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15~19일) 뉴욕증시는 7월 소매판매 지표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앞두고 방향성을 모색하며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3대 지수가 모두 상승세로 마감하면서 차익실현 압박은 커진 상태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한 주간 2.92%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26%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나스닥지수는 3.08% 상승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4주 연속 올라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오랫동안 올랐다. 이러한 강세 흐름이 지속되려면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된다는 신호가 계속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에 나오는 지표는 소매판매와 주택 관련 지표가 주를 이룬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치에 따르면 7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0.1%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돼 부진할 전망이다. 지난 6월에도 소매판매는 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잘 나와준다면 투자 심리는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에도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소비가 살아있어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떨쳐낼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 지표는 최근 들어 둔화세를 보였다. 높은 금리와 주택 가격으로 수요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주택 착공이나 허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림1*. 이번 주에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지난 7월 통화정책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회의록이 나온다. 7월에는 연준이 2회 연속 0.75%포인트라는 '자이언트 스텝'으로 긴축 강도를 높였던 때다. 이번 회의록에서는 연준이 9월에도 0.75%포인트 금리를 올릴지, 아니면 현재 시장에 반영된 것처럼 0.50%포인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4.38포인트(1.27%) 오른 33,761.0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2.88포인트(1.73%) 상승한 4,280.15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7.27포인트(2.09%) 뛴 13,047.19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4주 연속 상승했다. 이는 둘 다 지난해 11월 첫 주까지 5주 연속 오른 후 가장 오랫동안 상승한 것이다. S&P500지수는 6월 중순 저점 이후 17%가량 올랐으며 나스닥지수는 6월 저점 대비 23%가량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6월 저점 대비 14%가량 올랐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살아난 모습이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모두 둔화한 가운데 이날 발표된 7월 수입 물가도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4% 하락해 전달 기록한 0.3% 상승에서 하락세로 돌아섰을 뿐만 아니라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1.0% 하락보다 더 크게 내렸다. 수입 물가가 하락한 데는 에너지 수입 물가가 전달보다 7.5% 하락하는 등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떨어진 것이 반영됐다.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엇갈렸다. 미시간대학이 발표한 8월 12개월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로 집계돼 전달 기록한 5.2%에서 낮아졌다. 반면 향후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전달의 2.9%에서 올랐다. 8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는 55.1로 전달 기록한 51.5에서 상승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1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6.99포인트(0.32%) 오른 33,443.66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98포인트(0.55%) 상승한 4,230.25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2.68포인트(0.88%) 뛴 12,892.59를 기록 중이다. S&P500지수는 4주 연속 올랐으며, 이번 주 오름세로 마감할 경우 지수는 2020년 11월 27일로 끝난 주간 이후 가장 오래 상승세를 유지한 것이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 지표를 주시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살아났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모두 둔화한 가운데 이날 발표된 7월 수입 물가도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4% 하락해 전달 기록한 0.3% 상승에서 하락세로 돌아섰을 뿐만 아니라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1.0% 하락보다 더 크게 내렸다. 수입 물가가 하락한 데는 에너지 수입 물가가 전달보다 7.5% 하락하는 등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 하락이 크게 떨어진 것이 반영됐다. 인플레이션 기대는 엇갈렸다. 미시간대학이 발표한 12개월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로 집계돼 전달 기록한 5.2%에서 낮아졌다. 반면 향후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전달의 2.9%에서 올랐다. 8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는 55.1로 전달 기록한 51.5에서 상승했고, 시장의 예상치인 52.5보다 높았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