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국내외 개미들이 사랑했던 미국 성장주의 '하락'에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 돈이 몰리고 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꿈'을 먹고 자랐던 미국 성장주들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줄줄이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다.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 최고경영자(CEO)의 대표 상품은 ‘아크 이노베이션 ETF(ARKK)’다. 테슬라, 줌비디오, 로쿠, 이그젝트사이언스, 블록, 텔라독, 코인베이스, 트윌리오 등의 성장주에 집중 투자한다. 2020년 153% 수익률로 화제가 됐던 ARKK ETF의 올해 수익률은 처참하다. 연초 대비 57% 하락했다. 실적을 내지 못하는 성장주들이 금리 인상기에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ARKK ETF의 하락에 베팅하는 상품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ARKK ETF의 일일 등락폭을 기준으로 -1배 수익을 내도록 설계된 ‘터틀캐피탈 숏 이노베이션 ETF(SARK)’가 대표적이다. ARKK ETF가 부진할수록 수익을 내는 구조다. 11일 기준 SARK ETF는 연초 대비 89%나 올랐다. 일 평균 거래 규모는 1억8177만 달러로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성장주 바람을 타고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 광풍’이 불었다. ‘제2의 테슬라’라고 불렸던 루시드그룹이 스팩인 처칠캐피탈Ⅳ와 합병한다는 소식에 처칠캐피탈 주가가 500% 가까이 오르기도 했다. 스팩은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껍데기 회사다. 비상장사는 전통적인 기업공개(IPO) 대신 스팩과 합병하는 방식으로 우회 상장이 가능하다. 주로 실적이 아직 나지 않는 성장 기업들이 스팩 합병을 통해 증시에 입성했다. 서학개미의 순매수 상위 종목에도 이름이 생소한 스팩 종목들이 줄줄이 이름을 올렸다.
성장주들이 급락하는 국면에서 스팩 상장 기업들의 주가는 더 부진했다. 스팩 합병을 통해 상장한 기업들을 추종하는 ‘더 디-스팩 ETF(DSPC)’는 연초 대비 59% 하락한 상태다. 위워크, 오로라 이노베이션, 루시드그룹 등을 담고 있다. 오로라 이노베이션과 루시드그룹은 각각 고점 대비 70% 이상 하락했다. 이들 기업들의 주가 흐름과 반대로 움직이는 ETF도 등장했다. ‘더 숏 디-스팩 ETF(SOGU)’다. DSPC ETF의 일일 등락폭을 기준으로 -1배 수익을 내도록 설계된 상품인데, 연초 대비 수익률이 96%에 달한다.
서학개미'들이 최근 미국 증시 급락에도 '한 달 동안 4조원어치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15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12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최근 한 달간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순매수 결제액은 29억9천927만달러(한화 약 3조8천504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16억5천321만달러·한화 약 2조1천218억원)보다 81% 많은 액수다. 올해 1∼4월 월평균(24억377만달러)보다도 많다.미국 뉴욕증시에서 이달 12일까지 한 달간 나스닥지수는 약 15%, S&P500은 10.6%,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7.3% 하락했다. S&P500지수는 고점 대비 18.44% 하락해 약세장 진입을 앞두고 있고, 나스닥지수는 고점 대비 30%가량 급락했다.국내 투자자들은 증시 약세에도 반등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저가 매수로 대응한 것으로 보인다.특히 기초지수 수익률의 3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P(상장지수펀드·상장지수증권) 다수가 구매 상위 10위권에 올랐다.나스닥100 지수 수익률의 3배를 추종하는 프로셰어스 울트라프로 QQQ ETF(TQQQ)(6억3천115만달러)가 전체 종목 중 2위를 차지했고,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3배로 따라가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스 불 3X SHS ETF(4억54만달러)가 3위였다.미국 기술주 10개 종목 주가를 3배로 추종하는 'BMO 마이크로섹터 FANG+ 인덱스 3X 레버리지 ETN'(6천694만달러)은 8위를, 미국 기술주 15개 주가를 3배로 추종하는 'BMO 마이크로섹터 FANG 이노베이션 3X 레버리지 ETN'은 9위를 차지했다.전문가들은 미국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단기 수익을 노리는 3배 레버리지 투자 등은 위험하다고 조언한다.장희종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부장은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지수가 오를 때만 하루 이틀 수익을 내고 빠져나와야지, 변동성이 심할 때 방향을 잘못 타면 큰 손실을 낼 수 있어 위험하다"며 "현재 짧은 기간에 지수가 많이 하락한 것은 맞기 때문에 단기 반등은 가능할 수 있지만, 아직은 변동성 구간에 있다"고 말했다.