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이 드라마제작 자회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의 소수 지분 매각을 추진한다. 글로벌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업체 등의 자금을 유치해 스튜디오드래곤 회사 가치를 끌어올리고, 콘텐츠 투자를 위한 ‘실탄’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CJ E&M과 CJ오쇼핑 합병 이후 줄곧 내리막인 CJ ENM 주가가 반등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CJ ENM, 스튜디오드래곤 지분 5000억어치 판다
◆지분가치 최대 5000억원

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스튜디오드래곤 지분 10~20%가량을 매각하기로 하고 주관사 선정에 나섰다. 최근 국내외 증권사 등을 대상으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낸 것으로 파악됐다. 증권가에서는 현재 스튜디오드래곤 시가총액(2조5850억원)을 감안할 때 최대 5000억원 안팎의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CJ ENM은 스튜디오드래곤 최대주주로 71.33%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경영권을 지킬 수 있는 50% 안팎의 지분을 남기고 팔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CJ ENM은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OTT 업체와의 협업을 위해 전략적투자자(SI)를 유치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매각은 스튜디오드래곤의 지분 가치 상승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전해졌다. 스튜디오드래곤은 2016년 5월 CJ ENM의 드라마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설립한 회사다. 도깨비, 미생, 시그널 등 인기 드라마를 제작했다. 최근에는 미스터션샤인(사진)이 13%대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이 드라마 방영권을 넷플릭스에 팔아 약 300억원(증권사 추정)을 벌어들였다.

넷플릭스, 유튜브를 통한 콘텐츠 수출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OTT 업체와의 협업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글로벌 OTT를 주요 주주로 끌어들이면 협력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기업 가치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넷플릭스의 경쟁사인 아마존, 중국판 넷플릭스인 아이치이 등도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한류(韓流) 콘텐츠 확보에 눈독을 들이고 있는 만큼 유력한 지분 투자 후보로 꼽힌다.

◆“M&A 위한 실탄 마련”

CJ ENM은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6900원(2.85%) 떨어진 23만5100원에 장을 마쳤다. 합병 후 거래가 재개된 지난달 18일 이후 14.42% 하락했다. 회사 측은 미디어와 쇼핑의 경계를 무너뜨려 ‘미디어 커머스’라는 청사진을 내놨지만 투자자들은 아직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이번 매각이 이 같은 의구심을 해소하는 반전 재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합병 전 CJ E&M은 ‘케이벨리’ 등 그룹의 신사업을 떠맡아 차입금이 증가하는 바람에 콘텐츠 사업에 투자할 여력이 점점 줄어들었다. CJ오쇼핑과의 합병으로 지난 1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이 안정적 수준인 85.4%로 떨어졌다. 스튜디오드래곤 지분 매각으로 현금을 손에 쥐면 해외 진출과 인수합병(M&A)에 적극 뛰어들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 펀드매니저는 “스튜디오드래곤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에 어떤 엔터사를 인수하더라도 손해 볼 게 없는 상황”이라며 “종합 미디어·콘텐츠 업체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튜디오드래곤 주가는 이날 2800원(2.95%) 떨어진 9만2200원에 마감했지만, 올 들어 41.85% 올랐다.

최근 CJ ENM은 방탄소년단의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와 손잡고 엔터테인먼트회사를 설립하기로 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해외 진출을 위해 현지 엔터사를 M&A하는 방안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가는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실적을 기준으로 한 CJ ENM의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주당순이익)은 11배 수준에 머물러 있다. 김현용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미스터션샤인, 프로듀스48, 꽃보다할배 리턴즈 등의 프로그램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고, 하반기 이후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아스달 연대기 등 기대작이 이어진다”며 목표주가를 24만원에서 36만원으로 50% 올렸다.

이동훈/최만수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