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 주식투자는 까다로운 영역이다. 기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정확성도 검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과거 삼성SDS, 카카오 등을 상장 전에 사들였다가 5~6배에 달하는 매매차익을 올린 성공 사례들 때문에 장외주식에 대한 관심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부감사보고서에서 실적을 확인할 수 있는 기업으로 투자 대상을 좁히고 기업공개(IPO)를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는 주주가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외주식 '옥석 가리기', VC투자·우리사주조합 확인…상장 확률 높은 곳 투자를
◆대주주부터 살펴야

몇 년 전까지 비상장회사의 재무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이 유일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비상장주식 매매 양성화를 선언하면서 개인이 접근할 수 있는 비상장사 관련 정보가 늘어났다. 금융투자협회가 2014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K-OTC’에서는 매출 5억원 이상인 139개 기업이 거래된다. 재무제표뿐 아니라 자산양수도, 대표의 횡령배임, 최대주주 변경 등 17개 항목의 정보도 볼 수 있다. K-OTC에 없는 기업은 ‘프리스닥’ ‘38커뮤니케이션’ 등 사설사이트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비상장사를 분석하는 방법은 상장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3~4년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꾸준한지, 수익모델이 확실한지 등을 따져봐야 한다. 일시적으로 주가가 빠진 기업에 투자해야 돈을 벌 확률이 높다는 점도 동일하다. 이미 상장돼 있는 동종업종 기업과 주가수익비율(PER) 등을 비교해보면 주가가 적절한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설립 5년 이상 지났는데도 매출 원가가 매출보다 크다거나 감사인의 의견이 ‘적정’이 아닌 기업은 아예 투자 후보군에서 빼는 게 좋다.

상장회사 투자와 구분되는 체크 포인트는 대주주의 성격이다. 빠른 자금 회수를 원하는 기관들이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면 가까운 시일 내에 상장 절차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K-OTC 거래 상위 종목인 2차전지 생산업체 코캄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회사는 이레볼루션제1호사모투자전문회사와 벤처캐피털(VC) 등 기관투자가가 27.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수수료를 내고 증권사의 신탁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바이오 업종처럼 공시된 지표만으로 허실을 파악하기 힘들 땐 증권사 정보가 도움이 된다. 최근엔 주요 증권사가 장외주식 관련 부서를 꾸리고 신탁 랩어카운트 등 간접상품을 팔고 있다. 미래에셋대우 메리츠종금 유안타 골든브릿지 코리아에셋투자증권 등이 적극적이다.

◆우리사주조합 구성 여부도 따져야

좋은 기업에 미리 투자했다고 해도 IPO를 하지 않는다면 ‘못 먹는 감’에 불과하다. 장외주식은 상장주식과 달리 수요와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급할 때 제값을 받기 어렵다. 회사가 IPO 계획을 접어버리면 더욱 낭패스럽다. 올해 초 대표이사의 원정도박 혐의로 상장이 무기한 연기된 네이처리퍼블릭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10월 장외에서 16만~17만원대에 거래됐던 이 회사 주식은 최근 주당 3만원까지 급락했다.

우리사주조합 구성 여부, 통일주권 발행 여부 등을 보면 IPO가 언제 이뤄질지를 가늠할 수 있다. VC가 전환상환우선주(RCPS) 등에 투자했다면 2~3년 내에 상장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해당 기간 내 상장하지 않으면 비싼 가격에 주식을 되사주는 식의 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아서다. 다만 회사가 RCPS를 상환하기 시작했다면 상장계획을 미루거나 접을 가능성도 있다.

우리사주조합 설립과 통일주권 발행은 주식을 공모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사전 절차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과정이 이뤄지고 있다면 상장이 임박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통일주권은 예탁결제원에 예탁돼 증권계좌 간에 위탁거래가 가능한 주권을 말한다. 비상장기업은 다른 형식의 주권을 발행해도 되지만 상장기업은 반드시 통일주권을 발행해야 한다. 이태일 코리아에셋증권 전무는 “정보가 많지 않은 개인투자자라면 원금 회수 안전성이 떨어지는 초기 기업보다 업력이 쌓인 안정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게 낫다”며 “2~3년간 자금이 묶일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