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본무 LG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본무 LG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삼성 LG SK 등 대기업들이 잇따라 바이오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전통 제조산업이 경쟁 심화와 공급 과잉 등으로 마진이 낮아지는 상황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인 바이오를 활로로 판단한 것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LG그룹은 최근 바이오산업 경합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것임을 밝혔다. 그룹의 바이오 계열사 LG생명과학을 LG화학에 흡수합병시켜 바이오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LG화학과 LG생명과학은 각각 지난 12일 이사회를 열고 합병안을 통과시켰다. 백신 바이오시밀러 신약개발 등 '레드바이오' 사업의 육성을 위해 LG화학의 자금력을 활용키로 한 것이다.

LG화학은 현재 LG생명과학의 투자액 1300억원의 3배가 넘는 3000억~5000억원을 매년 연구개발 및 시설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농화학사업 중심의 '그린바이오', 친환경의 '화이트바이오' 등을 포함해 바이오 사업에서 2025년 매출 5조원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LG그룹의 이같은 결정은 앞서 바이오 사업에 진출해 성과를 내고 있는 삼성과 SK의 영향이 컸다.

삼성은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양대 축으로 바이오시밀러 업계의 '글로벌 플레이어'로 자리잡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연구개발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과 유통을 맡는 구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업체(CMO)로 연말 상장을 앞두고 있다. 예상 공모금액 및 시가총액은 각각 3조원과 10조원 규모다. 공모자금을 바탕으로 증설에 들어가 2018년 36만리터 규모의 생산능력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세계 1위 규모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까지 엔브렐과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를 국내와 유럽에 출시했고,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SB5의 유럽 허가도 신청했다. 삼성은 바이오에피스 역시 미국 나스닥에 상장할 계획이다.

SK그룹은 SK케미칼과 SK바이오팜을 통해 백신 및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SK케미칼은 세계 최초로 4가 세포배양 독감백신을 개발하고, 혈우병치료제로 국산 바이오신약 최초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등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SK바이오팜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SK바이오팜이 개발한 뇌전증 치료제 'YKP3089'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약효를 인정받아 임상3상을 면제받고 신약 승인을 추진하고 있다.

SK그룹은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해 SK바이오팜 사전 기업공개(pre IPO)를 통해 1조원대 자금조달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