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락일을 맞아 배당주가 많은 코스피지수가 하락하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상승 중인데, '1월 효과'를 감안한다면 연초까지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주식 시장이 효율적이라면 이상 현상(Anomaly)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1월 효과'는 한국 주식 시장에서 빈번하게 나타났다. 정확히는 '1월 소형주 강세 현상'이다.

홍춘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28일 "1월에 시장이 특별히 더 상승하는 형태의 '1월 효과'는 발견할 수 없지만, 1월 소형주 강세 현상은 있었다"며 "2001년부터 올해까지 1월에 코스닥지수가 코스피지수 대비 평균 4.8%포인트 더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는 다른 월의 수익률 차이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것이란 설명이다. 또 유가증권시장 소형주는 대형주보다 1월에 1.5%포인트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점]'1월 효과'의 진짜 이름은 '1월 코스닥 강세'
이를 감안하면 배당락 이후 코스닥시장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준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연초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배당락을 전후로 코스닥시장의 반등이 뚜렷하게 나타난 바 있다"며 "이러한 상승 흐름은 연초까지 이어졌다"고 했다.

2013년 이후 최근 4년간 1분기 월별 수익률을 보면, 올 2월을 제외하고 연초에는 매월 강한 상승세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번주부터는 1월 효과를 기대한 투자자들의 선제적 매수세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 연구원은 "게다가 12월 이후 지수 상승을 주도한 정보기술(IT) 소재·산업재 화학 등에 대한 차익실현 욕구가 높아질 수 있는 시점"이라며 "이는 단기적으로 가격 부담이 덜한 중소형주나 코스닥 시장의 종목별 장세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전했다.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 및 코스닥 시장 중심의 매매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1월의 동향에 관심이 가는 이유는 또 있다. 1월에 증시가 상승하면, 그 해 증시는 대체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1981년부터 2015년까지 1월에 코스피지수가 상승한 해의 강세 확률은 82.4%였다. 평균 연간 수익률도 26.4%에 달했다. 반면 1월에 하락하면 연간 강세 확률은 50%, 수익률도 2.0%에 불과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