안소은 KB증권 연구원도 "투자자들이 그동안 조정기마다 'V'자로 반등해왔던 것을 기대하며 매수로 대응하고 있는데, 지금은 그때마다 나왔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뒷받침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금 저점 매수하기보다 매크로 불확실성이 경기나 수요에 미치는 영향 등을 보고 저점을 확인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이들은 (1년 이상의) 투자 시계를 갖고 단기적인 추가 조정을 견뎌낼 수 있다면 그간 낙폭이 과대하게 나온 성장주들, 특히 실적이 뒷받침되는 성장주 위주로 조금씩 분할 매수하는 전략을 추천했다.(사진=연합뉴스)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미국 뉴욕증시의 날개 없는 추락세에 마침내 제동이 걸렸다. 오랜만의 큰 폭 반등에 투자자들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지만, 상당수 전문가는 아직 바닥을 찍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는 시각을 보였다.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6.36포인트(1.47%) 오른 32,196.66에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다우 지수는 6거래일 연속 하락세에 마침표를 찍었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3.81포인트(2.39%) 상승한 4,023.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34.04포인트(3.82%) 급등한 11,805.00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최근 기술주 투매 현상에 시달리던 나스닥 지수는 지난 2020년 11월 이후 하루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기술주들을 중심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이 상승 동력을 제공했다.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플랫폼과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각각 3.9%, 2.8% 반등했고, 테슬라는 5.7% 뛰었다. 전날 약세장(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에 진입했던 애플은 이날 2.3% 상승으로 분위기를 바꿨고, 반도체회사 엔비디아(8.4%)와 AMD(9.3%)의 오름폭은 더 컸다.가상화폐 사업가 샘 뱅크먼-프리드의 지분 취득 소식이 전해진 로빈후드는 24.9% 폭등한 반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인수 일시 중단을 선언한 트위터는 9.7% 급락해 희비가 엇갈렸다.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 가능성에 위축됐던 뉴욕증시의 이날 반등은 연준이 예상보다 금리를 덜 올릴 수도 있다는 특히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전날 오후 라디오 인터뷰에서 '연준 풋'(Fed put)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은 것이 위험선호 심리를 되살렸다고 경제매체 배런스는 분석했다. 연준 풋이란 금융시장이 어려울 때마다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거나 금리인상을 미뤄 시장을 떠받치는 움직임을 가리킨다.외환거래업체 오안다의 선임 애널리스트 에드워드 모야는 "시장이 훨씬 더 많은 금융 긴축에 대비해야 할 필요까지는 없을 것이라는 연준의 잇따른 발언에 투자자들이 안도를 느꼈다"고 말했다.다만 하루 급반등에도 불구하고 3대 지수의 주간 성적은 부진을 면하지 못했다. 이번 주 2.1% 내린 다우 지수는 2001년 이후 20여 년 만에 가장 긴 7주 연속 하락을 이어갔고, S&P 500 지수(-2.4%)도 2011년 이후 최장기 하락세를 보였다. 나스닥 지수의 주간 낙폭은 2.8%다.뉴욕증시가 바닥을 찍고 상승곡선을 그려나갈 것인지에 대해선 시장의 의견이 분분하다.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하방 리스크들이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바닥을 확인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신중론이 나온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모건스탠리투자운용의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앤드루 슬림먼은 WSJ에 "이번 주가 올해 저점이 될 것이냐고 묻는다면 그렇지 않을 것 같다고 답하겠다"며 "올해 여름 추가적인 성장공포를 겪는다고 해도 난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40년 만의 최악 인플레이션이 여전하고 이를 잡기 위한 연준의 뒤늦은 금리인상 세례가 경기침체 내지 둔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점차 힘을 얻고 있어서다.LPL파이낸셜의 라이언 디트릭은 CNBC방송에 "하방 리스크가 아주 많이 남은 것은 아니지만 한 가지 하방 요인이 더 있을 수 있다"면서 평균적으로 약세장 때 전고점 대비 23∼25%까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반면 현재 증시가 바닥을 다지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회복 가능성이 높다는 긍정적 시각도 있다.슬림먼 매니저는 S&P 500 기업들 중 4분의 3 이상이 기대 이상의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연말까지 증시가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사진=연합뉴스)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이번 주(16일~20일) 뉴욕증시는 반등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뉴욕증시가 날개 없는 추락을 겪은 만큼 반발 매수와 반등 시도가 기대된다. 