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이 19일(현지시간) 시장의 예상대로 0.25%포인트의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골적인 금리 동결 압박에도 단계적인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간 것이다.

다만 내년 통화정책에 대해선 '속도 조절'을 공식화했다. 금리 인상 횟수 전망치는 기존 3차례에서 2차례로 하향 조정됐다.

미국 실물경제가 여전히 탄탄한 흐름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긴축을 뒷받침하고 있지만, 금융시장의 과도한 통화완화 기대감을 마냥 무시하기는 어려웠다는 의미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뉴욕증시의 변동성을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아예 동결까지 기대했던 시장의 과도한 눈높이에는 못 미칠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긴축기조의 유연성을 높이겠다는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 메시지'로 읽힌다.

◇ '비둘기 색채' 압도적…FOMC 2명 "이제 동결하자"

앞서 금리 인상을 단행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비교하면, Fed 수뇌부의 기류는 온건해졌다.

통화정책회의 직후에 공개된 점도표(dot plot)에서 내년도 금리 인상 속도를 줄이겠다는 시그널을 보냈다.

점도표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 개개인의 금리 인상 스케줄을 분포도로 정리한 일종의 설문조사다.

Fed 수뇌부의 머릿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잣대인 셈이다.

내년 금리 인상이 두 차례를 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FOMC 위원 17명 가운데 11명에 달했다.

총 16명이 점도표에 참여했던 9월 당시 7명보다 4명이 늘어난 규모다.

5명이 두 차례, 4명이 한차례 인상을 각각 내다봤고 2명은 아예 동결을 주장했다.

동결주장은 지난 9월의 1명에서 더 늘어난 수치다.

반면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목소리'는 약해졌다.

세 차례 이상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의견은 석 달 새 9명에서 6명으로 줄었다.

이 가운데 네 차례 이상 금리 인상을 전망한 FOMC 위원은 9월에는 5명에 달했지만, 이번에는 한 명도 없었다.

이에 따라 내년 말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 기준)는 기존 3.1%에서 2.9%로 하향 조정됐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기준금리가 2.25~2.50%로 올라선 것을 감안하면, 0.25%포인트씩 두 차례 인상을 시사한 셈이다.

오는 2020년 금리 인상횟수는 기존처럼 한차례로 예상됐다.

◇ 중립금리 하향조정…기준금리, 하단 도달

최근 뜨거운 논쟁을 불러왔던 이른바 '중립금리'는 지난 9월 2.8~3.0%에서 2.5~3.0%로 하단을 0.3%포인트 끌어내렸다.

이에 따라 중립금리 중간값은 3.00%에서 2.75%로 하향조정됐다.

중립금리는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 압력 없이 잠재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는 이상적인 금리 수준을 말한다.

일종의 Fed 목표치로도 볼 수 있다.

현 기준금리(2.25~2.50%)를 기준으로 하면, 중립금리 하단에 이미 도달한 셈이다.

중간값 기준으로도 0.25%포인트 한차례 인상이면 중립금리를 달성하게 된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달 28일 당시 기준금리에 대해 중립금리의 "바로 밑(just below)"이라고 평가하면서 한층 더 비둘기파적인 메시지를 내놓은 바 있다.

◇ '점진적 긴축' 문구 유지했지만…약해진 자신감

시장이 이번 FOMC 성명에서 주목한 대목은 '점진적 금리 인상'(further gradual increases)이라는 문구가 유지될지 여부였다.

Fed는 2015년 12월 7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한 것을 시작으로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이어왔다.

2016년 1차례, 지난해 3차례에 이어 올해 들어서는 이번까지 네 차례 올렸다.

앞서 공개된 11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당시 회의에서 '추가적인 점진적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는 성명서 문구를 수정하는 문제가 논의됐다.

일부 위원들은 향후 경제지표에 대한 평가를 더욱 중시하는 쪽으로 문구를 수정하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 때문에 이번 FOMC에서 '점진적 금리 인상'이라는 문구를 유지할지는 향후 Fed의 기조를 가늠하는 핵심 잣대로 여겨져 왔다.

일단 Fed는 이 문구를 살리면서도 일부(some)라는 '수식어'를 추가하는 절충안을 선택했다.

아직은 단계적 긴축을 종료할 시점이 아니지만, 경제 및 금융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