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시중 통화량이 늘어나는데도 신규 대출은 감소하는 ‘유동성 함정’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침체, 코로나19 통제 등이 복합된 경기 하강 우려에 기업들이 현금 보유를 늘리는 것으로 분석된다.14일 인민은행 월간 금융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7월 평균 광의 통화량(M2)은 257조위안(약 4경9796조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 늘었다. 반면 7월 신규사회융자 금액은 7561억위안으로 28.6% 감소했다. 사회융자는 은행 대출에 회사채, 보험 융자 등을 더한 개념으로, 중국은 2011년부터 이를 대표 유동성 지표로 삼고 있다.중국의 7월 M2 증가율 12%는 2016년 5월 12.8% 후 6년여 만의 최고치다. 경기가 좋을 때는 보통 M2와 대출이 함께 늘어난다. 대출이 줄어드는 가운데 M2가 증가하는 것은 경기 악화를 예상한 기업들이 현금을 쌓아두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런 상황에선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을 써도 유동성이 실물 경제로 가지 않아 정책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른바 ‘유동성 함정’에 빠졌다는 의미다.특히 중국 정부가 경기를 띄우기 위해 은행들에 대출을 늘리라고 독려하는 와중에 대출이 오히려 줄어든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중국의 신규사회융자는 상하이 봉쇄 시기인 지난 4월 26개월 만에 최저치인 9102억위안으로 줄었다. 이후 5월 2조7900억위안, 6월 5조1700억위안 등으로 회복했다가 7월에 다시 급감했다. 정부의 정책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사회융자 가운데 기업 대출은 6월 2조2100억위안에서 7월 2877억위안으로 87% 쪼그라들었다. 회사채 발행도 2357억위안에서 734억위안으로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가계 대출은 8428억위안에서 1217억위안으
이번 주(15~19일) 뉴욕증시는 7월 소매판매 지표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앞두고 방향성을 모색하며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3대 지수가 모두 상승세로 마감하면서 차익실현 압박은 커진 상태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한 주간 2.92%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26%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나스닥지수는 3.08% 상승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4주 연속 올라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오랫동안 올랐다. 이러한 강세 흐름이 지속되려면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된다는 신호가 계속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에 나오는 지표는 소매판매와 주택 관련 지표가 주를 이룬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치에 따르면 7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0.1%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돼 부진할 전망이다. 지난 6월에도 소매판매는 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잘 나와준다면 투자 심리는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에도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소비가 살아있어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떨쳐낼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 지표는 최근 들어 둔화세를 보였다. 높은 금리와 주택 가격으로 수요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주택 착공이나 허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림1*. 이번 주에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지난 7월 통화정책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회의록이 나온다. 7월에는 연준이 2회 연속 0.75%포인트라는 '자이언트 스텝'으로 긴축 강도를 높였던 때다. 이번 회의록에서는 연준이 9월에도 0.75%포인트 금리를 올릴지, 아니면 현재 시장에 반영된 것처럼 0.50%포인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4.38포인트(1.27%) 오른 33,761.0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2.88포인트(1.73%) 상승한 4,280.15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7.27포인트(2.09%) 뛴 13,047.19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4주 연속 상승했다. 이는 둘 다 지난해 11월 첫 주까지 5주 연속 오른 후 가장 오랫동안 상승한 것이다. S&P500지수는 6월 중순 저점 이후 17%가량 올랐으며 나스닥지수는 6월 저점 대비 23%가량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6월 저점 대비 14%가량 올랐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살아난 모습이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모두 둔화한 가운데 이날 발표된 7월 수입 물가도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4% 하락해 전달 기록한 0.3% 상승에서 하락세로 돌아섰을 뿐만 아니라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1.0% 하락보다 더 크게 내렸다. 수입 물가가 하락한 데는 에너지 수입 물가가 전달보다 7.5% 하락하는 등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떨어진 것이 반영됐다.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엇갈렸다. 미시간대학이 발표한 8월 12개월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로 집계돼 전달 기록한 5.2%에서 낮아졌다. 반면 향후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전달의 2.9%에서 올랐다. 8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는 55.1로 전달 기록한 51.5에서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