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심리는 공포, 그래서 오른다 [허란의 경제한끼]
'공포-탐욕 지수 32' 비관론 팽배
오히려 주식 매수 기회
델타변이 확산세로
조기 테이퍼링 가능성 낮아져
3분기 코스피 박스권 탈피
실적 좋은 개별 기업 성과 굉장할 것
3분기 주식시장 조정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승을 기대하는 하락에 베팅하는 ‘풋옵션’과 ‘인버스’ 투자가 크게 늘어난 것도 그 때문인데요. 그런데 지금처럼 공포심리가 클 때가 오히려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투자심리는 공포, 그래서 오른다 [허란의 경제한끼]](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1.27068701.1.jpg)
예상과 달리 주가가 상승할 때 공매도한 물량을 다시 사들이는 ‘숏커버링’이 쏟아지면서 주가 상승세가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이미 현금 비중을 늘려놓은 투자자들의 매수세도 가세할 수 있고요.
김태홍 대표는 “탐욕지수가 높을 때 주식을 팔라는 신호로 읽기 보다는 탐욕지수가 20~30 미만으로 떨어져 공포심리가 클 때 주식을 샀다가 3~6개월 뒤에 파는 게 실패가 없는 투자방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마디로 공포에 주식을 사야 한다는 뜻이죠.
![투자심리는 공포, 그래서 오른다 [허란의 경제한끼]](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1.27068700.1.jpg)
4분기 약세장이 시작될 것이란 전망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는데요. 그는 “델타변이 바이러스 확산세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조기 테이퍼링을 실시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며 “테이퍼링은 더 이상 악재가 아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연말에 대주주 과세를 회피하려는 투자자들의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시장이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약세장을 일으킬 만큼의 경기 둔화와 기업실적이 꺾이는 신호는 현재 없다”며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를 약세장을 촉발할 악재로 꼽았습니다.
![투자심리는 공포, 그래서 오른다 [허란의 경제한끼]](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1.27068699.1.jpg)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