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표적인 투자자이자 자선사업가인 데이비드 부스 디멘셔널펀드 회장이 장기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요즘처럼 경기 침체가 예상될 때 더욱 필요한 전략이란 것이다.
부스 회장은 6일(현지시간) 투자 매체인 마켓워치에 기고한 글에서 “투자자들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먼저 투자의 목표를 제대로 설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 목적이 30년 후 은퇴라면 거기에 맞는 자산 배분이 가능하다는 논리다. 그는 과거 시카고대 경영대학원에 3억달러 이상 기부했고, 시카고대는 대학원 명칭을 ‘부스경영대학원’으로 바꿨다.
미국 뉴욕증시의 S&P500지수는 지난 95년간 연평균 10%씩 상승했다는 게 데이비드 부스 회장의 설명이다.부스 회장은 “가장 중요한 건 장기 투자하는 것”이라고 했다. 장기 투자할 땐 중·단기간의 수익률을 예측하는 게 필요없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주가가 하락했다고 해서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도 없다.
그는 “1년에 10%의 수익률을 달성하는 건 무척 어려운 일이지만 장기로 보면 그렇지 않다”며 “뉴욕증시는 지난 95년간 연평균 10%씩 꾸준히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약세장을 수차례 경험하더라도 장기로 보면 이런 고수익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데이비드 부스 디멘셔널펀드 회장.부스 회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높은 인플레이션, 경기 불황 등을 예측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며 “따라서 이런 사태를 예측하지 말고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전쟁 등 충격은 항상 시장을 급변동시킬 만큼 놀라운 일”이라며 “그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증시가 급변동하지 않는다면 ‘충격적인 사태’는 이미 시장 가격에 반영돼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월마트의 예상을 웃돈 실적 발표에 오른 반면 나스닥지수는 하락했다.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보다 239.57포인트(0.71%) 상승한 34,152.01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06포인트(0.19%) 오른 4,305.2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5.50포인트(0.19%) 하락한 13,102.55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이날 다우지수는 5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낸 월마트와 홈디포 등 소매주가 지수를 이끌었다. 소매 기업들의 실적은 물가 상승에도 소비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작용했다. 시장은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월마트는 올 2분기 1528억6000만달러의 매출액을 거둬 월가 시장 전망치(1508억1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주당순이익은 1.77달러로 집계됐다. 전망치(1.62달러)보다 높은 실적이다. 또 다른 소매업체인 홈디포의 2분기 실적 역시 매출액 437억9000만달러, 주당순이익 5.05달러로 월가 예상치를 웃돌았다.월마트는 5%, 홈디포는 4% 넘게 올랐다. 실적 발표를 앞둔 타깃과 가전제품 매장인 베스트바이도 각각 4% 이상 상승했다.반면 엔비디아(-0.8%)와 AMD(-0.81%), 애플(-0.09%), 마이크로소프트(-0.76%) 등 기술주는 약세를 보였다.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스는 씨티그룹의 매도의견 영향에 3% 넘게 하락했다. 테슬라도 0.89% 소폭 내렸다.투자자들은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도 주시했다. 7월 미국의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6% 증가했다. 월가 예상치인 0.3% 증가보다 높았다.일부 지표는 경기 침체를 암시하기도 했다. 7월 신규주택 착공은 144만6000채로 전월
뉴욕증시는 월마트와 홈디포 등 소매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혼조세를 보였다. 1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보다 239.57포인트(0.71%) 상승한 34,152.01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06포인트(0.19%) 상승한 4,305.2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5.50포인트(0.19%) 하락한 13,102.55를 나타냈다. 다우지수는 5거래일 연속 상승했고, S&P500지수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나스닥지수는 약간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월마트, 홈디포 등 소매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미국 경제 지표 등을 주시했다. 소매 기업들의 실적은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지출 동향을 살피는 변수로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월마트는 이날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7월 말로 끝난 회계 2분기 월마트의 순이익은 51억5천만 달러(주당 1.88달러)로 집계됐다. 월마트 주가는 5% 이상 올랐다. 또 다른 소매업체인 홈디포와 타깃의 주가는 각각 4% 이상 상승했다. 홈디포의 2분기 실적 역시 매출 437억9천만 달러, 주당순이익 5.05달러로 월가 예상치를 넘었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엇갈렸다. 7월 신규주택 착공은 전월 대비 9.6% 감소한 연율 144만6천 채(계절 조정)로 집계돼 시장의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줄었다. 시장의 예상치는 2.5% 줄어든 152만 채였다. 이번 수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8.1% 줄었다. 7월 산업생산은 도매 물가 상승과 공급망 차질에도 계절 조정 기준 전월보다 0.6% 증가했다. 전월에는 변화가 없었다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의 예상치인 0.3% 증가를 웃돌았다. 종목별로 보면
뉴욕증시는 월마트와 홈디포 등 소매기업들의 실적 발표 속에 혼조세로 출발했다. 1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23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6.99포인트(0.26%) 상승한 33,999.43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83포인트(0.16%) 떨어진 4,290.31을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92.52포인트(0.70%) 밀린 13,035.53을 기록 중이다. 투자자들은 소매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미국 경제 지표 등을 주시했다. 소매 기업들의 실적은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지출 영향을 가늠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왔다. 이날 월마트와 홈디포는 엇갈린 실적을 발표했다. 월마트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해 주가는 4% 이상 올랐다. 월마트는 지난 7월에 이미 실적이 부진할 수 있다고 예고한 바 있다. 반면, 홈디포의 주가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도 1% 이상 하락했다. 매출은 늘었으나 고객들의 거래량이 줄었다는 소식에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업들의 실적은 다음날 예정된 소매판매 지표를 앞두고 나왔다. 7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0.1% 증가하는 데 그쳐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6월에도 소매판매는 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시장은 다음날 발표되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을 주시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7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했으며, 9월에도 추가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엇갈렸다. 7월 신규주택 착공은 전월 대비 9.6% 감소한 연율 144만6천채(계절 조정)로 집계돼 시장의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줄었다.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