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뱅크오브아메리카는 20일(미 동부 시간) 보고서에서 "지금까지 주식 시장에서 발생한 광범위한 손실에도 불구하고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라며 "S&P500지수 3600은 새로운 강세 사례"라고 주장했다.
마이클 하넷 수석 전략가는 2021년 11월 정점 이후 글로벌 증시에서 시가총액이 23조4000억 달러가 감소했다며 "기본적으로 6개월 동안 미국 경제만큼의 가치(미국 1년 GDP 24조4000억 달러)가 사라졌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자금 흐름이 아직 '항복' 수준이 아니라면서 여전히 상승하면 매도하라(sell any rips)"라고 주장했다. 증시에서 '항복'이란 투자자들이 손실을 회복하기 위한 시도 자체를 포기하는 단계를 말한다.

하넷 전략가는 특히 "진정한 '항복'은 미 중앙은행(Fed)의 항복, 즉 증시의 대규모 폭락에 긴축 정책을 완화하는 것이지만 이는 전혀 감지되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Fed의 항복이 나타나려면 먼저 시스템적인 위기와 실업률 상승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지난 140년 동안의 미국 주식 약세장 19개를 분석하면 평균 주가 하락 폭은 37.3, 평균 지속 기간은 289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적용하면 이번 약세장은 2022년 10월 19일에 종료되며 S&P500 지수는 3000, 나스닥은 10000선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지난 40년 동안 거의 모든 증시 폭락은 "날카롭고 빠른 엔화 절상"을 동반했기 때문에 엔화를 주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넷 전략가는 "핵심은 증시에서 '베어마켓 랠리'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우리는 여전히 '어떤 상승이라도 팔아라'(sell any rips)를 주장한다"라고 결론을 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