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루벤스타인 칼라일 회장은 지난 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이 주식을 저가 매수할 기회”라고 진단했다. 그는 “저가 매수는 돈을 벌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라며 패닉에 빠진 개인 투자자들에게 시장을 떠나지 말라고 조언했다.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을 빠져나갔다가 주가가 오르면 다시 시장에 뛰어드는 흔한 실수를 저지르지 말라”는 얘기다.종목 가운데서는 낙폭이 큰 정보기술(IT)주와 금융주를 추천했다. 간접투자를 하려면 운용사의 과거 실적과 상품의 투자자 목록을 확인해봐야 한다고 했다. “유명한 투자자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면 좋은 투자 상품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루벤스타인 회장은 “과거 페이스북과 아마존의 성장 가능성을 알아보지 못하고 투자 기회를 놓친 것을 후회한다”며 “관습적인 통념에 도전하려는 의지를 갖춰야 위대한 투자자”라고 말했다. 인터뷰는 줌을 통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개인투자자들이 실수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개인 투자자 대부분이 충분한 조사 없이 투자를 시작합니다. 최소한의 조사와 일부 정보만을 기반으로 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친구에게 추천받아 투자하기도 합니다. 스스로 어떤 투자를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하는데 이를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투자자들은 지금 시장에서 겁을 먹고 있습니다.“지금 상황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이런 사이클은 늘 반복됐으며 시장은 결국 회복했다’는 겁니다. 또 하나는 저가에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돈을 벌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라는 겁니다. 주식시장이 크게 떨어질 때마다 엄청난 수익
“주식에 투자할 큰 기회가 왔습니다.”세계 3대 사모펀드로 꼽히는 칼라일 창업자이자 회장인 데이비드 루벤스타인(사진)은 지난 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우려로 최근 미국 뉴욕증시가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침착하게 시장에 머물러야 한다는 조언이다.루벤스타인 회장은 “이런 위기는 과거에도 많았다”며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지금이 저가 매수 기회”라며 “6개월~1년 전과 비교해 훨씬 더 싼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종목 가운데서는 주가 낙폭이 큰 정보기술(IT)주를 추천했다. 올 들어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과 고평가 논란 속에 기술주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로쿠, 로블록스 등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높은 기업은 물론 애플, 아마존 등 시장 주도주까지 큰 타격을 받았다.루벤스타인 회장은 “최근 우수한 기업조차 시장의 외면을 받아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며 “과도하게 하락한 기술주와 함께 사모펀드 등 금융주도 투자할 만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현 상황을 두려워할 필요 없다. 좋은 기업의 주가는 반드시 회복한다”고 강조했다.금리 인상 우려 속에서 폭락한 암호화폐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는 “암호화폐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암호화폐 가격이 최소 50% 이상 급락했지만 여전히 가치가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페북·아마존 일찍 못 알아봐 후회…지금은 기술주 싸게 살 기회"데이비드 루벤스타인 칼라일 회장은 지난 5일 한국경제신
미국 S&P500 기업이 2분기 자본지출을 20% 늘렸다. 경기 침체 우려에도 사업 전망을 밝게 보며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주요 기업의 자본지출 확대는 뉴욕증시에 호재라는 평가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S&P다우존스인디시즈 자료를 인용해 S&P500 기업의 2분기 자본지출이 1498억달러(약 194조3200억원)로 집계됐다고 지난 5일 보도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 20%, 직전인 1분기보다 5.5% 늘었다. 업종별로는 정보기술(IT), 통신, 산업의 자본지출 증가 규모가 컸다.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2분기 자본지출 규모는 68억달러다. 지난해 같은 기간(55억달러)보다 23.6% 늘었다. 제너럴모터스(GM)의 자본지출은 지난해 2분기 15억달러에서 올 2분기 21억달러, 식음료품 제조회사 펩시코는 13억달러에서 15억달러로 확대됐다.미국 투자회사 크로스마크글로벌인베스트먼트의 빅토리아 페르난데스 수석전략가는 “기업들이 자본지출을 늘리고 있고 자본지출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것은 낙관적 전망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S&P500 기업은 2분기에 자사주 매입, 배당 등 주주환원보다 자본지출을 더 늘렸다. S&P500 기업의 2분기 배당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9% 늘어난 1406억달러, 자사주 매입액은 10% 증가한 1608억달러였다. S&P500 기업이 주주환원보다 자본지출을 더 많이 늘린 건 지난해 1분기 이후 1년여 만이다.S&P500 기업의 투자 확대는 증시 부양에도 도움이 된다는 해석이 나온다. 기업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기 때문이다. S&P500지수는 지난달에만 9% 이상 올랐다. 리서치회사 베리티데이터의 벤 실버먼 이사는 “기업들의 자본지출 증가는 증시에도 호재”라며 “기업 경영진이 현금 비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