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수익률 저조한 국민연금
주식 비중 20.5→18.7%로 축소
목표치 근접…매도세 완화될 듯
연기금, 포트폴리오 다양화
삼성전자 등 대형 수출株 팔고
전기차·엔터 등 코스닥株 매수
연기금은 ‘증시의 수비수’로 불린다. 주로 시장이 급락할 때 매수에 나서 추가 하락을 막는 안전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연기금은 외국인의 ‘셀 코리아’에 가세해 코스피지수를 더 끌어내리고 있다. 수비수가 사라진 국내 증시는 작은 악재에도 뚫리는 일이 잦아졌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비중이 연말 목표치에 근접한 만큼 연기금의 매도세가 점차 누그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포트폴리오 조정 영향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 이후 연기금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6178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 기간 외국인(1조1358억원)보다 더 많이 팔았다. 연기금은 코스피지수가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주당순자산) 1배 밑인 2300선 아래로 떨어졌는데도 좀처럼 마음을 돌리지 않았다. 7월 이후 외국인은 4512억원어치 순매수로 돌아섰지만 연기금은 매도 규모(1조4136억원)를 더 키웠다.
한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는 “주식시장의 안전판이 사라졌다는 심리적 불안에 하락세가 커지고 있다”며 “국내 증시에 대한 개인투자자의 불신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펀드매니저는 “국내 주식시장이 외국인 수급에 더욱 휘둘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기금의 ‘변심’은 크게 두 가지 이유로 분석된다. 우선 국내 주식의 투자 수익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 연기금 중 가장 규모가 큰 국민연금의 기금운용본부가 공시한 5월 말 기준 자산군별 수익률 자료에 따르면 국내 주식은 -1.18%로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수익률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절하다 보니 국내 주식 비중을 줄였다는 것이다. 국민연금은 올 들어 해외 주식을 약 6조원, 국내 채권을 5조7000억원어치 순매수하며 비중을 늘렸지만 국내 주식은 1조4000억원어치 줄였다.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 비중을 더 축소할 계획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5월 말 기준 20.5%인 국내 주식 비중을 2023년 15% 안팎까지 축소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올해 말 비중 목표치는 18.7%다.
기금운용본부장 자리가 1년째 공석이라는 것도 연기금이 국내 주식 투자에 소극적인 이유로 거론된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가뜩이나 보수적인 국민연금에 수장까지 없다 보니 주가가 떨어졌을 때 저가 매수에 나서줘야 하는데 다들 책임을 안 지려고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팔고 엔터주 사고
다만 연기금의 매도세는 연말로 갈수록 누그러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그동안 대규모 순매도로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비중이 연말 목표치인 18.7%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달 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하루도 빠짐 없이 순매도하던 연기금은 이날 오랜만에 321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날 외국인(1068억원)과 연기금의 동반 매수에 힘입어 코스피지수는 22.18포인트(0.99%) 오른 2270.06에 마감했다.
연기금이 주식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그동안 연기금은 주식 포트폴리오 대부분이 자동차, 반도체, 조선, 철강, 화학 등 제조업 중심의 국내 수출 대기업에 집중돼 있다는 것이 문제로 꼽혀왔다.
