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만에 가장 싼 엔화로
회복더딘 日리오프닝株 담아볼 만
백화점·드럭스토어·운송 등 기대
※이슬기의 주식오마카세에서는 매주 한 가지 일본증시 이슈나 종목을 엄선해 분석합니다. 이번주에는 일본 리오프닝 관련주를 다룹니다.
사진=뉴스1오는 10일부터 일본이 외국인 단체관광객을 받는다. 일본은 지난 2년 간 강도높은 코로나19 봉쇄 조치를 펴며 외국인 관광객을 받지 않았다. 그동안 엔화 가치가 떨어진 영향까지 더해져 관광객이 몰릴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이 때문에 리오프닝 관련주가 크게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 투자자로선 20년 만에 가장 싼 엔화 가치에 힘입어 일본 리오프닝에 투자해 이익을 볼 기회이기도 하다. 일본 증권가에서 꼽고 있는 리오프닝 관련주를 업종별로 정리해봤다.
○백화점과 소비주에 몰리는 시선
일본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백화점 등 유통관련주를 가장 큰 수혜주로 꼽는다. 외국인 관광객 입장에선 같은 물건을 사도 엔화가 저렴하기 때문에 본국보다 더 싼 값에 물건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면세혜택을 볼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긴자 미쓰코시 백화점7일 이세탄미쓰코시홀딩스(종목번호 3099)는 장중 1121엔까지 올라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 회사는 도쿄 긴자의 상징인 미쓰코시긴자점, 도쿄 신주쿠의 이세탄신주쿠본점 등 백화점을 운영하는 곳이다. 리오프닝이 가시화되자 이세탄미쓰코시홀딩스는 지난달 12% 오른데 이어 이달에도 3% 상승했다.
같은 날 에이치투오리테일링(8242)도 장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한큐백화점과 한신백화점 등 간사이지역을 중심으로 백화점·마트를 운영하는 이 회사는 이달에만 주가가 11.36% 올랐다.
두 회사 모두 외국인 관광객 수가 정점을 찍은 2018년 주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시장에서 추가 상승 여지에 무게를 두는 이유다. 부유층의 소비로 주가가 상대적으로 견조했던 이세탄미쓰코시홀딩스보다는 상대적으로 매출 타격이 컸던 에이치투오리테일링이 더 많이 오를 것이란 전망도 있다.
코로나19 피해주였던 빅카메라(3048)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이 회사는 롯데하이마트와 비슷한 가전 양판점으로 올해 주가가 17% 올랐다. 일본의 '올리브영' 격인 마쓰키요코코카라도 올해 20% 오르는 등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 회사는 마쓰모토키요시와 코코카라파인 등 드럭스토어를 운영 중이다. 이밖에 할인점 '돈키호테'를 운영하는 팬퍼시픽인터내셔널홀딩스(7532)도 수혜주로 꼽힌다. 다만 돈키호테는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파는 만큼 인플레이션의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에 아직 지난해 고점을 회복하지 못했다.
고토부키스피리츠가 판매 중인 '르타오(LeTAO)' 쿠키유통업체에서 판매될 제품을 만드는 각종 소비브랜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는 브랜드는 고토부키스피리츠(2222)로 올해만 38% 올랐다. 이 회사는 일본 공항 기념품(치즈케이크, 쿠키 등)으로 유명한 브랜드인 '르타오(LeTAO)'를 운영한다. 이밖에 화장품 업체인 시세이도(4911), 시계를 만드는 세이코홀딩스(8050)의 제품도 잘 팔릴 것이란 기대가 높다.
○운송과 숙박도 기대
운송과 숙박 역시 수혜가 예상된다. 게이힌급행전철(9006)과 게이세이전철(9009)이 대표적이다. 두 회사는 나리타 공항 연결 전철을 운영하는 민영기업이다. 대부분의 외국인 관광객은 나리타 공항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당 노선의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게이힌급행전철은 올 들어 23%, 게이세이전철은 16% 올랐다. 하네다 공항 여객터미널을 관리하는 일본공항빌딩(9706)도 올들어 16% 오르는 등 주목받고 있다.
