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 중소형 화장품업체가 관심을 받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면세점 등 오프라인 소비가 급감하자 온라인 채널에서 인기가 높은 화장품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 기대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도 온라인을 중심으로 화장품 소비가 회복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온라인 채널' 선점한 중소 화장품株 두각
대표적으로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은 클리오다. 클리오는 29일 2만2250원으로 마감했다. 한 달 동안 30.88% 뛰었다. 화장품 라인업이 탄탄하고 판매 채널을 선제적으로 정비해 실적 전망이 밝다는 분석이다. 올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9% 증가한 39억원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헬스&뷰티(H&B), 온라인 등 주력 소비층이 자주 방문하는 채널을 확대하고 중국 현지 오프라인 매장과 적자 점포는 폐점했다”며 “선제적 조치로 코로나19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업체인 코스맥스도 한 달 동안 20.75% 올랐다. 이 회사는 카버코리아, 닥터자르트 등 온라인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장외 중소 화장품업체를 고객사로 두고 있다. 또 중국 현지 최대 온라인 브랜드인 퍼펙트다이어리와 로레알차이나, 바이췌링 등에 제품을 납품한다. 퍼펙트다이어리는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마케팅으로 코로나19 이전보다 매출이 크게 늘었다. 나은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공장이 3월 정상 가동됐고 코로나19 직후 손 소독제 생산에 나서는 등 판매 품목을 유연하게 전환한 것도 긍정적”이라고 했다. 코스맥스는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보다 38.5%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하반기 화장품 매출이 회복돼 연간 영업이익은 16.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른 중소형 화장품주는 오프라인 비중이 높은 편이다. 미샤 브랜드를 보유한 에이블씨앤씨는 오프라인(직영점 및 가맹점) 매장을 구조조정했지만 오프라인 매출 비중이 60%로 여전히 높다. 온라인은 12.5%에 불과하다. 토니모리도 로드숍, 유통점 등 오프라인 채널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코스메카코리아 역시 아직 온라인 기반 고객층이 얇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