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긴축·무역갈등에 셧다운까지…나스닥, 약세장 진입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가 브레이크 없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호재에는 뜨뜻미지근하게 움직이다가, 악재에만 과도하게 반응하는 흐름이 반복되고 있다.

그만큼 투자심리가 취약해졌다는 의미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10년간 이어진 '초장기 강세장'이 공식적으로 끝났다는 신호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는 시장 눈높이에 못 미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 긴축 행보, 미·중 무역갈등이 투자심리를 억눌렀다면, 이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책임론이 맞춰지는 모양새다.

◇ 나스닥 '약세장' 진입…금융위기 이후 처음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414.23포인트(1.81%) 하락한 22,445.37에 거래를 마쳤다.

'연준 3인자'로 꼽히는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가 "통화정책 기조를 재점검할 수 있다"며 시장에 우호적인 메시지를 보내자 반짝 강세를 나타내기도 했지만, 곧바로 밀리면서 급락세로 마감했다.

이로써 다우지수는 이번 주 1,655포인트(6.8%) 하락했다.

주간 기준으로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 이후로 최대 낙폭이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도 이번 주 7.05% 떨어졌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이번 주 8.36% 주저앉았다.

나스닥지수는 지난 8월 고점과 비교하면 22% 하락하면서 '약세장'에 진입했다.

통상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으로 분류한다.

증시의 상승 엔진 역할을 했던 나스닥지수가 약세장에 들어선 것은 금융위기 이후로 처음이다.

2009년부터 이어진 '10년 강세장'에 마침표를 찍었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다.

현재의 하락세가 이어진다면, 조정 국면(고점 대비 10%대 하락)에 있는 다우지수와 S&P500지수도 조만간 약세장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美 증시 10년 만의 '최악의 한주'…WSJ·CNBC "트럼프 리스크"
◇"트럼프의 변덕, 증시의 최대 리스크"
그동안 시장을 짓눌렀던 양대 악재, 즉 '통화 긴축'과 '무역갈등'에 더해 이제는 '워싱턴DC 리스크'까지 부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 예산'을 요구하며 미국 연방정부를 일시 폐쇄하는 '셧다운'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공화-민주 양당이 긴급 지출법안에 대한 극적인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다면, 22일 0시를 기해 연방정부 셧다운이 현실화하게 된다.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대중(對中) 강경 발언들이 이어지면서 무역갈등 해소에 대해 기대감도 점차 낮아지는 기류다.

안보정책의 불확실성도 갑작스럽게 돌출했다.

시리아 전면 철군에 이은 아프가니스탄 철군 움직임, 이에 반발한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의 사의 표명까지 워싱턴발(發) 혼란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는 형국이다.

주로 연준의 긴축 정책을 겨냥했던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트럼프의 변덕 리스크'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노골적으로 비판했다.

WSJ은 "이번 주 3대 악재를 꼽자면 그 첫 번째는 연준의 금리 인상 조치 결정이었지만, 나머지 두 가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인 시리아 철군 결정과 셧다운 강공"이라고 지적했다.

WSJ은 "기존의 '현상유지'를 깨뜨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들은 그동안 시장에 우호적으로 작용했지만, 이번 주 변덕스러운 조치들은 성격이 다르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마치 성난 황소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제매체 CNBC도 "뉴욕증시는 친(親) 성장 감세와 규제 완화를 추진한 트럼프 대통령을 사랑해왔지만, 이제는 그렇지 않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불러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CNBC는 그러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과 무역 전쟁보다도, 트럼프 대통령과 워싱턴 정치가 시장의 최우선 리스크로 떠올랐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