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해외주식 시작하신분들 많으시죠?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거래액은 이미 지난 8월에 1000억달러(약 110조원)를 넘었습니다. 사상 최대치인데요. 이 추세라면 올해 1500억달러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올해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수익을 낸 분들도 많을텐데요. 그런데 해외주식으로 수익을 내면 국내주식에 투자할때와 달리 양도소득세를 내야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해외주식에 투자해서 연 250만원 이상 수익이나면 양도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야하는데요, 정해진 기한에 먼저 신고하지 않으면 원래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야합니다. 해외주식 세금과 관련한 모든 것을 정리해드립니다.
나도 세금을 내야하나?
먼저 내가 세금신고를 해야하는 사람인가? 부터 살펴볼게요. 주식 거래와 관련한 세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양도차익과 배당수익인데요. 양도차익이라는 건 주가의 변동에 따라 주식을 팔았을 때 생긴 이익을 이야기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으로 돈 벌었다고 할 때 말하는 게 양도차익이죠. 배당차익은 주식에서 배당을 받아 생긴 이익입니다.국내 주식에 투자할 때 일반 개인투자자들에겐 양도차익이 없습니다. 주식을 많이 가진 대주주들만 양도소득을 냅니다. 대주주인지 아닌지를 나누는 기준은 현재는 한 종목당 코스피는 지분 1%, 코스닥은 2%를 가졌거나, 종목당 10억원어치 이상의 주식을 가진 사람을 대주주라고 봅니다. 원래는 내년부터는 이 기준을 3억원으로 낮추기로 했는데 투자자들이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2023년부터 시행으로 일단 유예해 둔 상태입니다.
대주주가 아닌 국내 주식 투자자시라면 배당에 대해서만 15.4%의 배당소득세(주민세 1.4% 포함)를 내면 됩니다. 그런데 이 배당소득세도 증권사에서 원천징수를 한 다음 줍니다. 그러니까 여튼 개인투자자시라면 국내주식 투자할 때 따로 세금신고를 신경써야할 부분이 없습니다.
오늘의 본론인 해외 주식투자. 여기서부터가 조금 복잡합니다. 한 해에 주식이나 상장지수펀드(ETF)로 250만원 이상 수익을 내셨다면 양도차익 과세 대상이 됩니다. 여기서 250만원 기준은 평가손익이 아니라 이미 매도를 한 경우의 기준입니다. 예를들어 내가 테슬라를 가지고 있는데 오른 상태로 가지고만 있으면 이건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그런데 중간에 한 번이라도 팔아서 이익이든 손실이든 실현했다면 실현한 금액이 과세 기준이 됩니다.
![올해 미국주식으로 돈 좀 버셨나요? 그럼 세금은… [주코노미TV]](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611773.1.jpg)
그러면 얼마를 내야하지?
이렇게 한 해의 수익이 250만원을 넘었다면 양도소득세를 내야합니다. 세율은 22%입니다. 250만원은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 세금을 냅니다. 다시 예를 들어볼게요. 테슬라로 500만원을 벌고 니콜라로 100만원 손해를 봤습니다. 그러면 400만원 수익이 나셨겠죠. 여기서 250만원까지는 공제하고 나머지 150만원이 과세 대상입니다. 여기에 대해 22% 양도소득세를 내는 것이니까. 내야하는 세금은 33만원입니다.
![올해 미국주식으로 돈 좀 버셨나요? 그럼 세금은… [주코노미TV]](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611772.1.jpg)
세금 덜 낼 방법은 없나
그렇다면 해외주식 양도차익에 대해 세금을 조금 덜 낼 수는 없을까. 나는 테슬라는 팔아서 500만원 수익을 냈지만 주가가 떨어져서 못 팔고 있는 주식도 있는데, 그래서 미실현 수익까지 합하면 더 수익이 적어지는데, 수익을 낸 것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는 게 조금 억울하다. 이런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이런 분들을 위한 절세 팁이 있습니다. 손실이 나고있는 종목을 팔고 다시 사는겁니다.
![올해 미국주식으로 돈 좀 버셨나요? 그럼 세금은… [주코노미TV]](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611771.1.jpg)
그러니까 C종목을 팔았다가 다시 매수한 순간 C종목의 손실이 반영돼서 전체 양도차익은 200만원이됩니다. 공제금액인 250만원보다 적으니까 이 경우 세금을 안 내도 되는 것이죠. 물론 매매과정에서 증권사 수수료 등 매매비용이 조금 들겠지만요. 결론적으로 해외주식 투자중이신데, 손실을 보고 있는 종목이 있다면 팔았다가 다시 사는 게 세제상 유리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또 나는 주식을 장기투자하기때문에 매매하지 않겠다는 분들도 연말에 일부, 특히 세금 공제 한도인 250만원미만으로 차익을 실현하셨다가 다시 매수하시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사서 쭉 들고있다가 한번에 차익을 실현하면 250만원 이상에 대해서 모두 세금을 내야하지만, 연말에 차익실현을 했다가 다시 사면 250만원 미만에 대해선 세금을 안 내도 되고, 또 중간에 사고 판만큼 마지막에 실현하는 차익의 규모가 더 적을테니 그만큼 세금도 덜 내겠죠.
![올해 미국주식으로 돈 좀 버셨나요? 그럼 세금은… [주코노미TV]](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611770.1.jpg)
세금신고는 언제, 어떻게?
그렇다면 세금신고는 어떻게 해야할까. 양도소득세 신고는 매년 5월 한 달 동안 받습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홈택스를 통해서 전자신고를 하거나 관할 세무서에 가서 서류를 제출하면 되는데요. 이게 굉장히 복잡합니다. 양도소득과세표준 신고 및 자진납부계산서와 주식 등 양도소득금액 계산명세서 이렇게 두 개를 내야합니다. 그리고 그 양식도 매우 복잡합니다.
![올해 미국주식으로 돈 좀 버셨나요? 그럼 세금은… [주코노미TV]](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611768.1.jpg)
마지막으로 해외주식으로 돈을 벌었는데 소득 신고를 안하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에는 신고불성실 가산세라는 게 붙습니다. 신고를 아예 안했으면 20%, 번 돈을 줄여서 신고했으면 10% 가산세가 붙습니다. 그러니까 내년 5월 신고기한에 맞춰 잊지않고 신고하고 납부하는 게 좋겠죠.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