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시장 성공모델은 미국 나스닥

창업주 제프 베저스를 세계 최고의 부자 중 한 명으로 만든 아마존. 하지만 1997년 5월 15일 나스닥 시장에 상장될 때만 해도 단순한 인터넷 서점에 불과했다.

아무도 시가총액이 6천억 달러(64조원)에 달하는 공룡 기업이 되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
[코스닥 활성화] 코스닥에서도 아마존 나올 수 있다면…
그러나 아마존은 20여 년간 유통의 판도를 바꿔놓은 온라인 업체로 성장했고 주
가는 640배가량 올랐다.

아마존은 페이스북, 넷플릭스, 구글 등 3개 기업과 함께 알파벳 첫 글자를 따 '팽'(FANG)으로 불린다.

이들 4개사는 나스닥의 스타 기업으로 세계 정보기술(IT) 업계를 좌지우지하고 있다.

나스닥 시장에는 '팽'이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시스코 등 첨단기술로 무장해 신산업과 신경제를 이끌어온 기업이 한둘이 아니다.

이런 기업들이 나스닥을 발판으로 성장하자 나스닥은 전 세계 주식시장에서 기술주 시장(신시장)의 성공모델로 부러움을 사 왔다.

나스닥은 1971년 장외시장으로 출발해 2006년에야 정규 거래소 지위를 획득했지만 금세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위협하는 세계 2위의 주식시장이 됐다.

우리의 코스닥은 물론 일본 자스닥(JASDAQ), 중국의 차이넥스트(ChiNext) 등 신시장들이 나스닥을 지향하는 이유다.

그러나 영국, 독일 등 어느 나라의 신시장도 나스닥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당장 코스닥만 봐도 그렇다.

코스닥은 1999년 증권업협회가 IT 기술주 중심의 한국판 나스닥 시장을 추구하면서 만든 시장으로, 2005년부터는 한국거래소와 통합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개미지옥', '2부 시장' 등 오명이 따라다닌다.

물론 코스닥 시장이 2000년 전후 IT 붐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아예 성과를 내지 못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IT 붐이 꺼지고서 코스닥은 시장의 불건전한 이미지가 커졌고 LG텔레콤, NHN, 하나투어, 카카오 등 쟁쟁한 기업들은 코스피 시장으로 거처를 옮겼다.

올해도 코스닥 시총 1위 셀트리온이 코스피로 이전상장 절차를 밟고 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나스닥이 부러움을 사는 이유는 기술력이 있는 기업들이 시장 자금 조달로 성장해 새로운 산업을 키워낸 데 있다"며 "이런 점에서는 나스닥이 세계 유일의 성공모델"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