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별로 분류한 투자자 위험성향 비중이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 유형 분류가 각 증권사 입맛에 맞게 이뤄지다 보니 정확한 위험성향 판단이 안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주요 10개 증권사의 ‘초고위험’ 성향 개인 고객 비율은 최저 15.0%에서 최고 61.4%로 격차가 컸다.

국내 모든 증권사는 투자 권유 전 투자자의 위험성향 등 정보를 우선 파악한 뒤 이에 적합한 상품을 권유해야 한다. 금융투자협회가 펴낸 ‘표준투자권유준칙’을 보면 초고위험 성향의 경우 투기등급(BB+ 이하) 회사채나 주식 관련 사채, 변동성이 큰 펀드, 원금 비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파생결합증권(DLS) 등 위험도가 높은 상품 투자에 적합하다.

초고위험 성향 고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신한금융투자였다. 이 회사에서 투자위험 성향을 파악한 고객 4만9086명 중 3만116명(61.4%)이 초고위험 성향으로 분류됐다. ‘고위험’ 성향도 8096명(16.4%)에 달했다.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상품에 적합한 ‘중위험’ 고객은 2768명(5.6%)에 그쳤고, ‘저위험’과 ‘초저위험’ 고객은 각각 8.7%와 7.8%였다.

메리츠종금증권도 초고위험 고객 비율이 53.7%로 절반을 넘겼다. 삼성증권(48.4%), 한국투자증권(45.5%) 등도 초고위험 비율이 높았다.

반면 하나금융투자(30.4%), 미래에셋대우(27.5%), KB증권(26.6%), 키움증권(20.2%), NH투자증권(17.7%), 대신증권(15.0%) 등은 초고위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증권업계에서는 증권사별 투자자 위험성향 분류 방식이 제각각이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각 증권사는 투자자 위험성향 파악을 위한 설문 문항과 배점 기준, 유형별 적합한 상품 등을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다.

제 의원은 “상품을 파는 증권사에 투자자 위험성향 분류를 자체적으로 하도록 한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격’”이라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