'도미인호텔' 등 비즈니스호텔을 주로 운영하는 교리쓰메인테넌스(9616)는 올해 26% 오르는 등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나고야메리어트호텔 등 호텔을 운영하면서 도쿄와 신오사카를 잇는 전철을 운영하는 JR도카이(9022)는 올해 6% 오르는데 그쳤지만 향후 추가 상승을 점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미국의 투자은행(IB) 제프리스가 광산업체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했다. 미국과 유럽의 경제가 둔화되더라도 광산주는 상승할 거라는 이유에서다. 제프리스는 광산주를 ‘암묵적인 인플레이션 헤징주’라고 분석했다.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제프리스의 애널리스트인 크리스토퍼 라페미나는 보고서를 내며 호주의 광산업체 리오 틴토 등 광산주의 투자의견을 ‘보유(Hold)’에서 ‘매수(Buy)’로 상향조정했다. 리오 틴토를 비롯해 BHP, 앵글로 아메리칸, 발리, 사우스32 등을 추천했다. 광산업계에 변동성은 있지만 중국 내수시장이 회복되며 이익이 증대될 거란 이유에서였다. 라페미나 애널리스트는 “세계 경제에 허리케인이 불어닥칠 수 있어 거시적 위험 요인이 증대됐지만 광산주를 매수하면 위험을 낮출 수 있다”며 “경제 회복과 관련한 레버리지를 극대화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광산주를 대표하는 주가는 올해들어 상승세를 지속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리오 틴토 주가는 올해 들어 17.4% 상승했다. 7일에는 전거래일에 비해 3.28%에 상승하며 주당 78.4달러에 장마감했다. 올들어 35% 치솟은 발리의 주가는 전 거래일에 비해 0.59%에 오르며 주당 18.65달러에 손바뀜했다. 제프리스는 리오틴토의 목표 주가를 주당 93달러, 발리는 주당 24달러를 제시했다. 두 업체 주식을 지금 매수하면 올해 말까지 각각 22.5%, 29.4%의 수익을 거둔다는 전망이다.제프리스에 따르면 광산주들은 인플레이션(지속적 물가상승)에 헤징(위험 분산)하는 특성이 있다. 다른 업종에 비해 수익률은 높으면서 시장 가치는 낮고, 부채비율이 낮기 때문이다.유럽과 미국의 경제가 침체될수록 광산주가 각광받을 거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유럽 경기가 나빠질 수록 광산주가 각광받을 것”이라며 “광산업계는 내수가 회복될 때 강력한 레버리지 효과를 얻는다”고 분석했다. 또 그는 “특히 중국 시장이 안정세에 접어들면 위험 대비 보상이 상대적으로 증대된다”고 강조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세계 최대 유통업체 아마존의 주가가 바닥을 찍었다는 분석이 나왔다.7일(현지시간) 미국 투자전문 매체 시킹알파는 △액면분할 △상대적으로 낮은 주가수익비율(PER) △클라우드 사업을 아마존 주가를 반등시킬 세 가지 호재로 꼽았다. 올 들어 아마존 주가는 인플레이션과 긴축 기조, 우크라이나 전쟁 등 탓에 30% 가까이 떨어졌다.아마존은 이달 약 23년 만에 20 대 1로 주식을 분할했다. 지난 6일부터 122.35달러에서 거래되기 시작됐다. 분할 전 마지막 거래일인 3일 아마존 종가 2447달러의 20분의 1에 해당하는 가격이다.주식 분할은 기업 가치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지만, 고가의 주식을 쪼개기 때문에 소액 투자자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투자 저변을 확대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주가 부양 장치로 쓰인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1980년 이후 주식을 분할한 S&P500 기업들의 1년간 주가 상승률은 25.4%다. 이 같은 기대감에 아마존 주가는 6일 장중 한때 128.99달러까지 오르기도 했다.이번 주식 분할로 아마존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에 편입될 가능성도 커졌다. 지수에 새로 편입되면 이를 추종하는 펀드들의 기계적 매수가 들어오기 때문에 편입 종목엔 호재다.아마존의 주가수익비율(PER)이 11.66배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른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보다 낮다는 점도 매력적인 투자 요인이다. 아마존의 PER은 최근 5년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지난해 30%에 달하는 영업이익률을 낸 클라우드 사업의 견고한 실적도 호재로 꼽힌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세계 클라우드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모닝스타는 최근 아마존 목표주가를 3850달러(주식 분할 전 주가 기준)로 상향 조정했다.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유가 급등에 따라 에너지주의 수익률이 높아진 가운데, 에너지주의 투자에 경종을 울리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7일(현지시간) 배런스지에 따르면 에버코어 ISI의 애널리스트 스테판 리처드슨은 “랠리는 언젠가 끝나기 마련이고, 투자자들은 다가올 약세장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전했다. 리처드슨은 에너지 주식이 한동안 강세를 이어나가겠지만, 인플레이션 압력 속에서 높은 운영 비용과 세금을 부담하는 것, 그리고 가스 가격의 디플레이션이 시작됐을 때 등을 고려했을 때 곧 약세장이 도래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리처드슨은 엑손모빌에 대한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데번 에너지와 옥시덴털 페트롤리움의 보유비중을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데번과 옥시덴털 모두의 투자 등급을 투자등급을 '매수(outperform)‘에서 '중립(in line)'으로 하향조정했다. 양사의 현금 흐름 둔화를 이유로 꼽았다. 데번과 옥시덴탈의 가격목표는 각각 기존 80달러와 74달러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투자 등급을 하향 조정하는 것이) 조심스럽고 이른 결정일 수 있다”면서도 “(투자 결정은) 한발 늦는 것보다 이르게 내리는 게 낫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엑손모빌, 데번 에너지, 옥시덴털 페트롤리움의 주가는 각각 103.37달러, 78.04달러, 70.55달러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이연정기자 rajjy550@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