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산 코인 폭락 사태가 발생하면서 관련 가상자산(암호화폐)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진 가운데, 투자심리의 단기 위축이 불가피한 데다 다른 자산시장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주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아울러 스테이블코인과 디파이(DeFi)에 대한 규제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이란 주장이다.

19일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한때 글로벌 시가총액 6위까지 기록했던 테라 블록체인은 지난 2주 동안 99% 넘는 낙폭을 기록하면서 주요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됐다"며 "시가총액 기준으로 루나는 한때 400억달러, 테라USD(UST)는 180억달러를 기록했던 전도유망한 프로젝트였지만 순식간에 증발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테라 사태의 최대 쟁점을 '스테이블코인'으로 꼽았다. 한 연구원은 "이번에 문제가 된 UST는 그중에서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이다. 작년 1월 미국 통화감독청(OCC)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지불결제를 승인하고 올해 2월 관련 청문회를 개최하는 등 스테이블코인 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테라 프로젝트의 인기의 1등 공신은 앵커프로토콜이라는 디파이(DeFi) 시스템이었다. 20%에 가까운 고이율을 제공한 게 주효했다"며 "인플레 압력 등 매크로 상황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높은 이자율을 준다는 소식이 입소문을 타면서 많은 투자자금이 몰렸다"고 말했다.

향후 투자심리의 단기 위축은 불가피하단 의견이다. 한 연구원은 "가상자산 시장의 영향력이 컸던 만큼 다른 자산시장으로의 전이 가능성도 면밀히 주시 중"이라며 "스테이블코인과 디파이의 규제 논의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며 역으로 스테이블코인과 경쟁관계를 보였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논의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기존의 플롯폼 블록체인이던 이더리움과 대장주 비트코인으로의 쏠림 현상도 감지된다"며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지만 투자자 보호와 신뢰를 줄 수 있는 제도와 규제가 마련되는 기회로 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