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혁신은 사소한 계기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우루과이 최초 핀테크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스타트업)인 디로컬(DLO)의 시작도 그랬다. 세바스티안 카노비치 디로컬 최고경영자(CEO·사진)는 할머니 등 가족들의 해외 결제를 도와주다가 창업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그의 가족 가운데 국제 결제가 가능한 신용카드를 갖고 있는 사람은 카노비치가 유일했다. 너나 할 것 없이 그에게 결제를 부탁하자 좀 더 편리한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회사까지 세우게 됐다.

상장 두 달 만에 주가 2배…'남미의 페이팔' 디로컬
디로컬은 ‘남미의 페이팔’로 불린다. 2016년 우루과이에서 설립됐다. 신흥국 이용자 등을 위해 결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세계 30개국에 있는 약 600개의 결제 수단을 연결해주고 있다. 예컨대 브라질에 사는 사람이 인도에 있는 물건을 구매할 때 디로컬을 통해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다.

작은 나라에서 꾼 거대한 꿈

우루과이는 우리에게 소고기, 콩(대두) 등의 수출국으로만 알려진 낯선 국가다. 시장도 작다. 우루과이 인구는 약 384만 명에 불과하다. 자국민만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로는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카노비치 CEO는 이 같은 환경이 오히려 해외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루과이는 시장 규모가 작아 우리는 항상 밖으로 눈을 돌려야 했다”며 “우루과이에서 기회가 부족한 것이 오히려 회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상장 두 달 만에 주가 2배…'남미의 페이팔' 디로컬
디로컬은 중국 등 해외 사업 확대에 적극적이다. 경영진도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다. 스페인 미국 아르헨티나 이스라엘 등 세계 전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올해로 ‘다섯 살’ 스타트업이 된 디로컬은 이미 6개국에 지사를 세웠다.

신흥국 틈새시장 개척

전자상거래의 핵심은 ‘간편함’이다. 하지만 신흥국들은 오랫동안 수혜를 보지 못했다. 결제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빈약해 플랫폼이 통일되지 못했고, 결제 시스템과 방법 등이 복잡하고 어려웠다. 중남미 경제 강국이자 최대 전자상거래 시장으로 꼽히는 브라질도 신용카드를 보유한 인구가 전체의 32%에 불과하다.

디로컬은 글로벌 기업을 포함한 신흥국 기업들과 개인 사용자들을 연결하는 데 주력했다. 제공하는 서비스는 크게 세 가지다. 우선 개인 사용자에게 지역 카드 결제와 송금, 자동이체 등을 도와주는 ‘페이인’ 서비스가 있다. 제휴를 맺은 기업을 대상으로 디로컬이 고객 결제금을 입금해주는 ‘페이아웃’ 서비스도 제공한다. 디로컬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실물·가상카드를 직접 발급하기도 한다.

적자를 면치 못하는 다른 핀테크 기업과 달리 디로컬은 상장하기 전부터 흑자를 냈다. 수수료를 통해 안정적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를 마련해서다. 예를 들어 아마존과 같은 기업이 100달러 상당의 물품을 판매할 때 디로컬은 4달러의 수수료를 청구한다. 일반 결제대행 회사 평균 요금의 네 배에 달한다. 디로컬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스포티파이 등 글로벌 기업과 제휴를 맺으며 플랫폼을 키우고 있다.

2분기 매출 186% 증가

디로컬은 지난 6월 나스닥시장에 데뷔했다. 당시 32달러 수준이던 주가는 지난 8월 24일 69달러까지 치솟았다. 상장한 지 두 달 만에 두 배 이상으로 올랐다. 18일(현지시간) 종가는 60.59달러다.

디로컬은 성장세도 가파르다. 올 2분기 매출은 5800만달러(약 689억원), 조정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는 2590만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각각 186%, 212% 증가했다. 중남미 지역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디로컬에 호재로 여겨진다. 시장조사업체 이마케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남미 온라인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63.3% 커졌다. 올해엔 1100억달러 규모에 달하고, 내년에는 1230억달러 수준으로 커질 전망이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