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직구’(직접투자) 열풍이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그동안 미국 증시를 주도해왔던 정보기술(IT)주보다 저금리 시대에 안정적으로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삼성증권은 서울 압구정동 현대백화점에서 최근 연 해외주식 설명회에 참석한 고객 432명에게 내년 해외 주식 투자 방향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3일 발표했다. 앞으로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싶은 나라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미국(52.1%)이라고 답했다.
최근 미국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데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반영된 것이란 게 삼성증권의 설명이다. 중국(25.2%)이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동남아시아(13.2%), 유럽(5.7%), 기타 국가(3.8)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내년 유망한 투자 대상에 대해선 IT주(37.3%)보다 배당주(47.7%)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김중한 삼성증권 연구원은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저금리와 저성장이 장기화될수록 불확실성이 높은 성장주보다 변동성이 낮은 배당주의 투자매력이 부각됐다”며 “올 들어 미국 증시가 IT주를 중심으로 크게 올라 고점 논란이 일고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배당주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투자하고 싶은 해외 종목으로는 월트디즈니(16.2%)가 1위에 올랐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디즈니가 지난 12일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새롭게 선보인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서비스 ‘디즈니플러스’와 21일 개봉 예정인 ‘겨울왕국2’에 대한 기대 등이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13.5%)과 마이크로소프트(13.2%), 블리자드(5.9%)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초저금리 시대에 꾸준한 수익을 추구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끌고 있는 배당 투자가, 내년 해외주식 시장에서도 그 열기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됐다.삼성증권은 지난 2일 열린 '해외주식 파이널 공개특강' 행사에 참여한 432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020년 해외주식 유망 테마'로 '배당주'(47.7%)가 1위에 꼽혔다고 13일 밝혔다. 배당주에 이어 정보기술(IT)과 소비재가 각각 37.3%와 7.9%로 2위와 3위를 기록했다.이런 투자자들의 수요는 실제 내년 해외투자에서 유효한 전략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삼성증권에 따르면 과거 25년 동안 연속으로 꾸준히 배당을 증가시킨 미국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이들 기업의 평균 주가 상승률은 202%에 달했다. 이는 S&P500지수를 지속적으로 웃도는 수준이었다. 특히 배당 기업들의 평균주가는 금리 및 자기자본이익률(ROE) 하락기 등 저성장 시기에도 S&P500지수 대비 각각 4.5%포인트, 6.3%포인트의 초과 상승을 기록했다. 김중한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은 "과거 글로벌 선진시장 사례를 살펴보면 저금리와 저성장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높은 자본이득보다는 변동성이 적은 배당 투자에 대한 매력도가 부각됐다"며 "저금리가 장기화 되면서 국내 투자자들도 이런 점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이런 투자자들의 수요를 감안해 삼성증권은 지난 9월 말, 시가총액 100억달러 이상의 해외 종목 중 존슨앤존슨, 코카콜라, 유나이티드 헬스그룹 등 30종목을 배당왕 최선호주(Top Pick)으로 선정해 제시했다.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싶은 글로벌 시장으로는 총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미국(52.1%)이라고 답했다. 이는 미중 무역협상의 단계적 합의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감소하고 위험 선호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국내 투자자들은 미국에 이어 중국(25.2%), 동남아시아(13.2%), 유럽(5.7%) 등의 순으로 투자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했다.2020년 투자하고 싶은 해외주식 종목으로는 월트디즈니(16.2%)가 1위를 차지했다. 월트디즈니는 지난 7월 삼성증권에서 실시한 '올 여름 휴가를 떠나기 전 매수하고 싶은 종목은?' 설문조사에서도 최선호 종목으로 선정됐었다. 문준호 삼성증권 선임연구원은 "지난 12일부터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디즈니플러스(OTT)에 대한 기대감과 오는 21일 국내 개봉 예정인 '겨울왕국2'의 흥행 기대감 등이 합쳐지며 디즈니에 대한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디즈니 다음으로는 알파벳(구글 모회사, 13.5%), 마이크로소프트(13.2%), 블리자드(5.9%) 등이 내년에 투자하고 싶은 해외주식 종목의 순위에 올랐다.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삼성증권의 자산관리 랩어카운트 상품인 ‘POP UMA 글로벌 투자 랩’에 개인뿐 아니라 법인 자금이 몰리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상품은 고객의 위험 성향과 기대수익률에 따라 네 가지로 나눠 랩어카운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담아 운용하는 서비스다.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해 장기 수익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인뿐 아니라 법인에도 전담 운용역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글로벌 섹터’는 글로벌 주식 중 정보기술(IT), 헬스케어를 포함한 10개 섹터에 분산 투자해 수익을 추구한다. 포트폴리오는 달러화 상장지수펀드(ETF)로만 구성해 비용을 최소화했다. 주식 섹터에만 투자해 장기적으로 채권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는 게 삼성증권 측 설명이다.‘글로벌 자산배분’은 글로벌섹터와 비교해 위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다. 글로벌 주식은 물론 글로벌 채권 및 대안자산에 투자해 상대적으로 안정성을 높였다. 전체의 50% 가까이를 채권에 투자한다.‘글로벌 일드’는 한국과 미국 금리가 역전돼 안전자산인 달러화 일드형 자산 수익률이 국내 자산보다 오히려 높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자 배당 등이 발생하고 추가적인 자산 가격 상승까지 기대할 수 있는 전환사채(CB), 리츠, 인프라 등 달러화 ETF에 투자한다. 투자 대상 ETF 자산의 가중평균 배당 수익률은 연 3.98%로 국내 금리보다 높다.‘글로벌 통화분산’은 국내보다 수익률이 높은 달러, 유로, 파운드, 엔, 위안화 등 글로벌 통화로 표시된 채권형 자산에 투자해 수익률을 높인다. 아울러 통화 분산으로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률 영향을 최소화했다. 고객에게 월 배당금을 지급하는 ‘월지급식’ 상품이다. 이병열 삼성증권 CPC전략실장은 “글로벌 저성장·저금리 상황에서 채권 이자보다 배당수익이 높은 글로벌 주식 및 고배당과 이자를 지급하는 일드형 대안자산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한국투자증권은 11일 삼성증권에 대해 "올 3분기 899억원의 순이익으로 꾸준한 실적을 보이면서 배당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며 목표주가 '5만원(유지)',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실적은 IB는 부진했지만 트레이딩과 자산관리가 선방했다"면서 "홍콩사태로 인한 8월 ELS 조기상환 감소에도 7월과 9월에도 ELS 조기상환이 양호했던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DLS 조기상환 규모가 353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290억원 증가한 점도 수익 증대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백 연구원은 운용손익 및 금융수지는 122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 감소했지만, 금리 외 다른 운용여건이 선방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그는 "인수 및 자문수수료는 구조화금융과 M&A, ECM 부문의 딜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면서 3분기 203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5% 감소했다"면서도 "구조화금융은 캐리수익이 증가하고 있고, 지연된 딜 수익이 4분기부터 다시 반영될 예정으로 IB 수익 확대는 확대될 것"이라 판단했다.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