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 이후 주가 변동성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한가 제한폭은 2015년 6월 중순 ±15%에서 두 배로 확대됐다 .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2년차인 지난 1년(2016년 6월15일~올해 6월14일) 동안 하루 상한가 종목은 유가증권시장 1.2개, 코스닥시장 2.2개 등 3.4개에 불과했다. 도입 첫해(2015년 6월15일~2016년 6월14일) 유가증권시장 2.4개, 코스닥시장 3.7개 등 6.1개에서 크게 줄어들었다. 가격제한폭이 확대되기 직전 한 해 하루 상한가 종목은 19개에 달했다. 하한가 종목도 확대 시행 전 4.2개에서 시행 후 0.3개~0.4개로 급감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상한가에 근접할수록 자석처럼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이른바 ‘자석 효과’가 크게 완화되면서 이상 급등이 줄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주가지수 변동성도 크게 줄었다. 지난 1년 동안 하루 평균 지수 변동성(당일 고가와 저가 차이를 지수 평균으로 나눈 값)은 코스피 0.7%, 코스닥 1.0%로 줄었다. 제도 시행 첫해엔 각각 1.0%, 1.4%로 시행 전(0.8%, 1.1%)보다 변동성이 다소 커졌다.

가격제한폭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중국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은 ±10%이고, 미국과 유럽은 제한폭을 두고 있지 않다.

국내 주식시장도 중장기적으로 선진국과 같이 가격제한폭을 없애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주장이 증권업계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가격제한폭을 확대하면 투기 물량이 늘어날 것이란 우려와 달리 제도가 정착되면서 변동성이 줄어들었다”며 “가격제한폭을 없애면 주가가 기업가치를 제대로 반영하고 불공정거래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