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전쟁에 공급망 붕괴
에너지·식품가격 전방위 급등
Fed, 추가 자이언트 스텝 예고
경기침체 우려 갈수록 커져
"증시 50% 폭락할 수 있다"
'닥터 둠' 루비니 우울한 경고
올 상반기 뉴욕증시가 52년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냈다. S&P500지수는 올 상반기 20.6% 하락해 1932년, 1962년, 1970년에 이어 역사상 네 번째로 상반기 낙폭이 컸다.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붕괴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인플레이션이 악재였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 인상 등 긴축에 나서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커졌다.
美 증시, 올 들어 1경원 증발
지난달 30일(현지시간) S&P500지수는 전일보다 33.45포인트(0.88%) 떨어진 3785.38에 장을 마쳤다. 올 상반기 20.6% 떨어져 1970년(-21.0%) 후 하락폭이 가장 컸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친 2008년(-12.8%)과 닷컴 버블이 터진 2002년(-13.8%)보다 성적이 나빴다. 업종별로는 유가 상승의 수혜를 본 에너지주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올초 최고점을 찍은 뉴욕증시는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하락세를 탔다. 국제 유가와 밀 등 식량 가격이 상승하자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8.5%로 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월 CPI 상승률은 8.6%로 더 높아지면서 인플레이션 위기가 심화됐다. Fed는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제로금리’ 시대를 끝냈고, 지난달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며 유동성 축소에 나섰다.
이 여파로 상반기 다우존스지수는 15.3%, 나스닥지수는 29.5%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2분기에만 22.4% 떨어져 2008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 증시를 이끌어온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 주가가 크게 내렸다. 넷플릭스(226.78 -1.36%)는 상반기 주가가 71% 하락했다. 페이스북(167.11 -2.03%) 모기업 메타는 52%, 아마존은 36% 떨어졌다. 애플(165.35 -0.28%)과 구글 모기업 알파벳(118.22 -0.55%)의 하락률도 각각 23%와 25%였다. 대형·중소형주를 포괄하는 S&P1500종합지수를 기준으로 추산한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증시에서 올 들어서만 9조달러(약 1경1600조원)가 증발했다.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채권 시장도 부진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올초 연 1.63%에서 지난달 말 기준 연 3.01%까지 뛰어올랐다. 상반기에만 가격이 10% 하락했다.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이 같은 채권 가격 하락은 1788년 이후 처음이다.
하반기 전망도 밝지 않아
하반기 증시 반등을 점치는 낙관론자들은 역사적으로 S&P500지수가 상반기 폭락한 해에는 하반기에 큰 폭의 반등이 있었다고 입을 모았다. 네드데이비스리서치에 따르면 S&P500지수는 1932년 상반기에 36.9% 떨어졌지만 하반기에 34.6% 반등했다. 1962년에도 상반기 낙폭(-22.1%)을 하반기(13.2%)에 일부 만회했다. 다만 에드 클리솔드 네드데이비스 수석전략가는 “이번에는 미국 경기가 침체를 피해야 증시가 반등할 수 있다”며 “답은 결국 Fed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지난달 29일 유럽중앙은행(ECB) 연례 포럼에서 경기 침체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기준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고 했다. 인플레이션이 꺾였다는 수치가 나오지 않는 이상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Fed가 한 차례 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경기 침체의 적신호는 이미 켜졌다. 애틀랜타연방은행은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0%를 기록했을 것으로 집계했다. 1분기(-1.6%)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기술적 경기 침체로 간주된다. 모건스탠리도 2분기 GDP 증가율 추정치를 기존 2%에서 0.3%로 낮췄다.
도이체방크가 월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8%가 내년이 지나기 전 미국 경기가 침체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2월에는 31%, 지난달에는 78%였던 응답률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경기가 내년 이후 침체될 것으로 본 응답자는 2월 59%에서 이달 8%로 줄었다.
