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18일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주시하는 가운데 보합세로 출발했다.

오전 9시 42분(미 동부시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72포인트(0.09%) 상승한 24,735.70 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68포인트(0.10%) 하락한 2,717.4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2.82포인트(0.17%) 내린 7,369.65에 거래됐다.

시장은 전일부터 시작된 미국과 중국의 2차 무역협상 및 북한 이슈, 미 국채금리 동향 등을 주시하고 있다.

미·중간 무역협상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일 중국화의 무역협상이 성공할지 의문이라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불안감을 키웠다.

미국 의회는 또 외국 기업의 미국 기업 인수가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권한과 재원을 확대하고, 국가안보 사안에 대해서는 이를 차단하도록 대통령에게 권고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준비 중이다.

이는 중국의 미국 주요 기업 인수 합병을 제어하려는 움직임으로 양국 간 긴장을 심화할 수 있는 요인이다.

반면 중국 상무부는 이날 반덤핑 예비 판정을 내렸던 미국산 수수에 대한 조사를 중지한다고 발표했다.

또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중국은 이번 무역협상에서 미국이 요구한 무역흑자 2천억 달러 축소에 부응할 수 있는 대규모 미국산 제품 수입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다만 이런 보도를 부인했다.

그는 "이런 루머가 사실이 아니라는 점은 확인해 줄 수 있다"면서 "협상은 건설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탈리아 차기 정부의 행보에 대한 걱정도 커졌다.

연정 구성을 추진 중인 이탈리아 반체제 정당 오성운동과 동맹은 이날 공동 정부의 국정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협상을 마무리하고, 타결안을 공개했다.

대규모 재정 지출과 유럽연합(EU)과의 주요 협정에 대한 재협상을 요구하는 공약 등이 담겼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 새 정부 출범 시 EU와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캐나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도미니언본드레이팅서비스(DBRS)는 이들의 국정운영 계획은 이탈리아 국가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놨다.

이탈리아 FTSE MIB 지수가 1% 이상 하락하고, 이탈리아의 10년 국채금리는 2.2% 선까지 오르는 등 유럽 금융시장이 불안하다.

북한 관련 불확실성도 여전하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전일 다소 유화적인 발언을 내놓으면서 불안감이 크게 확산하지는 않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일 정상회담 취소 관련해서는 들은 바가 없다면 변화된 것은 없다는 발언을 내놨다.

그는 또 북한이 우려하는 '리비아식 비핵화'를 적용할 생각이 없으며, 북한의 비핵화시 김정은 체제의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의사도 밝혔다.

미 국채금리는 3.1% 선 부근으로 레벨을 높인 이후 보합권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중이다.

이날 개장전 거래에서는 종합 식품기업 캠벨의 주가가 올해 실적 예상치(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고 최고경영자도 사임한 여파로 11% 이상 급락했다.

농기계 제조업체 디어도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영향으로 주가가 1.2%가량 하락했다.

이날은 발표되는 경제지표가 없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의 발언이 예정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무역협상 관련 불확실성으로 주가의 방향성을 점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B.라일리 FBR의 아트 호간 수석 시장 전략가는 "유감스럽게도 무역 관련해서 나오는 모든 뉴스는 부분적"이라며 "회담장 안에 있지 않고서는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하락했다.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지수는 0.26% 내렸다.

국제유가는 반락했다.

6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22% 하락한 71.27달러에, 브렌트유는 0.20% 내린 79.14달러에 움직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6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5.0% 반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