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한끼는 내 자산을 지키는 든든한 인터뷰 콘텐츠입니다. 유튜브 채널 한경 글로벌마켓에서 '허란의 여의도나우'로 먼저 만날 수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3000선을 깨고 2900선에 근접했다 다시 반등하면서 시장엔 불안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11월 3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작은 악재에도 변동성이 커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코스피 펀더멘털에 직결되는 기업실적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매크로 변수를 짚어봤습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는 지난 5일 유튜브 채널 한경 글로벌마켓 ‘허란의 여의도나우’에 출연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올해 적정 코스피 지수인 2850선을 하방으로 본다”며 “다만 주가가 오를 때는 펀더멘털을 과대평가하고 하락할 때는 과소평가하기 때문에 주가가 더 떨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4분기 중반 이후 반등 기회가 올 것”이라며 “추세적인 상승장은 아니고 조정에 따라 반등하는 수준”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결국 문제는 경기둔화
추세적인 상승장을 예상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플레이션, 금리인상, 기업실적적, 환율 모두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무엇보다 경기둔화가 주가 상승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김영익 교수는 “물가 보다 중요한 것은 경기”라며 “경기 정점에 도달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OECD 경기선행지수에 5개월 정도 선행하는 경기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이미 6월을 정점으로 꺾였다”며 “선행지표로 쓰이는 코스피 지수와 장단기 금리차 역시 하락하면서 경기선행지수는 추세적인 하락으로 봐야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업이익 레벨업이냐 경기둔화냐
내년 기업 영업이익이 상승할 것이란 전망은 코스피 상승론을 뒷받침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도 “내년 삼성전자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올해 56조원보다 높은 60조원인데 반도체 IT업종 기업이익은 경기둔화로 예상만큼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주가는 똑똑합니다. 내년 기업이익 늘어날 것 같은데 왜 이렇게 주가가 떨어지겠습니까.
내년 원달러환율 1150원선
환율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달러강세 보다는 달러약세를 예상했습니다. 김 교수는 “미국 대외순부채는 2분기말 기준 15조4000억달러가 넘는다”며 “중앙은해의 외화보유액 중 달러 비중도 2000년 71%였지만 올해는 60% 밑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원화가 강하고 달러가 약해야, 즉 원달러 환율이 떨어져야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돼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게 되는데요. 김 교수는 내년 적정 원달러 환율을 지금(1191원)보다 낮은 1150선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는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때마다 원달러 환율이 일시적으로 1200원을 넘을 수도 있지만 그땐 원가가치가 저평가 됐다고 보는 외국인 매수세가 오히려 유입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2023년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달러 강세로 전환될까요?
김 교수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달러강세가 나타나겠지만 이 역시 일시적”이라며 “결국 원달러 환율을 결정하는 것은 명목금리가 아닌 실질금리 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10년물 국채 수익률에서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뺀 실질금리는 우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달러약세”라고 설명했습니다.
저점 매수 시점은
김 교수는 10월 조정장을 거친 이후 4분기 중반 이후 반등을 예상했는데요. 지금부터 저점 매수 시점은 언제일까요?