‘닥터 둠’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이날 기고문을 통해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부채 위기까지 더한 복합 경제위기에 빠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빠른 속도의 긴축은 ‘좀비’ 가계 및 기업, 정부를 디폴트(채무불이행)로 몰고 갈 수도 있다”며 “통상 경기 침체가 오면 증시가 약 35% 하락하는데 이번에는 50%까지 폭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 선물 가격이 나흘 연속 하락하며 5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또 다른 안전자산인 달러와 채권의 투자 매력도가 상승한 데 따른 영향이다.지난달 30일(현지시간) 투자전문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금 8월물 가격은 전날보다 10.2달러(0.6%) 떨어진 트로이온스(31.1g)당 1807.3달러를 기록했다. 나흘 연속 하락세다. 지난 3월 연중 최고치(2049.9달러)에 비해선 12% 가까이 내렸다.금은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회피) 수단으로 각광받는 안전자산이다.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 국면에서 금값이 오를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하지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 속에 달러 가치는 치솟고 금값은 떨어지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시티인덱스의 파와드 라자크자다 애널리스트는 “금리 상승에 대한 기대와 달러 강세로 금값이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헤지를 위해 금에 투자한다면 이득을 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트 멜렉 TD증권 글로벌 상품전략 책임자는 “Fed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이 매파(통화 긴축 선호) 행보를 이어가는 데 대해 금값이 뒤늦게 반응하고 있다”고 했다.금 매수세가 채권으로 일부 옮겨갔다는 분석도 나온다. 채권은 금과 달리 이자를 지급한다. Fed가 다음달에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 채권 금리도 덩달아 상승한다. 마켓워치는 “높은 금리는 채권을 더 매력적인 투자처로 만든다”며 “반면 이자를 주지 않는 금에 대한 수요는 위축된다”고 말했다.금 가격이 반등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금 가격 하락에 대한 베팅이 늘어나서다. 멜렉 책임자는 금 선물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1795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상반기 뉴욕증시가 52년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냈다. S&P500 지수는 올 상반기 20.6% 하락해 1932년, 1962년, 1970년에 이어 역사상 4번째로 상반기 낙폭이 큰 해가 됐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와 식품 가격이 치솟았고, 코로나19 여파로 공급망 차질이 이어지며 촉발된 인플레이션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기 때문이다. 고물가를 잡기 위해 미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올리며 경기 침체 우려도 커졌다.하반기 전망은 엇갈린다. 역사적으로 상반기 증시가 급락한 해는 하반기에 반등했다는 낙관도 있다. 대공황 시대인 1932년, 미국 역사상 가장 긴 경기확장 국면이 끝났던 1970년에도 하반기 증시가 살아나 상반기 부진을 만회했다.그러나 이번은 다르다는 비관도 만만치 않다. ‘닥터 둠’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공급발 인플레이션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며 “증시가 50%까지 폭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美 증시, 올 들어 1경원 증발지난달 30일(현지시간) S&P500 지수는 전일보다 33.45포인트(0.88%) 떨어진 3785.38에 장을 마쳤다. 올 상반기 20.6% 떨어져 1970년(-21.0%) 이후 하락폭이 가장 컸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친 2008년(-12.8%), 닷컴 버블이 터진 2020년(-13.8%)보다 성적이 나빴다. 업종별로는 유가 상승의 수혜를 본 에너지주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다우존스 지수는 상반기 기준으로 15.3%, 나스닥지수는 29.5%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2분기에만 22.4% 떨어져 2008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코로나19 사태 이후 미 증시를 이끌어 온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주가 이 기간 대거 폭락했다. 넷플릭스는 상반기 주가가 71% 하락했다.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는 이 기간 52%, 아마존은 36% 떨어졌다. 애플과 구글 모기업 알파벳도 각각 23%, 25% 밀렸다. 대형·중소형주를 포괄하는 S&P1500종합지수를 기준으로 추산한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증시에서 올 들어서만 9조달러(약 1경1600조원)가 증발했다.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채권 시장도 부진한 성적표를 냈다.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올 초 연 1.63%에서 지난달 말 기준 3.01%까지 뛰어올랐다. 가격은 상반기 기준 10% 하락했다. 투자은행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채권 가격이 상반기에 이만큼 부진한 것은 1788년 이후 처음이다.올 초 최고점을 찍었던 뉴욕증시는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하락세를 탔다. 국제유가와 밀 등 식량가격이 상승하자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5%로 41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고, 5월(8.6%) 이를 경신하며 인플레이션 위기가 심화됐다. 