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으로 조정을 받아온 친환경주가 반등에 성공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그 중 약 절반이 친환경 에너지에 집중됐기 때문이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31일(현지시간) 2조 달러(약 2260조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인프라 정책 규모 등은 시장이 예상한대로였다. 다만 전통 인프라보다 그린 인프라 비중이 두 배 가량 많다는 점에 시장은 반응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전통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비중이 25%를 차지했다. 그린 인프라 투자 비중은 약 50%에 달했다.

투자자들은 최근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급상승한 전통 인프라 관련주에 대해 차익 실현에 나섰다. 건설 중장비 업체 캐터필러(CAT)가 0.52%, 건설용 석재 및 콘크리트 업체 벌컨머티리얼스(VMC)는 2.02% 하락했다. 건설용 장비 대여 업체 유나이티드렌탈(URI) 주가는 1.17% 떨어졌다.

반면 친환경 에너지 관련주는 급등했다. 이미 전 날인 30일 주가가 급등했던 종목들도 포함됐다. 주거용 태양광 패널 설치 및 에너지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노바(NOVA)는 30~31일 이틀간 25.6%, 풍력 타워 제조업체 브로드윈드에너지(BWEN)는 31.7%, 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E)는 15.6%, 전기차 충전소를 운영하는 차지포인트(CHPT)는 무려 27.6% 상승했다. 테슬라도 마찬가지였다. 30일 3.98% 오른 데 이어 31일 5.08% 오른 667.9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인프라 정책 발표 이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미국 10년물 금리는 1.74%까지 상승했다. 반면 금리 상승에도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하락하지 않았다. 친환경 관련주의 질주에 나스닥지수는 1.5% 상승했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금리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했던 미국 주식시장은 점차 경기 및 실적 등 펀더멘털로 관심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포트폴리오 전략 차원에서는 전통 SOC보다는 그린 에너지 관련주의 반등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밸류에이션 부담도 크지 않다. 친환경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는 연초 고점을 찍은 후 미국 국채 금리 상승으로 조정을 거쳤다. iShares S&P Global Clean Energy ETF(ICLN)은 1월 7일 33.41달러로 고점을 찍은 후 하락해 31일 기준 24.3달러로 27% 하락한 상태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