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란의 경제한끼'는 내 자산을 지키는 든든한 한 끼 같은 인터뷰 콘텐츠입니다. 한국경제 유튜브 채널에서 먼저 만날 수 있습니다.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가 주식시장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는 가운데 물가 상승 압력이 얼마나 지속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코로나 기저효과가 끝나는 올해 3·4분기에도 인플레이션이 이어질 것이냐가 관건이다.
장재창 인모스트투자자문 대표는 13일 유튜브채널 한국경제의 ‘허란의 경제한끼’에 출연해 “미국인플레 영향은 6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작년 대비 물가 상승률이 높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올해 하반기까지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장 대표는 미국 인플레이션일 일시적으로 그칠 이유로 △제한적 보복소비 △심각한 저소득층 실업률 △원자재가격 상승세 둔화를 꼽았다.
그는 “3월 미국 재난지원금의 사용처를 조사한 결과 저축이 41%, 부채상환이 33%였고 소비 비중은 24%로 기존 수준에 머물렀다”며 “보복소비가 생각보다 크게 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미국 고용 상황은 견조하지만 저학력층의 실업률은 10%가 넘을 정도로 고용 양극화가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장 대표는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세도 수요증가 보단 공급부족 원인이 더 크다고 봤다. 그는 “1980년대 이후 공급부족에 의한 원자재 가격 상승세는 평균 9개월이면 해소됐다”며 “이번 원자재 가격 상승세도 공급부족 탓으로 2~3개월 내에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지금은 인플레이션이 나타나지만 위협적이지 않은 리플레이션 상황”이라며 “1•2분기보다 3·4로 갈수록 주식시장은 좋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미국 실업급여프로그램이 9월로 종료되는 만큼 여름이면 실업률이 더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7~8월께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입에서 ‘테이퍼링(채권매입 축소)’ 언급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테이퍼링 언급으로 3분기 일시 조정이 나타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장 대표는 주식시장은 유동성 장세인 ‘봄’에서 실적장세인 ‘여름’으로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여름장세의 확실한 증거인 일본공작기계 수주율이 10년래 최고치라는 설명이다.
그는 “이번 여름(실적장세)은 뜨겁고 길 것 같다”고 내다봤다. 2016~2017년에는 기업들의 고정자산 투자(CAPEX)가 오르지 않아 여름장세가 짧았지만 이번에는 CAPEX가 받쳐주고 있어서다.
그는 “6월 이내 단기투자로는 인플레이션에 대항할 수 있는 경기민감주를 사야하지만 6개월 이상 장기투자라면 지금 조정을 받는 대표 기술주를 사야한다”고 조언했다.
※그밖에 여름장세 투자해야 할 업종, 가을 장세가 오는 신호 등은 한국경제 유튜브채널 영상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름 실적장세에 맞춘 포트폴리오 전략을 담은 2부 영상은 15일 오후 5시30분 한국경제 유튜브채널에 업로드됩니다.
밥 캐슬린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 총장이 졸업식 축사를 표절했다는 논란으로 사임했다고 13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이 보도했다.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는 이날 캐슬린 총장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했다고 발표했다. 캐슬린 총장은 지난 주말 졸업식 출사 내용 중 일부가 윌리엄 맥레이븐 전 미 특수작전사령부 사령관의 연설을 베낀 것이라고 시인했다. 맥레이븐 전 사령관은 2011년 9·11테러를 주도한 오사마 빈 라덴 제거 작전을 이끈 인물이다. 캐슬린 총장은 "역경을 딛고 회복하는 것에 대한 말을 찾다가 표절을 하게 됐다"며 "진심으로 죄송하며 이 실수에 대해 모든 책임을 진다"고 말했다.CNN은 캐슬린 총장의 축사 중 상당 부분이 2014년 맥레이븐 전 사령관의 텍사스대 졸업식 축사와 매우 유사하다고 전했다. 맥레이븐 전 사령관의 텍사스대 졸업식 축사 영상은 유튜브에서 130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인기 콘텐츠다. 맥레이븐 전 사령관은 2014년 전역 이후 텍사스대 총장을 맡았다.맥레이븐 전 사령관은 당시 졸업식 축사에서 "인생은 공평하지 않으며 자주 실패할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여러분이 위험을 무릅쓰고 어려운 시기에 나서서 못된 사람들을 상대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일으켜 세우고,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면 다음 세대는 훨씬 더 좋은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했다.캐슬린 총장의 연설은 맥레이븐 전 사령관의 연설과 거의 비슷했지만 청중으로부터 박수를 받지는 못 했다고 CNN은 보도했다. 축사의 문제가 표절뿐만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캐슬린 총장이 연설 도중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라는 학교 이름을 '사우스캘리포니아 주립대'라고 잘못 부른 것이다. 그는 즉각 말실수라고 사과했지만, 졸업생과 학부모들은 한숨을 내쉬었다고 한다.캐슬린 총장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제59대 미 육군사관학교 웨스트포인트 총장을 역임했다. 이어 2019년 7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 총장이 됐다. 이 학교 이사회는 "그동안 캐슬린 총장의 노고에 감사를 표한다"며 "전임 총장인 해리스 파스티데스가 임시 총장직을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미국이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세에 따라 신규 실업수당 신청 규모가 최저치를 기록하고, 생산자물가지수는 계속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5월 2∼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47만3000건으로 집계됐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청구 건수는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49만건을 밑돌았다.이는 전주보다 3만4000건 감소한 수치다. 이로써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저치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올해 1월 90만건대에서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다만 20만건대를 밑돌던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두 배 수준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몬태나주 등 미국의 일부 주가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연방정부 실업급여 지급을 중단한 것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일각에서는 넉넉한 실업급여를 받는 실직자들이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하며 적극적으로 구직에 나서지 않아 기업들의 구인난이 심각하다고 분석한다.이날 발표된 미국의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당초 예상치 0.3%보다 두 배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6.2% 급등했다.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영국 명품 브랜드 버버리의 지난 1분기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버버리의 1분기 비교매장매출(동일매장매출·1년의 회계기간 중 소매점에서 발생한 매출)은 직전 분기 대비 32% 증가했다. 버버리 그룹은 "특히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시장에서 매출이 크게 늘며 이 같은 성장을 견인했다"면서 "지난해 4분기에도 아태 지역에서 비교매장매출이 75% 상승했다"고 강조했다.다만 분기별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2019년 수준을 밑돌고 있다. 올해 1분기 매출도 2년 전 동기 대비 5% 낮았다. 버버리는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지난해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1% 감소한 23억4400만파운드(약 3조7236억원)에 그쳤다. 앞으로 버버리는 매장 리모델링과 온라인판매 등에 최대 1억9000파운드(약 1588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경쟁 명품 브랜드사들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매출 수준을 웃돌았다. 프랑스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올해 1분기 매출이 140억유로(약 19조1245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30% 늘어났고 에르메스인터내셔널은 1분기 매출이 21억유로(약 2조8686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38% 뛰었다.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