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사상 5번째 증거금 몰려
평균 청약 경쟁률 183 대 1
10주 청약땐 최대 7주 받아
고평가 논란에 '따상' 쉽지않을 듯
상장 직후 유통 물량 부담도 커
카카오뱅크의 공모주 청약에 약 58조3020억원의 뭉칫돈이 몰렸다. 지난해 10월 상장한 하이브(58조4238억원)에 이어 국내 기업공개(IPO) 역사상 다섯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기업가치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은행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투자자들이 청약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주 청약 시 최대 7주 받을 듯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부터 이틀 동안 4개 증권사에서 진행한 카카오뱅크의 청약에 약 58조3020억원의 증거금이 들어왔다. 평균 청약 경쟁률은 183 대 1이었다. 가입자가 많은 한국투자증권이 207 대 1로 가장 높았고 현대차증권(178 대 1) KB증권(168 대 1) 하나금융투자(167 대 1) 순으로 나타났다. 4개 증권사에 약 186만 건의 신청이 접수됐다. 지난 5월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세운 역대 최대 기록(80조9017억원, 474만4557건)을 넘어서지 못했다. 중복 청약이 금지돼 여러 증권사에 동시에 청약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전날 카카오뱅크의 목표주가를 공모가보다 약 40% 낮은 2만4000원으로 제시한 리포트가 나온 것이 청약 열기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균등 배정 주식을 노린 투자자는 최대 7주를 받을 수 있다. 최소 청약 수량인 10주를 청약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주식은 현대차증권 6주, KB증권 5주, 하나금융투자 4주, 한국투자증권 3주다. 여기에 추첨을 통해 추가로 1주씩 돌아간다.
이번 청약에서는 계좌당 평균 3076만원의 증거금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별 차이는 있지만 평균 700만원을 증거금으로 넣었을 때 비례 배정 주식 1주를 받을 수 있다. KB증권에 1억원을 넣었다면 균등 배정 주식 5주에 비례 배정 주식 14주 등 약 20주를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카카오뱅크는 우리사주조합 청약률이 97.4%로 약 34만 주의 실권주가 발생했다. 미달 물량이 일반 청약 몫으로 넘어가면서 개인투자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이 1~2주 늘어날 수 있다.
상장 직후 5조원어치 풀려
증권가는 카카오뱅크가 상장 첫날 ‘따상’(상장 첫날 시초가가 공모가의 두 배에 형성된 뒤 상한가)을 성공하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공모가 기준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은 18조5289억원이다. KB금융(21조7000억원) 신한지주(19조8000억여원)에 이어 단숨에 금융지주사 3위에 오르게 된다. 따상하면 시가총액이 40조원에 육박하게 된다.
기관투자가가 일정 기간 주식을 팔지 않기로 약속하는 의무보유확약 비중이 낮다는 점도 주가 흐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체 공모 주식의 절반 이상을 가져가는 해외 기관투자가의 의무보유확약 신청 비율은 13.4%에 불과했다. 상장 당일 유통 물량의 27%인 5조원어치(1억2832만5645주)가 풀릴 예정이다. 시세차익 물량이 쏟아져 나오면 주가를 끌어내릴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다음달 6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카카오뱅크가 화려하게 공모 절차를 마무리하면서 수년 전 이 회사에 투자한 주주들도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특히 5년 전 카카오뱅크 설립 당시부터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한국투자금융그룹은 공모가(3만9000원) 기준으로 4조300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평가이익을 거둘 전망이다.한국투자금융그룹은 2016년 카카오뱅크가 출범할 때부터 주도적 역할을 했다. 그룹 지주사인 한국투자금융지주가 3년여간 최대주주 자리를 지켰다. 그러다 2019년 11월 보유 지분 50% 중 16%를 카카오에, 28.6%를 손자회사인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에 넘겼다. ‘금융지주사가 자회사 아닌 회사의 지분을 5% 이상 초과해 소유할 수 없다’는 금융지주회사법을 따르기 위해서였다.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이때 주당 4689원에 카카오뱅크 주식 1억440만 주를 손에 쥐었다. 지난해 11월에도 유상증자에 참여해 주식 608만여 주를 추가 매입했다.윤아영/김진성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올 하반기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히는 카카오뱅크의 공모주 일반 청약에서 58조원 가량의 뭉칫돈이 몰렸다.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카카오뱅크 공모 청약을 받은 증권사 4곳에 모인 청약 증거금은 총 58조3020억원으로 집계됐다.중복 청약이 가능했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80조9000억원)나 SK바이오사이언스(63조6000억원)의 규모는 뛰어넘지 못했다.최종 통합 경쟁률은 182.7대 1로 나타났다. 증권사별로는 한국투자증권이 207.4대 1로 가장 높았고 이어 현대차증권 178.0대 1, KB증권 168.0대 1, 하나금융투자 167.3대 1 순이었다.청약 건수는 4개 증권사를 통틀어 186만44건으로 190만건에 육박했다.카카오뱅크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으로 여러 증권사를 통한 중복 청약이 불가능하다. 중복 청약을 하면 가장 먼저 접수된 건만 유효한 청약으로 인정된다.카카오뱅크 공모주의 일반 청약 배정분은 총 1636만2500주다. 증권사별 물량은 KB증권 881만577주로 가장 많고 한국투자증권 597만8606주, 하나금융투자 94만3990주, 현대차증권 62만9327주 등이다.청약 물량의 절반 이상을 모든 청약자에게 똑같이 배분하는 균등 배정 방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청약 최소 단위인 10주 증거금 19만5000원을 내면 1주 배정을 기대할 수 있다.다만 청약 건수가 균등배정 물량을 초과하면 전체 청약자를 대상으로 균등 물량을 무작위 추첨 배정한다.앞서 카뱅은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에서 공모가를 희망 범위 상단인 3만9000원으로 확정했다. 전체 주문 규모는 2585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일은 8월 6일이다.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카카오뱅크(카뱅) 공모주 일반 청약에 58조원 가까운 증거금이 모였다.청약 참여자는 186만명을 넘었다.27일 카뱅 청약 마감 결과 증권사 4곳에 들어온 청약 증거금은 총 57조7천89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카뱅 증거금은 중복 청약이 가능했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80조9천억원)나 SK바이오사이언스(63조6천억원)에는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최종 통합 경쟁률은 181.1대 1로 집계됐다.증권사별로는 한국투자증권이 203.1대 1로 가장 높았다.이어 현대차증권 174.3대 1, KB증권 167.9대 1, 하나금융투자 167.3대 1 순이었다.청약 건수는 4개 증권사를 통틀어 186만43건을 기록했다.일반 청약을 마무리한 카뱅은 다음 달 6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