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미국에서 발표될 가장 중요한 경기 지표는 6월의 비농업 일자리 수다. 고용은 물가와 함께 미 중앙은행(Fed)이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이기 때문이다.
오는 8일 미 노동부가 내놓는 비농업 일자리 수가 시장 예상보다 크게 늘었거나 줄었다면 통화 정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일자리 수가 급증했다면 Fed 긴축을 자극할 수 있는 반면 급감했다면 긴축 속도를 더디게 만들 수 있어서다. 6월 비농업 일자리 수는 30만 개 안팎 증가했을 것이란 게 시장 예측이다.
5월엔 일자리 수가 전달 대비 39만 개 늘었다. 증가 폭이 전달(43만6000개)보다 줄었으나 시장 예상(32만5000개)은 웃돌았다. Fed가 6월 14~15일의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75bp(1bp=0.75%포인트) 인상하도록 만드는 데 일조했다.
같은 날 실업률도 나온다. 5월 실업률은 3.6%로, 역대 최저치(2020년 2월 기준 3.5%)에 근접했다.
오는 8일 미국의 6월 기준 비농업 일자리 수 및 실업률이 공개된다. 미 노동부 및 트레이딩이코노믹스 제공
앞서 6일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공개된다. 6월 회의 때 FOMC 위원들이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7월 26~27일로 예정된 차기 FOMC 회의 때 50bp 쪽에 방점을 찍었는지, 아니면 75bp 인상을 선호하는지 힌트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
Fed 위원들이 개별적으로 내놓는 발언도 주목해야 한다. 기준금리 인상 폭이 인플레이션과 함께 경기 침체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뉴욕증시 변동성을 상당폭 키우는 요인이다.
4일은 월요일이지만 독립기념일이어서 뉴욕증시가 휴장한다. 다음주에 직전분기 실적을 내놓는 기업 중에선 증시에 영향을 끼칠 만한 기업은 거의 없다.
국내 벤처·스타트업 종사자가 76만여 명으로 1년 새 1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벤처·스타트업 3만4362곳의 고용 인원이 76만1082명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발표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9.7%(6만7605명) 늘어난 수치다.이는 같은 기간 전체 기업의 고용 증가율(3.3%)보다 세 배 정도 높다. 벤처투자를 유치한 기업의 고용 증가율은 40.5%로 전체 보험가입자 증가율보다 12배 이상 높았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벤처·스타트업 종사자는 72만2000여 명으로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그룹 종사자(72만 명)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벤처·스타트업 고용 인원 중 만 15~29세 청년은 20만4437명(26.9%)으로 1년 전보다 8% 증가했다. 여성 종사자는 24만9411명으로 전체의 32.8%를 차지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고용보험 가입자 중 청년이 2만9948명 늘었는데 이 중 절반 이상이 벤처·스타트업 종사자”라며 “벤처·스타트업이 청년 일자리 창출의 새로운 주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올 상반기 벤처투자를 유치한 회사는 1년 동안 약 1만3000명을 신규 고용했다. 벤처투자 10억원당 고용 증가 효과는 약 2.3명으로 나타났다.1년 전과 비교해 고용을 가장 많이 늘린 벤처·스타트업 10곳의 신규 고용 인원은 4048명으로 전체 고용 증가의 약 6%를 차지했다. 이 중 가장 많이 인원을 늘린 회사는 컬리(마켓컬리)로, 1년 새 701명 증가했다. 비바리퍼블리카(토스)는 297명,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는 252명을 새로 고용했다. 이번 조사 대상에 포함된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14곳은 1만942명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
미국인들의 물가상승 심리가 한풀 꺾였다. 치솟는 인플레이션이 진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10일 발표되는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세도 진정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미국 뉴욕연방은행은 7월 조사에서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6.2%를 기록했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6월 조사(6.8%)보다 0.6%포인트 낮아진 수치다.향후 1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두 달 연속 상승했다가 이번 조사에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향후 3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2%, 5년간 기대인플레이션 전망은 2.3%로 전달보다 각각 0.4%포인트, 0.5%포인트 떨어졌다.식료품과 휘발유 가격이 진정세에 접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물가 상승 기대심리를 꺾었다. 설문 참가자들은 식료품의 향후 1년 기대인플레이션율이 6.7%에 달할 것이라고 답했다. 9.2%에 달했던 6월 조사보다 2.5%포인트 낮아졌다. CNBC방송은 “2013년 6월 후 가장 큰 월간 하락 폭”이라고 했다.휘발유의 향후 1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5%로 추산됐다. 5.6%였던 6월 조사의 전망치가 크게 하락했다. 미국의 휘발유 가격은 갤런당 5달러를 넘은 6월 둘째 주 이후 50일 넘게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미국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효과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Fed는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올해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2.25%포인트 올렸다. 지난 6, 7월에는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도 밟았다. CNBC방송은 “소비자들이 물가상승이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며 “Fed의 큰 승리”라고 평가했다.물가상승 심리가 누그러지면서 Fed가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애플의 음성 비서 '시리(Siri)'와 얼굴 인식 기능 '페이스ID'엔 공통점이 있다. 애플이 스타트업 인수를 통해 새롭게 선보인 기술이란 점이다. 터치 ID와 애플뮤직, 애플뉴스도 스타트업 인수의 산물로 꼽힌다.혁신의 기반이 된 애플의 인수합병(M&A)이 2년 새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등 공격적인 M&A에 나서는 다른 빅테크와는 대조적인 행보라는 평가다. 경기침체 우려와 정부의 규제 칼날 속에 애플의 기업 매수 심리가 움츠러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기 불확실성에 M&A 침체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이 2021회계연도(2020년 10월~2021년 9월)에 M&A에 쏟아부은 자금은 3300만달러(약 430억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5억달러) 보다 97.8% 급감했다. 지난 6월까지 9개월간 인수 대금은 1억6900만달러로 늘어났지만 2년 전에 비해 턱없이 적다. 블룸버그는 "MS 메타 아마존과 같은 경쟁사와 비교하면 터무니없이 적은 액수"라면서 "3~4주에 한 번꼴로 회사를 인수하던 애플의 M&A 속도가 급격히 둔화됐다"고 전했다.그간 애플의 M&A는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뤄졌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작년 2월 "애플이 최근 6년간 100여 개 기업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초대형 기업 인수에 초점을 맞춘 다른 경쟁사와는 상반된 전략이었다.하지만 최근 들어 인수 속도는 눈에 띄게 느려졌다. 올해 애플이 인수한 기업은 영국 스타트업 크레디트쿠도스(핀테크 업체)와 AI뮤직(음악 스타트업) 등 단 두 군데 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M&A도 실종됐다. 현재까지 애플이 인수한 가장 큰 규모의 기업은 헤드폰 제조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