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상장…버핏도 투자 화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펩시코 등 고객사만 5000곳
슈퍼볼 경기가 열리는 날은 미국 전역에서 피자헛 직원들이 가장 바쁜 날이다. 매년 슈퍼볼을 앞두고 피자헛 본사 데이터 서비스팀은 골머리를 앓아야 했다. 피자 주문이 밀려들면서 쌓이는 데이터가 평상시의 세 배에 달했다. 문제는 이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없다는 점이었다.
슈퍼볼만을 위해 자체 서버를 새로 구축하는 것은 시간과 돈 낭비였다.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창고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노플레이크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 배경이다. 이 서비스를 통해 고객 정보에서부터 주문하는 피자 종류, 배달 시간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머신러닝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주문 상황은 물론 앞으로의 주문까지 예측할 수 있게 됐다. 파이잘 케이피 피자헛 데이터서비스팀 시니어 매니저는 “스노플레이크 데이터 장터에서 내려받은 지역별 날씨 정보를 접목해 날씨와 피자 주문의 상관관계도 분석했다”며 “날씨에 특화된 마케팅 캠페인을 기획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데이터 장벽’을 허물자
2012년 설립돼 지난해 9월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스노플레이크는 기업들에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창고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상장 당시 워런 버핏도 투자해 화제가 됐다. 기술주와 공모주 투자를 꺼리는 것으로 유명한 버핏이 스노플레이크 공모주에 투자했다는 소식에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진짜 유니콘을 보는 것보다 드문 일”이라고 평가했을 정도다.
과거 기업들은 자체 서버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저장했다. 보안 때문이었다. 하지만 서버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기엔 데이터양이 너무 많아졌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산되면서 클라우드의 필요성은 더 커졌다. 늘어난 데이터를 탄력적으로 저장하고 빠르게 분석하기 위해 스노플레이크 같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창고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기존에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던 기업들도 스노플레이크의 문을 두드렸다. 스노플레이크를 활용하면 ‘데이터 장벽(data silo)’을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고객사 중 하나인 펩시코는 전 세계에서 다양한 음료를 판매한다. 지역별, 부서별로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어 세계의 고객 및 구매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스노플레이크는 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구글 클라우드 등 서로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끌어와 이를 통합 분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북미 지역 아마존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와 아시아 지역 MS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현재 스노플레이크의 고객사는 5000개에 달한다. 마이크론, 펩시코, 언더아머, 블랙록, 도어대시 등 제조, 유통, 금융, 스타트업까지 다양하다. 스노플레이크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 풀을 늘려 ‘데이터 공유 플랫폼(data marketplace)’ 역할을 하는 것이다. 누구든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사고팔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유일한 단점은 고평가된 주가”
글로벌 애널리스트들은 “스노플레이크의 유일한 단점은 주가”라고 평가한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5억9205만달러.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영업손실은 5억4394만달러에 달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주가가 공모가(120달러)의 세 배가 넘는 390달러까지 치솟으면서 110년 역사의 IBM 시가총액을 제치기도 했다. 당시 시가총액은 1100억달러까지 치솟았다.
IBM의 지난해 매출은 약 736억달러, 영업이익은 69억달러였다. 설립된 지 8년 된 적자 회사가 매출 100배 규모인 전통 강호의 시가총액을 넘어서면서 기술주 거품 논란도 일었다. 10년 후 매출까지 끌어와 투자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후 조정을 거쳐 지난 3일 기준 주가는 310달러, 주가매출비율(PSR)은 109.59배다.
회사 측은 2029년까지 매출을 100억달러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회사가 장기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애널리스트는 거의 없다”고 평했다.
