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IPO) 역대 흥행 1위를 기록한 SK바이오팜이 2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통상 기업공개된 종목의 주가는 1~2개월간 수급에 따라 좌우된다는 게 증권업계의 정설이다. 상장 당일 유통 가능 주식 수에 관심이 쏠리는 까닭이다. 하지만 상장을 앞두고 상장 당일 유통 주식 수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퍼지면서 투자자들의 혼란도 커지고 있는 만큼 주의가 요구된다.
SK바이오팜 유통주식이 391만주라고요?

상장일 1022만 주 유통 가능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팜 상장 당일 장에서 거래 가능한 유통 주식 수는 1022만6582주다. 당초 시장에서는 상장 당일 유통 주식 수가 전체 주식의 5% 수준인 391만5662주에 불과하다는 오해가 팽배했다.

어떻게 생긴 오해일까. SK바이오팜의 총 유통 주식 수는 전체 발행 주식 수의 25%인 1957만8310주다. 이 중 우리사주조합에는 5%에 해당하는 391만5662주가 배정됐다. 나머지 20%인 1566만2648주가 일반 공모물량이었다. 이 중 일반 청약 투자자들은 391만5662주, 기관은 1174만6986주를 배정받기로 돼 있었다.

기업공개 전 수요예측에 따르면 기관은 신청 물량 중 81.15%에 의무보유확약기간을 설정했다. 의무보유확약이란 보유 주식을 일정 기간 동안 팔지 않겠다는 약속이다. 의무보유확약기간을 설정하면 공모주를 더 많이 배정받을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상장 당일 기관 보유 물량보다는 일반 투자자 보유분인 391만5662주가 주로 거래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하지만 실제 공모주 배정 결과는 달랐다. SK바이오팜 증권발행실적보고서에 따르면 기관은 당초 배정 물량보다 146만8731주 많은 1321만5717주를 배정받았다.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됐던 391만5662주를 SK바이오팜 임직원들이 모두 소화하지 못하면서 실권 물량이 기관에 추가 배정됐다. SK바이오팜은 임원 6명, 직원 201명이 총 244만6931주를 배정받았다.

기관 배정 물량인 1321만5717주 가운데 확약 기간이 없어 상장 당일에도 거래 가능한 주식 수는 631만920주로 나타났다. 기관 배정 물량 중 52.25%만 의무보유확약기간에 걸려 있다. 당초 시장에서 알고 있던 81.15%와는 상당한 차이가 난다.

이유는 이렇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SK바이오팜에 공모한 기관 수는 국내 960개, 해외 117개 등 총 1077개다. 국내 기관은 95억5100만 주, 해외 기관은 2억4800만 주를 신청했다. 전체 기관 신청 건수 중 2.53%만 해외 기관 신청 물량이다. 하지만 기관에 배정된 공모 물량 중 45%에 해당하는 594만 주가량이 해외 기관에 배정됐다.

해외 기관 중 의무보유확약기간을 설정한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 수요예측 때와 달리 미확약 물량이 확 늘어난 이유다. 나머지 55%를 국내 기관이 나눠 받았다. 주관사가 해외 기관 등과 협의해 자율적으로 정한 결과다.

주관사인 NH투자증권 측 관계자는 “해외 기관 배정 물량은 의무보유확약기간이 없고, 우리사주 실권 물량까지 더해지니 상장 당일 유통 가능한 주식 수가 1000만 주 수준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상장 당일 신규 진입 주의해야

상장 당일 거래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상장 당일 시초가는 동시호가 시간(8시30분~9시) 주문에 따라 공모가(4만9000원)의 최대 200% 수준인 9만8000원까지 오를 수 있다. 이후 가격제한선(30%)인 12만7400원까지 상승 가능하다. 하지만 외국인의 미확약 물량이 변수다. 당장 매도 물량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의무보유확약을 하지 않은 것도 상장 당일 차익 실현을 위해서일 것이란 관측이다. 개인투자자들로서는 셈법이 복잡해졌다. 당초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유통 물량이 적은 만큼 ‘따상’(공모가의 두 배로 시초가 형성 뒤 상한가) 기대가 컸다. 하지만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 장이 열린 뒤 주가가 요동칠 가능성이 크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초가가 공모가 대비 두 배로 시작하면 외국인들은 적극적으로 차익 실현에 나설 것”이라며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장 당일 신규 진입하는 투자자들은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