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숙박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가 중국 내 사업을 접기로 했다. ‘제로 코로나’로 압축되는 과도한 방역 정책이 이유로 꼽힌다. 중국 최대 인터넷기업 텐센트의 마화텅 회장은 이례적으로 경제 피해를 지적하는 글을 소셜미디어에 공유했다. 경기 하강 우려와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감세 목표를 2020년 규모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글로벌 기업 잇단 철수
에어비앤비는 24일 중국 내 숙박공유 업무를 오는 7월 30일자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본토 15만여 개 숙박 리스트의 예약 접수는 이날부터 중지했다. 2016년 ‘아이비잉(愛彼迎)’이라는 중국식 브랜드명으로 진출한 지 6년 만의 철수 결정이다.
중국에는 이미 2010년께 창업해 100만 개 이상 숙소를 확보한 토종 숙박공유업체들이 자리잡고 있다. 후발 주자인 에어비앤비는 중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을 타깃으로 사업을 늘려갔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중국의 국경 통제로 경영이 악화됐다. 중국은 국제 항공편을 대폭 축소하는 한편 해외 입국자에게는 2~4주 격리를 강제하고 있다. 올해부턴 중국 내 여행도 사실상 중단됐다. 에어비앤비는 1분기 보고서에서 “중국 내 강력한 통제로 지역 침체가 더욱 심화됐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시장을 노리고 들어온 글로벌 테크 기업이 중국 특유의 제도와 가혹한 경쟁을 버티지 못하고 물러나는 사례가 또 추가됐다고 분석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소셜미디어 링크트인은 지난해 10월 통제 강화를 이유로 중국 철수를 결정했다. 2016년에는 승차공유업체 우버가 디디추싱에 중국 사업부를 양도하면서 중국 사업을 접었다.
에어비앤비 차이나는 향후 중국 거주자의 해외여행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하지만 중국이 자국민의 출국 통제마저 강화해 중국 사업 정상화까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중국 이민국은 중병 치료 및 간호, 구호물품 운송 등 당국이 인정한 사유로만 출국 허가를 내주기로 했다. 자국민이 해외의 ‘위드 코로나’를 경험하지 못하게 하면서 이민까지 제한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 기업 불만도 고조
중국 사업이 어려운 건 외국 기업만의 얘기가 아니다. 중국 민간기업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지만 서슬 퍼런 당국의 눈치를 보고 있을 뿐이다. 이런 가운데 ‘은둔형 경영인’으로 꼽히는 마화텅 회장이 지난 2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작가 장밍양이 쓴 ‘후시진 말고는 누구도 경제를 걱정하지 않는다’는 글을 올렸다.
중국의 극우 논객 후시진 전 환구시보 총편집인이 “바이러스 통제에 드는 경제적 비용이 공중 보건 혜택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고 한 발언을 염두에 뒀다는 분석이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중국 경제와 기업들이 직면한 압박에 관해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 세태를 비판했다. 마 회장이 이런 글을 자신의 계정에 옮겨 담은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 회장의 계정은 ‘친구 공개’이지만 스크린샷이 중국 온라인을 휩쓸고 있다.
한 웨이보 사용자는 “마화텅의 글이 주목받는 이유는 수많은 기업이 생각하는 바를 실제 표현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장밍 런민대 교수는 “친구들에게만 공개된 글이라 해도 그동안 침묵을 지키던 이가 목소리를 내기로 결심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해석했다.
중국 빅테크 기업인들은 2020년 하반기 당국이 전방위 규제에 착수한 이후 저자세를 유지해왔다.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는 금융당국과 정책을 비판한 직후 공개석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바이트댄스의 장이밍, 징둥닷컴의 류창둥, 핀둬둬의 황정 등 빅테크 창업자들이 잇달아 현직에서 물러났다.
한편 중국 행정부인 국무원은 올해 감세 목표를 기존 계획보다 1400억위안(약 26조5000억원) 늘린 2조6400억위안으로 높였다. 코로나19에 대응해 대규모 경기부양에 나섰던 2020년 2조6000억위안을 웃도는 규모다.
