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상대적 약세를 이어가던 대형주 월간 수익률이 5월 중소형주를 웃돌았다. 작년 11월 이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그동안 대형주 하락을 주도했던 기관투자가와 외국인의 자금 이탈이 잦아들고 매수세가 대거 유입되면서다. 증권가에서도 그동안 소외됐던 대형주의 상대적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매크로(거시경제) 이슈로 인해 실적이 탄탄함에도 낙폭이 컸던 종목을 눈여겨볼 만하다는 조언이다.
6개월 만에 대형주 우위 장세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대형주지수는 5월 한 달간 0.12% 상승했다. 같은 기간 중형주지수(-1.59%)와 소형주지수(-4.21%)가 하락세를 보인 것에 비하면 양호한 성과다. 대형주는 시가총액 1~100위, 중형주는 101~300위(코스닥시장은 400위), 소형주는 그 이하를 말한다.
대형주 강세는 코스닥시장에서도 나타났다. 대형주지수 상승률(1.07%)이 중형주지수(-2.79%)와 소형주지수(-2.69%)를 웃돌았다.
월간 기준으로 대형주지수 상승률이 중·소형주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다. 올 들어 지난 4월 말까지 유가증권시장 대형주지수는 9.28% 하락했다. 같은 기간 중형주지수는 3.47% 내렸고 소형주지수는 5.15% 상승했다.
외국인 매수세 유입…IPO 철회도 호재
수급 측면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대형주의 상대적 강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국인과 기관이 매수세로 전환한 배경에는 ‘인플레이션 정점론’이 있다. 미국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6.3% 상승하며 3월(6.6%)보다 상승폭이 둔화했다. 이 영향으로 미국 중앙은행(Fed)이 긴축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한때 달러당 1290원대까지 치솟았던 원·달러 환율도 최근 1230원대로 안정화됐다.
지난달 기관과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각각 6663억원, 1243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쌍끌이 매수’에 나섰다. 이들은 4월에 각각 1조3975억원, 4조9427억원어치를 순매도한 바 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기관과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된다면 대형주의 수혜가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한 외국인 지분율을 고려하면 빠른 속도로 자금이 유입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대형주 약세의 또 다른 원인으로 꼽히던 대형 기업공개(IPO)도 정점을 지났다는 분석이다. 대형 공모주가 상장하면 패시브 자금은 해당 종목을 담기 위해 기존에 투자하던 다른 대형주를 팔아야 한다. 지난 1월 수급 왜곡 현상을 일으켰던
외국인이 3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원어치 주식을 쓸어 담았다. 외국인이 하루 1조원 넘는 주식을 사들인 건 지난 3월 24일 이후 두 달 만이다. 중국 경기 둔화 우려가 사그라들면서 원·달러 환율이 안정된 영향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이날 외국인 투자자는 1조59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5100억원, 5851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코스피지수는 외국인의 강한 순매수세 덕분에 0.61% 상승한 2685.90에 장을 마쳤다.외국인은 장 막판 동시호가 시간에 집중적으로 주식을 사들였다. 대부분 비차익 프로그램 매수(1조1258억원)를 통해 주식을 담았다. 비차익 프로그램 매수는 미리 구성해 놓은 종목을 바구니째 사는 것이다. 통상 증시 상승세에 베팅하는 신호로 여겨진다.김동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MSCI지수 내 한국 비중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 없는 매수세로 봐야 한다”며 “한국 증시가 오를 것이란 기대에 외국인이 베팅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외국계 자산운용사가 펀드 내 보유 종목을 변경(리밸런싱)하는 과정에서 국내 주식을 더 사들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증권업계는 외국인 매수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300원에 육박했던 원·달러 환율이 1230원대까지 내려온 게 가장 큰 원동력으로 꼽힌다.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지난 26일부터 이날까지 나흘째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중국 봉쇄가 풀리고 있고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자 원화도 이에 동조하는 추세”라며 “4분기께 경기 둔화 우려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이지만 그전까진 달러 약세와 국내 기업 실적 호조 등에 힘입어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CJ그룹은 앞으로 5년간 콘텐츠와 식품, 플랫폼 등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이끌 분야에 총 2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30일 발표했다. 투자로 발생할 채용 규모는 3만 명에 육박할 것이란 게 CJ의 설명이다.CJ는 그룹의 ‘4대 성장엔진’ 관련 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방침이다. 이재현 CJ 회장은 지난해 11월 그룹의 중기 목표를 발표하면서 △문화 △플랫폼 △웰니스(건강) △지속 가능성을 미래 성장 키워드로 제시했다.투자 금액의 절반 이상은 문화 부문에 집중한다. 문화 부문에만 12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생충’처럼 세계에서 인정받는 ‘웰메이드 콘텐츠’를 제작할 역량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그룹 관계자는 “CJ는 1990년대 중반부터 영화, 드라마 등 문화사업에 꾸준히 투자해 우리나라 문화산업이 세계 수준으로 도달하는 과정을 주도해왔다”며 “앞으로도 공격적인 투자로 ‘소프트파워’를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CJ가 투자·배급한 영화 ‘헤어질 결심’의 박찬욱 감독과 ‘브로커’의 주연 배우 송강호 씨는 지난 28일 프랑스 칸 영화제에서 각각 감독상과 남우주연상을 받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한국의 식문화를 알리는 사업도 확대한다. 미래형 식품을 개발하고 생산시설을 증설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만두, 즉석밥, 치킨, 김치, 한국식 양념, 김을 6대 글로벌 전략 제품으로 선정하고 ‘제2의 비비고’를 육성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지난해 이들 전략제품의 매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물류, 커머스 등 플랫폼 분야에서는 인프라 확충에 초점을 맞춰 총 7조원을 투자한다. CJ대한통운은 전자상거래에 최적화한 인프라를 구축해 물류 운영 경쟁력을 높인다.뷰티 플랫폼 CJ올리브영은 정보기술(IT)을 활용해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 분야에서 글로벌 매출 비중을 꾸준히 높여가는 게 CJ의 목표다.웰니스와 지속 가능성 분야에도 총 1조원을 투자한다. 웰니스 부문에서는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시설(CDMO)에 진출하고, CJ제일제당의 천연 조미 소재와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고도화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LG가 향후 2년간 자사주 5000억원 매입을 포함한 중장기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발표하자 주가가 급등했다. 증권가에서는 LG CNS 상장도 예정돼 있다며 매수를 추천했다.30일 LG는 9.64% 오른 8만19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지난 27일 장 마감 후 LG는 2024년 말까지 자사주를 5000억원어치 매입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별도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50% 이상을 주주에게 환원하기로 했다.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LG는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발표하며 배당금 수익 외 상표권 사용수익과 임대수익에 대해서도 배당 가능성을 열어놨다”며 “단순히 별도 순이익의 50%를 배당할 경우 배당금은 기존 대비 37.5%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LG CNS가 상장을 앞두고 있다는 점도 LG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LG CNS는 이르면 올 하반기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예정으로, 현재 기업가치가 7조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LG CNS는 2019년부터 올 1분기까지 4년 연속으로 1분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LG는 LG CNS의 지분 50%를 들고 있다.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