코로나19로 민간 항공산업이 타격을 입으면서 올해 9월까지 전역을 신청한 공군 조종사가 '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군을 떠난 조종사도 예년대비 크게 줄었다.8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올해 군을 전역해 민항사에 취업한 공군 숙련급 조종사가 7명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조종사 113명이 전역한 것과 비교하면 급감한 수치다. 또 내년도 민항사 취업을 목표로 올해 전역을 신청한 조종사가 9월까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숙련급 조종사들의 전역 급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항공수요가 줄면서 민항사들의 신규 채용이 큰 폭으로 줄어든 탓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6~2020년에는 매년 100~130여명의 숙련급 조종사가 전역해 민간 항공사에 취업했다.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은 이듬해 조종사 채용을 위해 직전 연도 9월께 공군에 채용 공고 및 협조요청 공문을 보내지만, 지난해에는 보내지 않았다. 올해에는 대한항공이 지난 8월 채용계획을 공군에 송부했지만, 이전보다 채용 규모가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군 숙련급 조종사는 임관 8~17년차 조종장교로서 일정기간 전술훈련을 거쳐 독자적인 작전운영 및 저등급 조종사의 비행훈련을 지도할 수 있는 조종사를 가리킨다.김민기 의원은 "숙련급 조종사들의 유출 문제는 그동안 공군의 고질적 문제였고, 코로나19로 일시적으로 줄어든 것"이라며 "공군이 민항사의 조종인력 양성소가 되지 않을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아이폰 신제품 출시일에 맞춰 1호 개통 고객이 되기 위해 이동통신사 개통 행사가 열리는 곳에서 텐트를 치며 밤샘 줄서기 풍경이 연출됐다. 1호 개통자가 되면 이통사가 초청한 연예인과 기념촬영도 하고 언론의 주목도 받았다.몇 년 전만 해도 아이폰 신제품이 나오면 으레 연출되던 풍경이지만 이젠 옛말이 됐다.8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애플의 하반기 신제품 아이폰13 시리즈 개통 행사를 따로 열지 않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여파다. 대신 이통사는 비대면 행사를 열거나 소비자 체험 확대에 힘을 쏟는 분위기로 바뀌었다. 체험존·경품 확대…행사는 소규모, 비대면으로SK텔레콤은 아이폰13 시리즈 개통 행사 대신 홍대에 위치한 자사 ICT멀티플렉스 T팩토리에서 아이폰13 시리즈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를 열었다. 아이폰13 시리즈를 구매하면 에어팟 프로, 아이패드 프로 등을 제공하는 경품 행사도 진행 중이다.LG유플러스는 아이폰13 개통 행사를 열었지만 온라인 비대면 방식을 택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소수 인원만 초청했고 행사 게스트는 온라인으로 시청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초청된 게스트는 정보기술(IT) 크리에이터 '방구석리뷰룸', MZ(밀레니엄+Z)세대 IT 크리에이터 '에디터H(디에디트)' 등이다. 공식 출시일인 8일 자정에는 아이폰13 언박싱도 진행했다.아이폰 신제품 출시마다 가장 크게 개통 행사를 열었던 KT 또한 코로나19 여파로 별도 행사를 열지 않았다. 대신 KT에서 아이폰을 4회 이상 기기 변경한 고객을 대상으로 1300명을 추첨해 배송 서비스나 맥세이프 같은 애플 정품 악세서리를 증정하는 행사를 진행했다.코로나19로 힘빠진 아이폰13 행사이처럼 이통사의 개통 행사가 사라지거나 크게 축소된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정책 탓이 가장 크다. 지난 8월 출시한 삼성전자의 하반기 신제품 갤럭시Z폴드3, 갤럭시Z플립3 또한 역대급 예약판매 기록을 세웠지만 이통사는 개통 행사를 열지 않았다.일각에선 이통사의 개통 행사 축소는 예정된 수순이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에 애플스토어가 상륙하면서 이통사의 아이폰 개통 행사는 자연스럽게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2017년 애플스토어가 신사동 가로수길에 처음으로 생긴 후 이통사의 아이폰 개통행사는 축소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특히 애플이 애플스토어 매장 내 기기 구입뿐 아니라 휴대폰 개통 업무도 진행하길 원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면서 아이폰 충성 고객은 이통사가 아닌 애플스토어로 빠져나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다. 다만 현재 애플스토어에선 기존에 이용자들이 쓰던 유심을 옮겨주는 서비스까지는 되지만 신규 개통은 불가능하다.업계 관계자는 "아이폰13 신제품 행사를 열지 않은 것은 코로나19 영향이 제일 큰 게 사실"이라며 "행사는 열리지 않지만 아이폰13 이용자 유치에 힘 쏟는 분위기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기획재정부는 늘어난 신용카드 사용액의 10%를 사실상 현금으로 돌려주는 신용카드 캐시백(상생소비지원금)에 837만명이 신청했다고 8일 밝혔다.카드 캐시백은 월간 카드 사용액이 2분기 월평균 사용액보다 3% 이상 증가 시 초과분의 10%를 캐시백(현금성 충전금)으로 환급해주는 제도다.시행 기간은 내달부터 두 달간이다. 1인당 월별 10만원 한도다.출생연도 뒷자리 숫자에 따라 신청하는 5부제는 8일까지만 유효하고 9일부터는 출생연도와 상관없이 신청 가능한 시스템으로 바뀐다.정부는 태어난 연도 끝자리가 1·6년인 사람은 1일에, 2·7년인 사람은 5일에, 3·8년은 6일에, 4·9년생은 7일에 신청을 받았다. 오늘은 5·0년생이 신청 대상이다.카드 캐시백 지원을 원하는 사람은 9개 카드사 중 하나를 전담카드사로 지정해 신청하면 된다. 신청 일자와 상관없이 10월 1일 사용분부터 인정된다. 전담카드사는 사용실적 합산과 캐시백 산정·지급 등 모든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캐시백 산정의 기준이 되는 2분기 카드 사용실적은 전담카드사 지정 신청 후 2일 이내에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월 카드사용 실적(누계)과 캐시백 발생액(누계)은 매일 업데이트해준다.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