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4.38포인트(1.27%) 오른 33,761.0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2.88포인트(1.73%) 상승한 4,280.15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7.27포인트(2.09%) 뛴 13,047.19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4주 연속 상승했다. 이는 둘 다 지난해 11월 첫 주까지 5주 연속 오른 후 가장 오랫동안 상승한 것이다. S&P500지수는 6월 중순 저점 이후 17%가량 올랐으며 나스닥지수는 6월 저점 대비 23%가량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6월 저점 대비 14%가량 올랐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살아난 모습이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모두 둔화한 가운데 이날 발표된 7월 수입 물가도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4% 하락해 전달 기록한 0.3% 상승에서 하락세로 돌아섰을 뿐만 아니라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1.0% 하락보다 더 크게 내렸다. 수입 물가가 하락한 데는 에너지 수입 물가가 전달보다 7.5% 하락하는 등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떨어진 것이 반영됐다.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엇갈렸다. 미시간대학이 발표한 8월 12개월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로 집계돼 전달 기록한 5.2%에서 낮아졌다. 반면 향후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전달의 2.9%에서 올랐다. 8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는 55.1로 전달 기록한 51.5에서 상승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1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6.99포인트(0.32%) 오른 33,443.66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98포인트(0.55%) 상승한 4,230.25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2.68포인트(0.88%) 뛴 12,892.59를 기록 중이다. S&P500지수는 4주 연속 올랐으며, 이번 주 오름세로 마감할 경우 지수는 2020년 11월 27일로 끝난 주간 이후 가장 오래 상승세를 유지한 것이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 지표를 주시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 위험선호 심리가 살아났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모두 둔화한 가운데 이날 발표된 7월 수입 물가도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4% 하락해 전달 기록한 0.3% 상승에서 하락세로 돌아섰을 뿐만 아니라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1.0% 하락보다 더 크게 내렸다. 수입 물가가 하락한 데는 에너지 수입 물가가 전달보다 7.5% 하락하는 등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 하락이 크게 떨어진 것이 반영됐다. 인플레이션 기대는 엇갈렸다. 미시간대학이 발표한 12개월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로 집계돼 전달 기록한 5.2%에서 낮아졌다. 반면 향후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전달의 2.9%에서 올랐다. 8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는 55.1로 전달 기록한 51.5에서 상승했고, 시장의 예상치인 52.5보다 높았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경
중국의 5개 기업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자진 상장 폐지를 결정했다고 계면신문 등 중국 언론이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와 자회사인 상하이석유화공(시노펙 상하이), 중국석유(페트로차이나), 중국알루미늄, 중국생명, 상하이석유화공 등 5개 기업이 이날 공시를 통해 뉴욕증권거래소에 자진 상폐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오는 20∼25일 자진 상장폐지 신청서를 제출할 것이며 이후 약 10일 후 상장 폐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뉴욕거래소 상장 주식 비중이 크지 않은 데다 상장 유지 의무를 지키기 위한 부담이 크다"고 자진 상폐 결정 이유를 밝혔다. 이들 기업의 자진 상폐 추진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올해 들어 뉴욕 증시 상장 중국 기업들을 대거 상장폐지 예비 명단에 올리는 상황에서 나왔다. 뉴욕 증시 상장 중국 기업들의 회계 감독권을 놓고 중국과 갈등을 빚어온 SEC는 지난 3월부터 수차례에 걸쳐 중국 기업 159곳을 상장폐지 예비 명단에 추가했다. 미 증시 상장 중국 기업은 270곳이다. 2020년 통과된 미국의 외국기업책임법(HFCAA)상 자국 회계기준을 3년 연속 충족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도록 한 규정에 따른 것이다. 잠재적 퇴출 명단에 오른 기업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 중국 최대 검색 기업이자 인공지능(AI) 기업인 바이두, 포털사이트 소후닷컴,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웨이보, 중국판 유튜브로 불리는 비리비리(Bilibili) 등 중국 주요 기업들이 포함됐다. 중국은 자국 기업의 상장폐지를 막기 위해 해외 상장 기업의 회계 규정 개정을 추진하고 미국과는 협상을 벌여왔다. 앞서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