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란의 경제한끼'는 내 자산을 지키는 든든한 한 끼 같은 인터뷰 콘텐츠입니다. 한국경제 유튜브 채널에서 먼저 만날 수 있습니다.
코스피 거래량이 9주 연속 감소하며 증시 수급에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2009년 5월, 1989년 4월 6주 연속 거래량이 감소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최장기 거래량이 감소한 적은 없었습니다.
글로벌 시황만 20년 분석해 온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글로벌매크로 팀장은 23일 유튜브채널 한국경제의 ‘허란의 경제한끼’에 출연해 “최근 외국인 매도세와 맞물려 증시 수급을 지탱해 온 개인들마저 가계대출 규제로 돈줄이 조여지면서 증시 수급에 구멍이 났다”고 진단했습니다.
대출규제로 개인 수급 ‘빨간불’
허재환 팀장은 “거래량이 감소한 주요 원인은 개인 매수세가 시들해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2개월간 지수가 3300선을 뚫지 못한 상황에서 대규모 기업공개(IPO)까지 몰리면서 기존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여기에 지난주 가계대출 규제가 조여진 게 기름을 부었습니다. 허 팀장은 “개인 투매가 심해지면서 코스닥이 한 주만에 7% 하락했다”며 “수급 이상의 원인은 가계대출과 신용대출 규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9월부터는 개인 가계대출이 더욱 조여질 수 있다”며 “개인들의 돈 줄이 막히면서 자산 가격이 일시적으로 안 좋을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中 빅테크 규제 ‘불똥’ 튄 국내 반도체
최근 거셌던 외국인의 매도세도 거래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꼽힙니다. 외국인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주식을 팔아치운 이유에 대해 허 팀장은 “중국의 빅테크 규제로 신흥국 자금유출세가 커지면서 한국에 불똥이 튀었다”며 “코스피가 '아시아의 자금인출기' 역할을 한 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반도체 주가 하락은 과도했다”며 “단기간에 V자 반등을 예상하지는 않지만 외국인 매도세가 잦아들면서 4분기와 내년 상반기에 한 번 더 상승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셀코리아' 위험은 없나
하지만 신흥국 자금유출과 메모리 반도체 업황 우려가 맞물리면서 외국인의 매도세가 가속화되는 ‘셀 코리아’ 가능성은 없는 걸까요?
허 팀장은 내년까지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는 ‘셀 코리아’ 위험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습니다. 그는 “메모리 반도체 정점이 글로벌 경기 정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국내 기업 이익과 매출은 여전히 증가세”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도 “큰 그림에서 볼 때 모멘텀이 강해지긴 쉽지 않은 것은 인정해야 한다”며 “주도주가 없는 상황인데다 개인 매수세가 약화되면서 국내 증시는 악재와 함께 내려앉았다가 올라오고 내려앉았다 올라오는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逞强Chěngqiáng호기 부리다, 무리하다 A: 你身体真的没事儿吗?A: Nǐ shēntǐ zhēn de méishìr ma?A: 니 션티 쪈 더 메이셜 마? B: 当然,放心吧,已经快恢复了。B: Dāngrán, fàngxīn ba, yǐjīng kuài huīfù le.B: 땅란, 팡신 바, 이징 콰이 훼이푸 러. A: 我就怕你又跟上次一样,逞强。A: Wǒ jiù pà nǐ yòu gēn shàng cì yíyàng, chěngqiáng.A: 워 지우 파 니 여우 껀 샹 츠 이양, 쳥치앙. A: 몸은 진짜 괜찮아? B: 그럼, 걱정하지 마. 거의 다 회복됐어. A:또 지난번처럼 무리할까 봐. 단어 身体 몸 / 真的 정말로 / 没事 괜찮다 当然 물론이다 / 放心 안심하다 / 已经 벌써 快~了 곧~할 것이다 / 恢复 회복하다 / 怕 두려워하다 上次 지난 번 / 跟~一样 와/과 같다 한마디 주변을 둘러보면 안 괜찮은데 억지로 괜찮은 척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남들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고 싶은것일 수도 있고, 또 본인의 약한 모습을 감추려는 의도일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이런 경우 중국어로는 “别逞强(호기 부리지 마, 무리하지 마)”라고 말해 주세요. “逞强”은 ‘위세를 부리다’라는의미인데, 나아가 ‘괜찮은 척하다, 무리하다’란 뜻으로 쓰입니다. 시사중국어학원 쉬시에시에 강사 <한경닷컴 The Lifeist> 시사중국어학원"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
