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간판 성장 업종으로 꼽히는 바이오, 엔터테인먼트, 게임 업종에서 ‘대장주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바이오주는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접전을 벌이고 있다. 회계 논란에 따른 주가 급락과 거래 정지로 한동안 셀트리온에 왕좌를 내줬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거래 재개 후 사흘간 20% 이상 급등하며 바이오 시가총액 1위 셀트리온을 턱밑까지 쫓아왔다. 전통의 엔터테인먼트 대장주인 에스엠엔터테인먼트는 신흥 강자 JYP엔터테인먼트와 겨루고 있다.
바이오·엔터·게임株, 시총 '왕좌의 게임'
삼성바이오로직스 1등 노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1만5500원(3.93%) 오른 41만원에 마감했다. 지난 11일 거래가 재개된 이후 22.57% 급등했다. 공교롭게 삼성바이오로직스 거래가 재개된 날 셀트리온은 계열사 셀트리온헬스케어의 금융감독원 감리 소식에 급락했다. 셀트리온 주가는 같은 기간 11.04% 떨어졌다.

두 종목의 시가총액 격차는 단숨에 좁혀졌다. 이날 종가 기준으로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시가총액은 각각 27조2867억원과 27조1277억원이다. 지난 10일 종가 기준으로는 셀트리온이 8조5419억원 앞섰지만 사흘 만에 1590억원 차이로 좁혀졌다. 다만 이날 경찰이 분식회계 의혹과 관련해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를 압수수색해 주가가 다시 요동칠 가능성도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의 대장주 쟁탈전은 2년째 계속되고 있다. 작년 상반기까지 바이오 시총 1위였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작년 말 셀트리온에 역전당했다가 지난 4월 왕좌를 되찾았다. 이후 셀트리온이 1위에 재등극했지만 다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장주를 내줄 상황에 처했다.

두 종목 투자자들이 대장주 경쟁에 신경쓰는 이유는 투자자금을 놓고 경쟁하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벤치마크(비교 대상 지수)에 따라 한 업종의 투자 비중을 정해놓는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주가 전망이 더 좋은 종목 비중을 늘리고 다른 종목은 줄인다. 한 공모펀드 매니저는 “두 종목은 일종의 대체재 관계에 있다”며 “삼성바이오로직스 거래 재개 이후 비중을 늘리기 위해 셀트리온을 매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가총액 경쟁에서 뒤지면 롱쇼트펀드에서 유입되는 자금 수급이 꼬이기도 한다. 한 업종에서 엇비슷한 종목을 짝지은 뒤 고평가된 종목을 팔고(쇼트), 저평가된 종목을 사는(롱) ‘페어 트레이딩’ 전략을 쓰는 롱쇼트펀드가 많기 때문이다. 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는 “시가총액 1, 3등 종목을 롱하고 2등 종목을 쇼트하는 전략을 쓸 때가 많다”고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거래 재개 이후 셀트리온의 전체 거래량에서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까지 불어났다.

에스엠 vs JYP엔터 승자는

엔터 업종에서는 JYP엔터가 판을 흔들고 있다. ‘방탄소년단(BTS)’의 세계적 성공으로 엔터주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트와이스’를 앞세운 JYP엔터 주가가 올 들어 124.36% 급등하면서 새 강자로 떠올랐다. 엔터 업종은 전통적으로 에스엠과 와이지엔터테인먼트가 왕좌를 다퉜지만 와이지 주가가 지지부진하면서 그 자리를 JYP엔터가 차지했다. 9월 JYP엔터가 처음으로 시가총액 ‘1조 클럽’에 가입하면서 잠시 엔터 대장주가 됐지만 연말 에스엠이 힘을 내며 다시 1위에 올랐다.

엔씨소프트는 한동안 넷마블에 내줬던 게임업종 대장주 자리를 지난달 말 되찾았다. 이달 6일 넷마블 주가가 ‘블레이드앤소울 레볼루션’ 출시 이후 11.95% 급락하면서 엔씨소프트와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엔씨소프트 시가총액은 11조1670억원으로 넷마블(9조2937억원)보다 1조8670억원(20.15%) 많다. 전경대 맥쿼리투자신탁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업종 1등주에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프리미엄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장주 경쟁에 투자자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최만수/마지혜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