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과 관련해 증권가에서는 발빠르게 피해 정도와 향후 영향에 대한 분석에 나섰다. 증시 전문가들은 주요 산업에 미친 피해 수준은 미미했지만 향후 원전 축소 여론에 힘이 실릴 것이라고 16일 전망했다.

◆"포항 인근 주요 기업 생산 차질 無…보험업 실적 영향도 미미"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포항 지진으로 인해 주요 산업의 생산 차질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포항 지역에 주요 생산설비가 모여 있는 철강을 비롯해 인근 지역에 공장을 둔 정보기술(IT), 조선, 자동차 등 공장의 설비 가동이 지진으로 일시 중단됐지만 이내 재개됐기 때문이다.

자료=한국경제 DB
자료=한국경제 DB
포항에는 생산량이 국내 최대인 포스코의 포항제철소를 비롯해, 현대제철의 전기로 공장, 동국제강의 전기로, 세아특수강 등의 생산 설비가 자리잡고 있지만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이번 지진 발생 후 진동 감지센서로 인해 일부 라인에서 조업이 중단됐지만 바로 재개해 정상 가동 중"이라며 "포항에 생산설비가 있는 다른 철강기업 및 철강 관련 업체에서도 공장 가동에 차질이 발생한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휴대폰 공장, LG전자 가전 공장, LG디스플레이의 LCD 공장 등 지진 발생 지역과 비교적 근접한 구미지역 IT 업체들의 생산라인에서도 별다른 피해가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의 경우 현대중공업이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작업을 중단했지만 이로 인한 매출 차질 등의 가능성은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포항 지진이 보험사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포항 인근의 공장과 조선소 등을 대상으로 한 화재보험의 경우 특약 계약의 형태로 지진담보를 보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입률이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이남석·유승창 KB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지진보험 시장이 협소하기 때문에 이번 지진 발생으로 인해 보험사가 부담해야 할 손실액은 극히 제한적인 수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은 "기업 대상 재산종합보험(패키지보험)의 경우 실제 발생한 지진 손실액에 따라 일부 보험금 지급이 발생할 수는 있다"면서도 "지진의 규모와 현재까지 파악된 손실액을 감안하면 보험금 청구 규모는 사실상 미미한 수준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계를 대상으로 한 재물보험의 경우 특약의 형태로 지진 발생으로 인한 손실액을 보장하고 있지만 가입률은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 "포항 지진으로 원전 축소·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강화"

그러나 원자력 발전과 관련해서는 원전 정비 기준이 강화되고, 향후 원전 축소 및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힘이 실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포항 지진으로 운전이 정지된 원자력 발전소는 없었지만 원전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발생한 경주지진이 원전에 대한 시민사회의 불안을 높인 만큼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원자력 안전이 중요한 주제로 다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산업의 피해는 미미하더라도 지진으로 인한 문제의 핵심은 원전의 안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원전 기술력으로도 지진에 따른 방사능 누출과 같은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이중, 삼중의 안전장치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진이 무서운 점은 진동에 따른 원전설비 약화를 유발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성진 KB투자증권 연구원은 "1년여 만에 유사한 규모의 지진이 원전 밀집 지역 인근에서 발생한 만큼 원전 건설에 부정적인 환경은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원전 이용률은 올해의 73.2%(한국전력 기준)인 낮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그는 "원전 정비 기준이 강화될 수 있고, 국내 전력 수급이 넉넉한 상황이어서 낮은 원전 이용률을 용인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는 한전KPS 등 원전 설비 정비 업체에는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기조가 속도를 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 연구원은 "포항 지진으로 문재인 정부의 원전 축소 주장이 힘을 얻게 됐다"며 "이미 공론화 과정에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탈원전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높기도 했지만, 현 시점에서는 탈원전의 기간을 더 축소해야 되는지에 대한 심각한 결정을 해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생3020' 등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도 최대한 단기간에 성과를 거두기 위해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 원전과 석탄 대신 재생에너지를 택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