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튜디오 드래곤
/사진=스튜디오 드래곤
지상파에서 케이블, 종편 그리고 글로벌 OTT(Over The Top) 플랫폼 넷플릭스까지 드라마를 볼 수 있는 플랫폼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면서 드라마 업계는 지각변동을 겪고 있다. 하지만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웃고있는 곳이 있다. 드라마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이다.

국내 대표적인 드라마 제작사로 꼽히는 상장사 삼화네트웍스가 1991년, 팬엔터테인먼트가 1998년 설립된 것과 비교하면 2016년 5월에 설립된 스튜디오드래곤의 역사는 짧은 편이다. 하지만 tvN, OCN, 올리브, 온스타일 등 케이블채널의 절대 강자 CJ ENM이라는 모기업에 힘입어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했고, 지금은 가장 강력한 드라마 제작사로 군림하고 있다.

시청률과 화제성을 모두 잡으며 올해 대표 드라마로 꼽히는 '나의 아저씨', '김비서가 왜 그럴까', '미스터션샤인', '백일의 낭군님', '손:The Guest' 등도 모두 스튜디오 드래곤 제작이다.

스튜디오드래곤의 강점은 '안정성'이다. 화앤담픽처스 김은숙 작가, 문화창고 박지은 작가, KPJ 김영현, 박상연 작가를 보유했다. 김은숙 작가는 메가 히트작인 '태양의 후예', '도깨비', '미스터션샤인'을 썼고, 박지은 작가는 '별에서 온 그대', '푸른바다의 전설'을 집필했다. 김영현, 박상연 작가 역시 '대장금' ,'선덕여왕', '뿌리깊은 나무' 등 흥행력과 작품성을 동시에 인정받는 인물들이다.

이들은 이름 만으로도 캐스팅, 투자, 편성까지 가능한 스타 작가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이를 바탕으로 CJ ENM 채널 뿐 아니라 지상파, 종편과도 제작 계약을 맺으면서 영향력을 키워갔다. 지난해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KBS 2TV '황금빛 내인생'도 스튜디오 드래곤에서 제작했다.

지난해 11월 상장 당시 첫날 시가총액 2조 원을 찍으며 화려하게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수 있었던 배경에도 탄탄한 작가 군단과 무관하지 않다. 상장한지 딱 1년, 스튜디오 드래곤의 실적은 지난해보다 더 성장했다는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7만원 대였던 주가도 1년 만에 10만 원대까지 상승했다.

지난해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다른 제작사들이 휘청하는 상황에서도 스튜디오 드래곤은 발빠르게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기업과 손잡고 유통 채널을 확대했다.

증권 정보사이트 FN가이드 컨센서스 기준 스튜디오 드래곤 올해 3분기 매출액은 1219억 원, 영업이익은 245억 원이다. 업계에서는 스튜디오 드래곤이 올해 3분기에만 넷플릭스 판권 판매로 300억 원의 매출을 올렸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송혜교, 박보검 주연의 '남자친구', 현빈, 박신혜 주연의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등 대작 드라마의 방영이 예고돼 있다는 점에서 스튜디오 드래곤의 매출 성장은 더욱 커지리란 관측이다.
/사진=스튜디오 드래곤
/사진=스튜디오 드래곤
DB금융투자 신은정 연구원은 "드라마 판매 매출을 견인할 요인은 해외 판권"이라며 "'남자친구',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등은 한류 스타가 주연인 동시에 히트작을 탄생시켰던 연출진이 제작한다는 점을 미루어 4분기 해외 매출 또한 전년대비 1.5배 이상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양질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세계적인 트렌드다. 넷플릭스를 비롯해 아마존, 유튜브, 디즈니 등 글로벌 OTT 기업들의 경쟁 역시 더욱 심해지고 있다. 스튜디오 드래곤은 아시아 시장 맞춤형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제작역량, 유통능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경쟁력에서 우위를 갖추고 있다.

한화투자증권 지인해 연구원은 "스튜디오 드래곤 해외 판권 실적은 최근 4년간 연평균 40% 가까이 성장했다"며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콘텐츠 판권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플랫폼의 아시아 진출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기에 이가은 고성장, 신기록 갱신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