이에 미 중앙은행(Fed)이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제로금리’ 시대를 끝냈고, 지난달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며 유동성 축소에 나섰다.하반기 증시 전망 어두워하반기 증시 반등을 점치는 낙관론자들은 역사적으로 상반기 S&P500 지수가 폭락한 해 하반기에 큰 폭으로 반등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에 따르면 1932년 상반기 S&P500는 36.9% 떨어졌지만 하반기 34.6% 반등했다. 1962년에도 상반기 낙폭(-22.1%)을 하반기(13.2%)가 일부 만회했다. 다만 에드 클리솔드 네드 데이비스 수석 전략가는 “증시는 미국 경기가 침체를 피해야 반등할 수 있다”며 “답은 결국 Fed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지난달 29일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유럽중앙은행(ECB) 연례 포럼에서 경기 침체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기준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고 했다. 인플레이션이 꺾였다는 수치가 나오지 않는 이상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Fed가 한 차례 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경기 침체의 적신호는 이미 켜졌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은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일 것으로 집계했다. 1분기(-1.6%)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기술적 경기 침체로 간주된다. 모건스탠리도 2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를 기존 2%에서 0.3%로 낮췄다.이달 도이체방크가 월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8%가 내년이 지나기 전 미국 경기가 침체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2월에는 31%, 지난달 78%였던 응답률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경기가 내년 이후 침체될 것으로 본 응답자는 2월 59%에서 이달 8%로 줄었다.‘닥터 둠’ 루비니 교수는 이날 국제 기고 전문 매체 ‘프로젝트 신디케이트’를 통해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부채 위기까지 더한 복합 경제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전쟁과 코로나19 등 공급 부문에서 유발한 인플레이션은 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을 썼을 때 경기 침체를 불러올 확률이 높다는 것.그는 “세계 정부와 민간 부채 수준이 현재 350% 수준인 점을 고려할 때 빠른 속도의 긴축은 ‘좀비’ 가계 및 기업, 정부를 디폴트(채무불이행)로 몰고 갈 수도 있다”며 “증시가 추가로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금 선물 가격이 나흘 연속 하락하며 5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달러와 채권 가치가 높아지면서 금의 투자 매력도가 감소한 영향이다.투자전문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금 8월물 가격은 전날 대비 10.2달러(0.6%) 하락한 트로이온스(31.1g)당 1807.3달러를 기록했다. 나흘 연속 하락세다. 지난 3월 연중 최고치(2049.9달러)에 비해선 12% 가까이 내렸다.금은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회피) 수단으로 각광받는 안전자산이다.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 국면에서 금값이 오를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 하지만 Fed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면서 또 다른 안전자산인 달러 가치가 치솟고 금값은 떨어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시티인덱스의 파와드 라자크자다 애널리스트는 "금리 상승에 대한 기대감과 달러 강세로 금값이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면서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로 이득을 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TD증권의 바트 멜렉 글로벌 상품전략 책임자는 "Fed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이 매파(통화 긴축 선호) 행보를 이어가는 것에 대해 금값이 뒤늦게 반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금 매수세가 채권으로 일부 옮겨갔다는 분석도 나온다. 채권은 금과 달리 이자를 지급한다. Fed가 다음 달에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 채권 금리도 덩달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켓워치는 "높은 금리는 채권을 더 매력적인 투자처로 만든다"면서 "반면 이자를 주지 않는 금에 대한 수요는 위축됐다"고 전했다.앞서 금 가격은 지난달 27일 일시적으로 상승하기도 했다. 주요 7개국(G7)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제재 조치로 러시아산 금 수입을 금지할 것이란 보도가 나온 날이었다. 하지만 상승세는 오래가지 않았다. 씨티인덱스의 파와드 라자콰다 애널리스트는 "금 공급량을 보완할 수 있는 국가들이 충분하다"며 "제재로 인한 금 가격 영향은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수준"이라고 했다.금 가격이 반등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금 가격 하락에 대한 베팅이 늘어나서다. 멜렉은 금 선물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1795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바트레이드의 니암 아슬람 수석 애널리스트는 "매우 불확실한 투자 환경에서 위험을 피하려는 수요가 있기 때문에 금 가격은 폭락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변동성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