다만 뉴욕증시를 둘러싼 경제 여건이 부정적이고 투자 심리가 극도로 위축돼 증시 흐름이 추세적으로 전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난주 뉴욕 3대 지수는 모두 2%대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지난 한 주간 2.1% 하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한 주간 각각 2.4%, 2.8% 하락했다. 나스닥 지수가 하루에 5% 가까이 떨어지는 등 폭락과 반등이 되풀이되는 극심한 변동성 장세가 펼쳐졌다. 뉴욕증시는 기록적인 하락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우 지수는 지난주까지 7주 연속 하락했다. 다우 지수가 7주 연속으로 내린 것은 2001년 이후 약 20년 만에 처음이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2012, 2011년 이후 최장기간 동안 하락했다. S&P500 지수는 고점 대비 16% 이상 하락하며 약세장에 바짝 근접했다. 나스닥 지수는 전 고점 대비 27% 이상 폭락하며 약세장이 심화했다. 지난주 3대 지수는 주요 지지선 아래로 붕괴했다. S&P500 지수는 주중 4,000선 아래로 떨어졌고, 나스닥 지수도 12,000선을 깨고 내려갔다. 뉴욕증시 대장주 애플의 주가가 15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초우량 빅 테크 종목 'FAANG(페이스북·애플·아마존·넷플릭스·구글)'도 한 때 모두 약세 국면에 진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뉴욕증시는 일제히 반등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주가가 급락한 후 임시로 소폭 회복하는 '데드 캣 바운스(dead cat bounce)'인지, 혹은 추세적인 반등 신호인지에 대해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증시가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고 추가 '빅 스텝' 금리 인상이 예정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까지 한 달 남짓의 시간이 남아있다는 점은 주가의 반등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요인이다. 약세장 속에서도 일시적인 반등이 일어나는 '베어 마켓 랠리(bear market rally)'가 발생할 수도 있다. 통상 베어 마켓 랠리는 짧은 기간에 급격하고 빠른 속도로 주가를 끌어올린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근의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바닥론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태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물가, 경기 침체 우려, 암호화폐 시장 불안과 중국의 코로나 봉쇄 등 증시를 둘러싼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제롬 파월 의장은 두 번째 임기가 인준되면서 4년 더 미국 통화 정책을 지휘하게 됐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팬데믹으로 풀린 유동성을 거둬들이는 시기에 긴축과 경제 연착륙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맡게 됐다. 파월 의장은 이번 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콘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한다. 이외 다수의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들의 연설이 예정됐다. 이번 주에는 미국 경제 성장 동력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소매 판매 관련 지표가 발표된다. WSJ 전문가들은 미국의 4월 소매판매가 전월대비 1.1% 늘어났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월치 증가율인 0.5%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이외에 월마트, 타겟과 홈디포 등 여러 필수소비 관련 기업들이 실적을 공개한다. ◇ 주요 지표 및 연설 일정 -16일 5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와비 파커,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 소프트웨어, 텐센트 뮤직, 라이언에어 실적 -17일 4월 소매판매 4월 산업생산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 월마트, 홈디포, 보다폰, JD닷컴 실적 -18일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타켓, 시스코 시스템스, 로우스, TJX, 버버리, 텐센트 홀딩스, 배스 앤 바디 웍스 등 실적 -19일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4월 기존 주택 판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그랩 홀딩스, BJS 홀세일 클럽 홀딩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 VF 코퍼레이션, 로스 스토어스 실적 -20일 디어, 풋락커 실적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