연기금은 지난 6월 이후 국내 주식 비중을 줄이는 와중에도 코스닥시장에선 1269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삼성전자의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9(노트9)'의 개통 첫날 번호이동 건수가 3만건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예약 구매자를 대상으로 사전 개통을 시작한 전날 이통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2만9738건이다. 이는 상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9(2만4225건)'을 넘었지만 전작 갤럭시노트8(3만8452건)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통신사별로 보면 SK텔레콤이 1496명 순감한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767명, 729명 순증했다. 첫날 개통된 노트9은 약 20만대로 추산된다. 이는 갤럭시S9(18만대)보다 10% 증가한 수치다. 전작인 갤럭시노트8(20만대)과 비슷하다. 노트9 정식 출시일은 오는 24일이다.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
삼성전자가 전 세계 6대륙으로 삼성 페이 서비스를 확대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삼성페이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로써 삼성 페이는 전 세계 6대륙 24개 국가에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글로벌 결제건수는 13억건을 돌파했다. 출시 3주년을 맞은 삼성 페이는 현지 파트너사들과 협력을 통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혜택들을 제공하며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삼성 페이는 현재 2000여개 은행 및 금융 파트너와 협약했다. 호주·브라질·스위스·대만 등 15개 지역에서 온라인 결제를, 중국· 홍콩·싱가포르·영국 등 5개 지역에서 교통카드를 지원한다.또 캐나다·프랑스·멕시코·스웨덴 등 20개 지역에서 멤버십 카드를, 한국·러시아·베트남·아랍에미리트연방 4개 지역에서 ATM 입금 및 인출 서비스를 제공한다.특히 삼성 페이는 지역 특화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교통카드 업체인 옥토퍼스사와 파트너십을 통해 교통 카드뿐 아니라 상점에서 삼성페이로 결제를 할 수 있다. 또 브라질에서는 혜택카드 업체인 Ticket사와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 및 기관용 복지 카드로 임직원들이 상점, 극장, 슈퍼 등에서 결제 가능하다.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장 사장은 “삼성 페이는 출시 후 3년 동안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고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결제 플랫폼으로 확장됐다”며 “삼성 리워즈 포인트로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빅스비와 연계하는 등 각 지역의 소비자들이 원하는 결제 플랫폼으로 계속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이진욱 한경닷컴 기자 showgun@hankyung.com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복지부, 자문위서 "현세대 가입자 불안감 해소 중요하다" 의견 피력정부가 9월까지 수립할 '국민연금종합운영계획'에 국가의 '국민연금 지급보장' 명문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자문위원회는 "명문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을 냈지만, 정부는 보험료 인상 등 개혁을 앞두고 국민 불안감을 달래려면 보장책임을 명문화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22일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제도발전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 제4차 국민연금 재정계산 발표를 앞두고 민간전문가 13명과 정부측 인사 3명으로 구성된 제도발전위에서는 지급책임 규정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했다.이 자리에서 전문가 위원 대부분은 명문화에 비판적이었고, 제도를 실제 운용하는 정부 측은 명문화 필요성을 강조했다.현행 국민연금법은 국민연금 사업을 보건복지부 장관이 관장하도록 하고 실제 사업은 국민연금공단에 위탁해 국민연금에 대한 책임이 궁극적으로 국가에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하지만 급여 지급에 대한 국가의 책임이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지는 않다.공무원연금이나 군인연금, 사학연금 등 특수직역연금이 급여부족분 발생 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도록 '적자보전조항'을 명시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이에 정치권에서는 기금 고갈에 따른 국민 불안감 해소, 다른 공적연금과의 형평성 등을 이유로 국민연금 지급을 법적으로 명문화하자는 법안을 지속적으로 발의했지만, 정부 반대 등으로 실현되지는 못했다.그간의 명문화 논의 과정을 검토한 전문가 위원들은 명문화가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다.현행법이 '국가는 이 법에 따른 연금급여가 안정적·지속적으로 지급되도록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했기에 기금 고갈 시 국가가 책임을 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어서 별도의 규정이 필요없다는 의견이다.실익을 거론한 것은 부작용을 주목했기 때문이다.명문화가 현세대의 불안감은 해소할 수 있어도 미래세대에는 부담을 전가하는 일이기에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또 모든 것을 국가가 책임진다는 인식이 퍼지면 한시가 시급한 연금개혁 논의가 제대로 진척되지 않을 가능성도 지적됐다.그러나 정부 쪽에서는 현세대 가입자의 불안감을 일정 부분 해소하는 것도 큰 의미가 있고, 국민연금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급보장 명문화는 제도 수용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보고 있다.논의에 참여한 한 위원은 "정부 실무진에서는 보험료 인상 등 연금개혁 추진이 고통스러운 과정이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지급보장 명문화를 통해서라도 국민의 지지를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고 전했다.이에 제도발전위는 '명문화하지 않는 현행 유지가 합리적이고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면서도 "단, 불안감 해소 및 지지확보 차원에서 추상적 보장책임 규정이라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는 의견을 함께 보고서에 담았다.정부는 재정계산 발표 이후 명문화 방안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명문화 의지는 전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회의에서도 드러났다.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국민이 낸 만큼 연금을 돌려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에 "국민의 강력한 요구가 있으면 지급보장 규정을 명문화하는 것도 방안"이라고 밝혔다.현재 국회에는 2개의 관련 법안이 발의돼 있다.정춘숙 의원이 발의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에는 "연금급여의 지급에 필요한 비용을 국민연금 재정으로 충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국가가 이를 부담한다"고 돼 있고, 남인순 의원안에는 "국가는 이 법에 따른 급여의 안정적·지속적인 지급을 보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정부가 '추상적인 규정'을 구상한다면 구체적인 지급책임을 강조한 정 의원의 개정안보다는 남 의원의 개정안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된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