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뉴욕증시(1월 30일~2월 3일)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최근의 상승세를 이어갈지 관심이다. 메타, 애플, 아마존, 알파벳 등 주요 빅테크 기업도 일제히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이달 31일과 다음달 1일 양일간 열리는 FOMC 회의가 가장 큰 이벤트다. 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25bp(0.25%포인트)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최근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완화되는 지표가 잇따라 발표된 만큼 긴축의 속도를 늦출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50bp 인상이 이뤄지거나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매파(통화긴축 선호)적인 발언을 강하게 내놓는다면 시장에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요 빅테크의 실적도 줄줄이 나온다. 다음달 1일에는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가, 2일에는 애플과 아마존,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이 실적을 발표한다. 4분기 어닝 시즌은 아직까지는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지수 편입 기업 중 68%가 예상보다 좋은 성과를 냈다. 캐터필러, UPS, 제너럴모터스(GM), 엑슨모빌, 맥도날드, 스타벅스, 퀄컴, 일라이릴리 등도 이번주 실적을 공개한다.뉴욕=정소람 특파원
중국 증시는 지난주 춘제 연휴(21~27일)로 휴장한 뒤 30일부터 거래를 재개한다. 올 들어 상하이종합지수가 5.68%, 선전성분지수가 8.76% 올라 주요국의 신년 랠리에 동참했다. 지난해 중국 경제와 증시의 발목을 잡아온 ‘제로 코로나’는 12월을 기점으로 해제됐다. 이후 코로나19의 빠른 확산으로 경제 활동은 더욱 위축됐다. 하지만 최근 중국인 80% 이상이 이미 감염됐다는 당국의 분석이 나오자 중국 경기가 당초 예상보다 빨리 반등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번주에는 기업의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구매관리자지수(PMI)가 발표된다. 국가통계국은 31일 제조과 비제조업(서비스업+건설업) 공식 PMI를 공개한다. 이어 경제매체 차이신이 다음달 1일 제조업, 3일 서비스업 민간 PMI를 내놓는다. PMI는 기업의 구매·인사 등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경기 전망 지표다. 50을 기준으로 이를 웃돌면 경기 확장, 밑돌면 위축 국면임을 뜻한다. 공식 PMI는 대형 국유기업 중심이며, 민간 PMI는 수출기업과 중소기업을 포괄한다는 차이가 있다. 제조업 PMI 예상치는 공식이 49.7, 민간이 49.5다. 공식이 4개월, 민간이 6개월 연속 50을 밑돌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지난해 12월의 공식 47, 민간 49보다는 다소 상승했을 것이란 관측이다. 공식 비제조업, 민간 서비스업 PMI 예측치는 각각 52와 51.6으로 4개월, 5개월 만에 50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
이번 주(1월 30일~2월 3일) 뉴욕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회의와 대형 기술주의 실적에 따라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오는 31일부터 1일까지 이틀 동안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한다.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FOMC에서 금리가 25bp(1bp=0.01%포인트) 인상될 것을 확실시하고 있다. 그간 75bp '자이언트 스텝', 50bp '빅 스텝'을 밟아온 연준이 이전보다는 덜 공격적인 '베이비 스텝'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꾸준히 둔화하면서 연준의 고강도 긴축이 누그러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작년 1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오르는 데 그치며 직전월보다 둔화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FOMC에서 향후 금리 인상 중단에 대한 신호가 나올지에 대해 주목하는 분위기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올해 봄 금리 인상을 중단하기 전에 그간의 금리 인상이 미국 노동 수요와 소비, 인플레이션을 얼마큼 둔화시켰는지 가늠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주요국 중앙은행 중에서도 금리 인상 일시 중단을 시사한 사례가 나왔다. 캐나다 중앙은행(BOC)은 지난주 정례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금리를 25bp 인상했다. 또 그간의 누적적인 금리 인상 여파를 평가하는 동안 경제가 전망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금리는 현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주 연준의 FOMC 직후에는 유럽중앙은행(ECB), 잉글랜드은행(BOE)이 금리를 결정한다. 한편 이번 주에는 뉴욕증시 최고 대장주인 애플을 비롯한 초대형 기술주인 빅테크 종목들의 실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