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기차(EV) 업체 테슬라 주가가 이번주에만 33% 급등하면서 2013년 5월 이후 주간 최대 랠리를 펼쳤다.27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는 전일 대비 11% 오른 177.9달러로 장을 마쳤다. 올해 첫 거래일인 지난 3일 종가와 비교하면 65% 급등한 수준이다.테슬라는 지난 25일 호실적을 기록한 뒤 이틀 연속 11%대 상승세를 보였다. 테슬라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주당 순이익은 각각 243억2000만 달러, 1.19달러로 월가 예상치를 웃돌았다.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실적 발표 이후 가진 콘퍼런스콜에서 전기차 수요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테슬라는 지난해 각종 악재에 시달리며 주가가 65% 빠지는 처참한 한 해를 보냈다. 경기 침체에 따른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가 커진 점이 직격탄을 날렸다. 세계 시장 전기차 1위 타이틀을 중국 BYD에 내줬으며,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로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여기에 트위터를 인수한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을 소홀히 한다는 '오너 리스크'가 더해지며 주가는 낙폭을 키웠다. 그러나 올해 들어 테슬라가 지나치게 과매도 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미국 증시가 상승하면서 테슬라도 상승 흐름을 탔다.테슬라 뿐 아니라 다른 전기차 업체들도 동반 랠리를 펼쳤다. 전기 픽업트럭과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만드는 리비안은 이번주 22% 올랐고,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도 각각 7% 넘게 상승했다. 고급 전기 세단을 생산하는 루시드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에 인수돼 비공개 회사로 전환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하루에만 43% 폭등했다.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뉴욕증시가 물가가 둔화했다는 경제지표 발표에 상승했다. 미 중앙은행(Fed)이 주시했던 지표였던 만큼 시장에선 금리인상 종료 기대감이 재차 고조됐다.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67포인트(0.08%) 오른 33,978.08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13포인트(0.25%) 상승한 4,070.56에, 나스닥지수는 109.30포인트(0.95%) 오른 11,621.71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에선 물가 둔화에 따른 피봇(통화정책 전환) 기대감이 퍼졌다. 개장 전 발표된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의 하락이 Fed의 긴축 기조에 변화를 줄 것이란 기대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12월 PCE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상승했다. 15개월 만의 최소 오름폭이다. 직전월인 11월 상승률(5.5%)보다도 떨어졌다. 월가 예상치엔 부합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4.4% 올랐다. 이는 14개월 만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지난 11월의 4.7% 상승보다도 낮았다. 시장 예상치엔 부합했다. 근원물가의 하락은 물가가 안정화되고 있다는 시그널이다. Fed가 향후 금리정책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기대인플레이션도 하락했다. 미시간대학이 발표한 1월 1년 기대인플레이션 중간값은 3.9%을 기록했다. 지난 12월 4.4% 대비 크게 완화하면서 4개월 연속 하락세를 그렸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9%로 전달과 같았다.기업들의 실적은 이날도 희비가 엇갈렸다.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 인텔은 실적 악화로 6.4% 급락했다. 인텔은 작년 4분기 매출 140억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145억달러)를 밑돌았다. 올해 1분기 예상치도 105억~115억달
“그동안 모은 돈 모두 주식과 코인에 올인했다. 고작 월급 300만원으로 언제 집 사고 부자 되나? 인생은 타이밍이다. 30대에 20억원 모아 깨끗하게 은퇴하겠다”주식, 부동산, 암호화폐 등 월급 빼고 모든 자산 가격이 급등했던 2020~2021년 코로나19 시기. 온라인 투자 커뮤니티에선 자칭 ‘고수’들이 넘쳐났습니다. 이들이 인증한 계좌 수익률은 수백%에 달했고 단 1~2년 만에 몇억원을 벌었다는 무용담도 곁들였습니다. 20~30대에 재테크 등 투자로 큰돈을 벌어 40세 전에 은퇴하겠다는 파이어족도 심심치 않게 등장했습니다. 이 시기 주가가 1300% 넘게 급등한 테슬라 투자자 중에도 이런 이들이 적지 않았습니다.그 많던 ‘고수’들은 다 어디로 갔나파티는 길지 않았습니다. 2022년 금리 인상이 시작되자 쓰나미 같은 하락장이 닥쳤습니다. 작년 한 해 S&P500지수 20%, 나스닥지수는 33%가량 하락했습니다. ‘암호화폐 대장’ 비트코인은 60% 넘게 급락했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무려 70%에 가까운 역대급 하락을 맞아야 했습니다. 수년간 장기 투자자마저 계좌에 빨간불이 들어왔고, 일부는 마진콜 위험 때문에 부랴부랴 주식을 처분하기도 했습니다.‘은행 저축은 리스크’라고 외친, 그 많던 투자 고수들과 파이어족은 자취를 감췄습니다. 투자 커뮤니티엔 공포감과 함께 탐욕에 대한 반성과 후회 섞인 글들이 올라오기 시작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이 거론된 투자 대가의 어록이 있습니다.“수익을 당연하게 여기는 생각은 하락장에서 확실하게 치유된다”영원한 ‘월가의 영웅’이자 뮤추얼 펀드의 전설. 최근 젊은 세대에겐 뼈 때리는 ‘금융 치료사’로 더 잘 알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