이번주(8월 16~19일) 주식 시장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 내용과 미국 소비재 기업의 실적 발표 등에 주목할 전망이다. 최근 발표된 물가지수 둔화에 고강도 긴축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시장의 우려는 남아 있어서다. 오는 18일 공개되는 회의록에서 미 중앙은행(Fed) 의원들의 긴축 속도에 대한 입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주 코스피 지수는 2450~2580선 범위에서 오갈 전망이다. 지난주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54.83포인트(2.22%) 오른 2527.94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주 지수는 상승 흐름을 보이다가 2520선에 안착했다. 상승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개인이 차익 매물을 쏟아내면서 2530선엔 올라서지 못했다. 수급을 보면 지난 5거래일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269억원, 3016억원을 사들였다. 개인은 홀로 6569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지난주 증시는 반도체 업황 둔화 우려를 해소하는 모습이었다. 엔비디아, 마이크론 등 미국 반도체 기업이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지난 9일(현지시간) 4.57% 급락했지만 씨티그룹이 반도체 업종의 바닥 신호가 뚜렷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지수는 반등했다. 여기에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보다 좋게 나오자 물가 인상 둔화에 대한 기대감에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이번주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경제지표 발표가 예정된 가운데 미 FOMC 회의록 내용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Fed 의원들이 '긴축 지속'이냐 '선제적 인하' 중 어느 것에 가중치를 두냐에 따라 국내 증시 흐름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김병연 N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뒤 인플레이션의 피크아웃(고점 도달 후 하락) 기대가 커지면서 국내 증시가 이틀 만에 다시 2500선에 안착했다. 미 달러 인덱스가 하락하는 등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되면서 외국인과 기관의 강한 매수세가 들어왔다. 다만 올 하반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는 만큼 당분간 국내 증시는 추가 상승하기보다 실적이 탄탄한 개별종목이 강세를 띠는 ‘종목장세’가 펼쳐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11일 코스피지수는 1.73% 오른 2523.78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367억원어치를,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 7645계약을 사들이며 증시를 끌어올렸다.전날 발표된 미 7월 CPI 상승률(8.5%)이 전달(9.1%)을 밑돌면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했다는 기대가 커진 영향이다. 미 중앙은행(Fed)이 9월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대신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렸다. 이날 원·달러 환율이 7원40전 내린 달러당 1303원에 마감한 것도 외국인 매수세를 자극했다.외국인의 선물 매수세는 기관 매수세로 이어졌다. 기관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467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최근 매도세로 일관하던 기관이 유가증권시장에서 4000억원어치 이상 사들인 것은 지난 6월 21일 이후 처음이다.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물가상승률이 정점을 통과했다는 기대가 높아지면서 금융시장 전반에 위험선호 심리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시가총액 상위 30위 전 종목이 상승했다. 성장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카카오(4.23%), 크래프톤(3.56%), 네이버(2.10%)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잇따라 암울한 실적을 예고하고 나섰다. PC와 스마트폰뿐 아니라 당초 반도체 수요를 지탱해줄 것으로 예상했던 데이터센터 시장의 반도체 수요마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었다. ‘반도체의 겨울이 오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 주가가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했다. 삼성전자 ‘5만전자’로 털썩10일 삼성전자는 1.50% 하락한 5만9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15일 이후 한 달여 만에 다시 ‘5만전자’로 추락했다. SK하이닉스도 3.47% 하락한 9만1800원에 거래를 마치며 9만원 선을 위협받았다.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잇따라 올해 실적 전망치를 크게 하향하자 직격탄을 맞았다. 9일(현지시간) 글로벌 3위 D램 기업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올해 회계연도 4분기(6~8월) 매출 전망치가 지난 6월 말 제시한 가이던스(68억~86억달러) 하한선을 밑돌 것으로 보인다고 공시했다. 이어 다음 분기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줄고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혀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이날 마이크론은 3.74% 급락했다.지난 8일엔 엔비디아도 예비 실적 보고서를 통해 2분기(5~7월) 매출(67억달러)이 당초 전망치보다 약 17% 적은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엔비디아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의 30% 수준에 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업이익률도 7년 만에 한 자릿수를 기록했을 것으로 보인다.낸드플래시 업계 강자인 웨스턴디지털(WDC)도 5일 전 분기 대비 18% 감소한 3분기 매출 가이던스(37억달러)를 제시하며 낸드 시장의 수요절벽이 본격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달 말 인텔도 전년 동기 대비 22% 급감한 2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