LG전자는 최근 6세대(6G) 이동통신 시스템 구동 시험에 성공했다. 6G는 5G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대 50배 빨라 ‘꿈의 통신기술’로 불린다. 비록 시험이긴 했지만 데이터 전송 거리(100m) 세계 최장 기록을 세워 “의미 있는 성과”라는 평가가 나왔다. LG전자는 올 6월 퀄컴,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6G 단체인 넥스트G얼라이언스에서 6개 의장사 중 한 곳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기동 LG전자 책임연구원(사진)이 의장을 맡았다. 일각에선 “최근 스마트폰사업을 접은 LG전자가 왜 통신기술에 열을 올리지?”라며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이 연구원은 24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6G 스마트폰은 6G 기반 서비스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라며 “6G는 완전자율자동차, 인공지능(AI) 로봇, 증강현실·가상현실(AR·VR) 기반 메타버스 등 대부분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이라고 말했다. LG그룹은 자율주행차, 로봇, 드론 등을 회사의 미래 먹거리로 꼽고 있다. 이들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라도 6G 기술 확보가 필수라는 얘기다.이 연구원은 20년 이상 무선통신 시스템의 연구 및 표준화에 매진해 온 세계적인 통신기술 전문가다. 자율주행차 핵심 기술인 ‘차량·사물 셀룰러 통신(C-V2X)’, 네트워크 연결이 결합된 로봇 등의 분야에 특히 전문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그는 “모빌리티 분야는 2020년대 후반 완전자율주행, 플라잉카 시대가 열리고, 고도로 지능화된 AI 로봇을 중심으로 산업용 사물인터넷(IoT)이 만개하며 로봇 원격 수술 등도 상용화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들은 모두 6G 통신을 필요로 한다”며 “6G 기술 확보가 곧 주요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인 것”이라고 강조했다.이 연구원은 “LG전자의 5G 통신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6G에서도 글로벌 리더십을 지킬 것”이라고 자신했다. 독일 특허조사기관 아피리틱스에 따르면 올 6월 말 LG전자는 5G 표준특허를 4060개 보유하고 있다. 화웨이(5573개)에 이은 세계 2위다.LG전자는 특히 자율주행차 통신기술이 강하다. 이 연구원은 “C-V2X 기술 콘셉트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굴한 게 LG전자”라며 “C-V2X 기술은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작업도 우리가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6G에서도 ‘3차원 공간 이동형 셀 플래닝 기술’ 등 모빌리티 관련 특허를 선점하고 있다.그는 넥스트G얼라이언스에 대해선 “6G 기술 개발과 표준 제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삼성전자는 국내 중소기업에 지원 규모를 늘리며 상생 및 혁신 산업 생태계를 더 촘촘하게 다지기로 했다.삼성전자는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 컨설팅 및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한 민관 연구개발(R&D) 펀드 규모를 20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늘린다고 24일 발표했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의 제품 품질이 평균 43%, 생산성은 30% 늘었다. 비용은 16%, 산업재해는 18% 감소했다. 공장 운영 시스템, 생산·물류의 자동화설비를 구축해 제조 현장을 혁신하고 안전성을 개선했다.효율성이 확인되자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지원하는 중소기업도 계속 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500여 개 중소기업에 550억원 규모 스마트공장 사업을 지원해왔다.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의 모범 사례로 꼽히는 스마트공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강조한 ‘동행’ 비전에 따라 추진해온 사업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뿐더러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 완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와도 공조해 민관이 함께하는 건전한 산업생태계 구축이라는 의미도 실현했다”고 말했다.삼성전자는 중소기업 자생력 확보를 위해 매년 20억원 규모로 판로 개척, 인력 양성, 신기술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 중이다. 또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허 공유’도 하고 있다.삼성전자는 반도체 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한 민관 R&D 펀드 규모를 20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삼성전자가 150억원씩 투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차세대 기술을 확보하고 소재·부품을 국산화하는 등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삼성전자는 우수 협력사에 지급하는 안전·생산성 격려금도 3년간 2400억원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협력사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상생펀드와 물품대금 지원펀드를 지속적으로 운영한다. 2010년부터 운영해온 상생펀드는 협력사의 기술 개발 및 시설 투자비, 운영 자금 등을 저리로 대출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지난해엔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에 처한 협력사에 이들 펀드로 총 2조6000억원을 지원했다.김형규/이수빈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