다국적 기업 다나허(Danaher)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인 캐털란트 인수에 관심을 보인다는 소식에 캐털란트 주가가 급등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주말 이번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다나허가 캐털란트 인수에 관심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이 보도에 6일(미국시간) 캐털란트 주가는 19.54% 급등했다. 시가총액은 120억5800만달러(약 15조원)까지 치솟았다. 반면 다나허 주가는 2.26% 빠졌다.블룸버그는 "다나허가 캐털란트에 상당한 프리미엄을 제안했고, 캐털란트가 이 제안을 받아들일지는 불분명하다"고 보도했다. 협상이 임박한 것도 아니라고 덧붙였다.캐털란트 측은 "시장 소문이나 추측에 대해선 정책상 코멘트할 수 없다"고 했다. 다나허는 관련 답변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미국 워싱턴DC에 본사를 둔 다나허그룹은 의료 및 산업용 장비와 부품, 각종 솔루션을 제공하는 과학기술 분야 다국적 기업이다. 직원 8만1000명을 두고 있다.다나허가 운영하는 회사만 20개가 넘는다. 지난해 매출 315억달러, 순이익 71억달러를 기록했다. 뉴욕 증시에서 시가총액은 1920억달러(약 240조원)를 형성하고 있다. 2021년 백신 연구에 사용되는 단백질 제조업체인 알데브론을 96억달러에 인수하기도 했다.캐털란트는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둔 글로벌 CDMO다.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때 모더나 존슨앤드존슨 아스트라제네카 등과 협력해 10억개가 넘는 백신과 치료제를 생산하는 데 기여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
올해 주가가 크게 오른 오디오 스트리미어업체 스포티파이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웰스 파고는 오디오 스트리밍업체 스포티파이(SPOT)를 비중확대로 상향했다. 목표 주가도 종전 121달러에서 180달러로 크게 올렸다. 이는 현재가 121.17달러에서 48% 상승 여력을 나타낸다.어틀랜틱 에쿼티도 '비중확대'로 상향하고 목표 주가를 160달러로 현재보다 32% 높은 수준으로 제시했다. 6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웰스 파고는 마진과 밸류에이션이 상승, 회계 24년도 1분기에는 손익분기에 도달할 것이라며 투자 의견을 올렸다. 이 회사 분석가 스티븐 캐헐은 현재는 광고 경기 침체기로 팟캐스팅이 약간 뒤쳐질 수도 있으나 23년 25년의 총이익률(GM)을 2%, 영업이익률(OM)을 28%로 추정했다. 월가 평균은 총이익률 -0.4%, 영업이익률 27% 로 이를 앞선다. 캐헐에 따르면, 가격 인상시 스포티파이의 음악 사업부의 총 마진도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분석가는 앱내 마켓플레이스 제품의 판매 확대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포티파이에 대해서는 이 날 어틀랜틱 에쿼티도 ‘비중확대’로 업그레이드했다. 이 회사 분석가 해밀턴 페이버도 이 날 메모에서 “이 회사의 비음악 사업부가 마진 확장을 주도하고 4분기 결과가 광고 시장이 바닥을 쳤음을 보여줌에 따라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스포티파이 주가는 개장전 2.7% 상승했다. 스포티파이는 올들어 주가가 53.4% 급등 했다.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웨드부시는 중국, 세금공제, 일론머스크 등 세 가지 요인이 테슬라(TSLA)의 반등을 뒷받침한다며 목표 주가를 200달러에서 225달러로 올렸다. 6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웨드부시는 테슬라 주가가 올들어 54% 상승했음에도 더 오를 것이라며 이같이 목표 주가를 상향했다. ‘매수’의견도 반복했다.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는 이 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테슬라의 반등에는 중국, IRA에 의한 세금 공제와 일론 머스크 등의 이유가 뒷받침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테슬라가 1월초 중국에서 차량 가격을 인하한 효과로 주요 지역에서 명확한 수요 동인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상하이 공장에서 이달 중 생산을 약 8만대로 늘렸으며 이는 수요 증가의 또다른 신호라고 말했다. 테슬라는 1월에 6만6000대를 인도했다. 지난 주 미국의 국세청(IRS)이 EV 구매에 따른 세금 공제 대상을 올린 것도 호재라고 말했다. 테슬라는 이를 반영, 모델 Y의 가격 상한선을 $55,000에서 $80,000로 올렸다. 모델 Y의 상위 모델이 세금 공제를 받게 되는 여유가 생겨 당초 예상보다 모델Y 가격을 약 1,000달러 인상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테슬라는 올해초 미국내 모델 Y 가격을 인하했으며 새로운 가격은 여전히 전년보다 약 12,000달러 싼 상태다. 세번째로는 CEO인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집착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일론 머스크는 2022년 10월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트위터에 집중하면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주요 광고주들이 이탈하기도 했다. 테슬라 주가도 트위터 인수 이후에 급락했다. 분석가는 “지난 8개월간 머스크와 함께한 트위터 연속극이 테슬라 주식에 길고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