 한국 증시에 부담"이라면서도 "반도체와 애플 부품주 등을 제외한 대부분 종목군이 강세를 보인 점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돼 하락폭은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는 30일(현지시간) 예정된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의 통화정책과 베이지북 공개를 앞두고 시장이 관망세를 펼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블랙 프라이데이 매출이 예상을 웃돌면서 Fed의 긴축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되살아났지만, 중국 코로나19 불확실성에 애플 중심의 기술주는 떨어졌다. 지난 25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2.97포인트(0.45%) 오른 34,347.03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4포인트(0.03%) 떨어진 4,026.12로, 나스닥지수는 58.96포인트(0.52%) 밀린 11,226.36으로 각각 거래를 마쳤다. 이날은 추수감사절 다음 날이자 블랙 프라이데이를 맞아 오후 1시 조기 폐장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