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KEDI혁신기업ESG30 상장지수펀드(ETF)’가 최근 한 달간 4%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시장 대표지수 중 하나인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ETF에 비해 7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시장에서는 TIGER KEDI30 ETF가 국내주식형 ETF의 대표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TIGER KEDI30 ETF는 0.68% 오른 1만39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한 달 동안 4.16% 상승했다. 시장 대표지수인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ETF 중 순자산이 가장 많은 삼성자산운용의 ‘KODEX 200’은 최근 한 달간 0.63% 올랐다. 순자산이 두 번째로 많은 ‘TIGER 200’ 역시 0.64% 오르는 데 그쳤다. TIGER KEDI30 ETF 수익률의 7분의 1 수준이다.
TIGER KEDI30 ETF가 코스피200 추종 ETF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것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혁신기업에만 투자하기 때문이다. 이 ETF는 한국경제신문사가 만든 주가지수 KEDI30(KEDI 혁신기업ESG30)을 추종한다.
KEDI30은 △정보기술(IT) △미래기술 △플랫폼 △바이오 등 4개 분야의 최고 기업들로 지수를 구성한다. 국내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 130여 명이 혁신기업 50곳을 1차적으로 선별하면 한경, 연세대 경영대 동반경영연구센터, IBS컨설팅이 공동 개발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모델을 적용해 30곳을 최종 선정한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대기업뿐 아니라 리노공업, 더존비즈온 등 강소기업까지 투자 대상이다.
개인투자자들은 지난달 8일 상장한 TIGER KEDI30 ETF를 이날까지 387억6000만원어치 순매수했다. 해당 기간 국내 주식형 ETF(레버리지·인버스형 제외) 중 개인 순매수액 1위다. 2위인 ‘KODEX 2차전지산업’(288억7000만원)보다 순매수액이 100억원 가까이 많다.
오는 5월로 예정된 MSCI지수 정기 변경에서 현대중공업과 KT가 새롭게 편입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6월 코스피200지수 정기 변경에선 F&F, 메리츠화재 등이 신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지수에 새로 편입되면 상장지수펀드(ETF) 등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이 유입되면서 주가 흐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24일 유안타증권은 5월 MSCI 정기 변경에서 현대중공업과 KT가 편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중공업에 1530억원, KT에 1613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KT는 이달 말 기준 외국인 지분율이 41.65% 미만일 경우 MSCI지수에 편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MSCI는 외국인 보유 지분 한도가 있는 종목의 경우 지수 편입 시 외국인 지분율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KT의 외국인 지분율은 40.38%(23일 기준)다.이달 말까지 외국인 지분율이 올라가 편입에 실패하더라도 주가에는 긍정적이라는 분석이다. 외국인이 6거래일 만에 1132억원어치 이상을 순매수한다는 점에서 자금 유입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NH투자증권은 6월 코스피200 정기 변경에서 F&F, 에스디바이오센서, 메리츠화재, 일진하이솔루스, 케이카, 한일시멘트가 편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20일 평균 거래대금 대비 예상 유입자금 규모가 큰 종목은 한일시멘트(302%), F&F(285%), 메리츠화재(188%), 일진하이솔루스(161%), 에스디바이오센서(129%), 케이카(74%) 순이다. 넥센타이어, SNT모티브, SK디스커버리, 부광약품, 영진약품, 풍산은 제외될 것으로 내다봤다.허율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코스피200지수 정기 변경 3개월 전에 미리 편입종목을 매수한 경우 코스피지수 대비 평균 15%포인트 초과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말했다.MSCI는 5월 13일 지수 변경 결과를 발표한다. 리밸런싱은 같은 달 31일에 이뤄진다. 한국거래소는 코스피200 정기 변경 결과를 5월 말에 발표할 예정이다.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은 6월 9일 리밸런싱을 진행한다.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KEDI혁신기업ESG30 상장지수펀드(ETF)’가 사흘 연속 상승해 상장 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 ETF는 지난달 초 상장 후 3%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해 같은 기간 1% 넘게 하락한 코스피지수를 압도했다.TIGER KEDI30 ETF는 18일 0.53% 오른 1만3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에는 1.71%, 전날에는 1.93% 상승했다. 사흘간 상승률은 4.22%로 이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3.26%)을 넘어섰다.TIGER KEDI30 ETF는 지난달 8일 기준가격 1만55원으로 상장했다. 이 ETF는 한국경제신문이 만든 주가지수 KEDI30(KEDI 혁신기업ESG30)을 추종한다.상장 후 이날까지 수익률은 3.13%다. 해당 기간 코스피지수는 1.38% 하락했고, 코스닥지수는 2.62% 상승했다.TIGER KEDI30 ETF는 국내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 130여 명이 혁신기업 50곳을 1차적으로 선별하면 한국경제신문, 연세대 경영대 동반경영연구센터, IBS컨설팅이 공동 개발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모델을 적용해 30곳을 최종 선정하는 식으로 종목을 구성한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대기업뿐 아니라 리노공업, 더존비즈온 등 강소기업까지 투자 대상이다.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KEDI혁신기업ESG30 상장지수펀드(ETF)'가 사흘 연속 상승해 상장 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 ETF는 지난달 초 상장 후 3%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해 같은 기간 1% 넘게 하락한 코스피지수를 압도했다.TIGER KEDI30 ETF는 18일 0.53% 오른 1만3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에는 1.71%, 전날에는 1.93% 각각 상승했다. 사흘간 상승률은 4.22%로 이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3.26%)을 넘어섰다. TIGER KEDI30 ETF 지난달 8일 기준가격 1만55원으로 상장했다. 이 ETF는 한국경제신문이 만든 주가지수 KEDI30(KEDI 혁신기업ESG30)을 추종한다.상장 후 이날까지 수익률은 3.13%다. 해당 기간 코스피지수는 1.38% 하락했고, 코스닥지수는 2.62% 상승했다. TIGER KEDI30 ETF는 국내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 130여 명이 혁신기업 50곳을 1차적으로 선별하면 한경, 연세대 경영대 동반경영연구센터, IBS컨설팅이 공동 개발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모델을 적용해 30곳을 최종 선정하는 식으로 종목을 구성한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대기업뿐 아니라 리노공업, 더존비즈온 등 강소기업까지 투자 대상이다.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